2025.05.22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통신


LG유플러스, '통합관제센터' 첫 공개…"자동화·지능화 네트워크로 품질 향상"

 

[FETV=석주원 기자] LG유플러스는 29일 서울 강서구 LG사이언스파크 마곡 사옥에 있는 '통합관제센터'를 언론에 처음 공개하고, 네트워크과 고객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한 자동화 운용 사례를 소개했다.

 

올해 3월부터 운영을 시작한 1410㎡ 규모의통합관제센터는 빅데이터 기반 지능형 자동화 시스템을 통해 전국의 네트워크와 외부 서비스의 품질을 24시간 모니터링한다. 신속한 대응으로 고객에게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도 맡고 있다.

 

네트워크·최고기술책임자(CTO)·사이버보안센터 등 서비스별 전문 대응력을 갖춘 임직원들이 24시간 365일 근무하고 있는 '품질 컨트롤타워'다.

 

 

649인치 규모의 초대형 스크린(월보드)이 들어서 있는 상황실에서는 전국에서 벌어지는 등급별 장애, 이상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시각화된 정보를 제공한다. 스크린에서는 LG유플러스의 유·무선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자체 개발한 빅데이터 기반 감시시스템을 활용해 메신저,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등 90여 종의 외부 서비스 품질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 AI(인공지능)와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활용해 네트워크 성능을 예측하고 최적화하는 '지능형 자동화 시스템'을 운영 중이다. 이를 통해 잠재적 장애 발생 가능성을 사전에 예측해 문제를 미리 해결하고, 서비스 중단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통합관제센터에서는 로봇 프로세스 자동화(RPA)를 통해 태풍·지진 등 자연재해 대응과 불꽃축제·해돋이 등 연말연시 이벤트 대응 시 관련 정보를 자동으로 수집해 대응한다.


기존에는 사람이 피해 현황, 트래픽이 집중된 기지국 장비 등을 산출해야 했는데 자동화 방식으로 효율성이 개선됐다.

 

상황실 옆에는 대규모 장애 같은 위기 상황이 발생할 경우 경영진이 신속한 의사결정을 내리도록 지휘통제소(War Room)가 마련돼 있으며, 전국 운영 조직을 연결하는 화상회의시스템도 갖췄다.

 

강봉수 LG유플러스 품질혁신센터장(상무)는 "통합관제센터는 LG유플러스의 네트워크 운영과 품질 관리의 핵심 거점으로, 전문 능력을 갖춘 임직원들이 고객에게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RPA와 같은 혁신적인 기술 도입을 통해 품질 관리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고객의 기대를 넘는 최상의 서비스 품질을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