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9.18 (수)

  • 흐림동두천 24.5℃
  • 구름많음강릉 24.2℃
  • 흐림서울 26.5℃
  • 구름많음대전 26.8℃
  • 구름조금대구 25.8℃
  • 구름조금울산 25.1℃
  • 맑음광주 24.8℃
  • 구름조금부산 27.5℃
  • 맑음고창 25.1℃
  • 맑음제주 26.9℃
  • 흐림강화 24.0℃
  • 구름많음보은 24.3℃
  • 구름많음금산 25.6℃
  • 맑음강진군 25.2℃
  • 구름조금경주시 25.3℃
  • 맑음거제 27.0℃
기상청 제공



13년 전 '부실사태' 꼬리표 못 떼는 저축은행

 

"2011년 저축은행 부실 사태 때와 달리 현재 저축은행업권의 유동성비율은 높은 수준으로 관리되고 있고, 대손충당금 적립률 역시 법정 기준을 초과해 유지되고 있는 만큼 손실 흡수 능력을 감안할 경우 충분히 관리 가능한 수준입니다."

 

최근 불거진 저축은행 위기설에 대해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장이 직접 해명에 나섰다. 저축은행중앙회는 올해 3월과 8월 이례적으로 실적 설명회를 개최, 연체율 등 건전성 지표가 안정화되고 있다고 강조하며 시장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다.

 

13년 전 저측은행업권의 부실 사태가 수면 위로 다시 떠오른 이유는 뭘까. 이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부실 영향으로 저축은행들의 신용등급이 줄줄이 하락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부동산PF 대출 규모가 큰 대형 저축은행들을 중심으로 연체율이 급속도로 악화하면서 일각에서는 13년 전 부실 사태와 연관을 짓고 있다.

 

저축은행 사태 당시 뇌관도 지금처럼 부동산PF 부실이었다. 2000년대 중반 부동산 시장 호황으로 저축은행들이 PF 대출을 확대했지만, 2008년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국내 부동산 경기가 침체되면서 PF 부실이 발생했다. 이로 인해 일부 저축은행의 재무 상태가 악화됐고, 2011년에는 16개 저축은행이 영업정지 처분을 받았다. 당시 연체율은 20.3%에 달했으며, 예금 인출 사태인 '뱅크런(대규모 자금이탈)'도 발생했다.

 

과거와 비슷한 PF대출 문제로 위기론이 제기되곤 하지만 당시 저축은행의 취약한 자본력과 비교해 지금 상황을 동일시하는 것은 과도한 우려로 보인다. 10여년이 지난 현재 저축은행의 기초체력이 많이 탄탄해졌다. 저축은행업권은 2014년부터 2022년까지 8년간 약 10조원의 당기순이익을 냈고,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이율은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올해 6월 말 기준 전국 79개 저축은행 평균 연체율은 직전 분기(8.8%) 대비 0.44%포인트(p) 하락한 8.36%다.

 

부실 사태 이후 저축은행업권은 지속적인 경영개선과 노력으로 크게 개선된 상황이지만, 여전히 많은 이들이 저축은행을 부실 금융회사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이다. 2011년 당시 문제를 일으켰던 저축은행들은 이미 금융지주나 다른 회사에 흡수·정리됐다. 

 

그럼에도 현재 저축은행들은 같은 업권에 속해 있다는 이유만으로 과거의 잘못에 대한 책임을 여전히 떠안고 있는 셈이다. 이 문제는 저축은행만의 숙제가 아니라 국내 금융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금융당국과 저축은행 업계가 함께 풀어가야 할 공동의 과제다. 

 

오 회장이 발표한 올해 신년사에서는 손자병법에 나오는 '이환위리(以患爲利)' 가 담겼다. 이환위리는 '예기치 않은 고난을 극복해 오히려 기회로 삼는다'는 의미다. 저축은행업계가 그간 쌓아온 경험으로 이번 어려움도 슬기롭게 극복해 나가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