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4 (수)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혼돈의 은행금리…예금 이자 내리는데 대출 금리는 오른다

[FETV=박지수 기자] 은행권 여신(대출)·수신(예금) 금리 체계가 뒤엉키고 있다. 시장 기준금리 인하 기대와 금융당국 가계대출 관리 압박이 동시에 영향을 미치면서다. 더구나 미국 등 '빅컷'(기준금리 0.5%p 인하) 전망과 함께 앞으로 당분간 시장금리와 예금금리 하락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4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은행은 오는 5일부터 상당수 수신(예금)상품 금리를 일제히 최대 0.2%포인트(p) 인하한다.

 

'국민수퍼 정기예금'의 고정금리는 현재 계약기간(1개월∼3년)과 이자 지급방식(만기·월이자)에 따라 1.90∼2.90% 수준이다. 하지만 5일부터는 6개월 이상 계약 상품의 금리가 최대 0.2%p 떨어지면서 전체 금리 수준이 1.90∼2.70%로 조정된다.

 

단위기간 금리 연동형 상품 금리 역시 최대 0.15%p 낮아져 연동(회전) 단위기간별로 1.85∼2.40%인 금리 범위가 1.85∼2.25%로 바뀐다.

 

일반 정기예금 금리는 계약기간(1개월∼3년)에 따라 0.15∼0.20%p 떨어지고, 회전형 장기정기예금의 금리도 2.55%에서 2.35%로 0.20%p 하향 조정된다.

 

신한은행은 이미 2일부터 수신상품 기본금리(가산금리 등 제외)를 최대 0.20%p 일제히 낮췄다. 정기예금(신한S드림정기예금·쏠편한정기예금 등)의 경우 상품별로 0.05∼0.20%p 내려 모든 상품 금리가 2.95%로 같아졌고, 적립식예금(신한연금저축황적금·신한S드림적금 등)과 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도 각 0.10∼0.20%p, 0.05%p 떨어졌다. 신한ISA정기예금의 경우 16일부터 3.00%에서 2.95%로 0.05%p 낮아질 예정이다.

 

하지만 은행 대출금리는 시장금리 흐름과 반대로 오히려 더 오르는 추세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2일 기준 주택담보대출 혼합형(고정) 금리(은행채 5년물 기준)는 연 3.030∼5.204% 수준이다. 약 열흘 전 지난달 19일(연 2.840∼5.294%)과 비교해 하단이 0.190%p 높아졌다. 변동금리(신규코픽스 기준·연 4.030∼6.548%)의 하단도 0.070%p 올랐다.

 

같은 기간 혼합형 금리의 주요 지표인 은행채 5년물 금리가 3.345%에서 3.204%로 0.141%p 떨어지고, 변동금리 지표인 코픽스(COFIX)가 3.520%로 유지된 사실을 고려하면 금리 상승은 매우 이례적이다.

 

이는 당국 가계대출 관리 압박 등에 최근 한 달간 은행들이 앞다퉈 가산금리 추가 등을 통해 대출 금리를 인위적으로 올린 영향 때문이다.

 

예를 들어 신한은행은 지난달 15일, 22일 은행채 3년·5년물 기준 금리를 0.05%p씩 높였고 29일에도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최대 0.3%p 인상한 데 이어 오는 7일부터 주택담보·전세자금대출 금리를 최대 0.3%p 추가로 올린다.

 

KB국민은행도 이달 2일 전세자금대출 금리를 일괄적으로 0.3%p 또 상향 조정했다. 지난달 3일, 18일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각 0.13%p, 0.2%p 올리고 29일부터 갈아타기(대환)·다주택자 주택담보대출까지 제한했다.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달 말 기준 715조7383억원으로, 6월 말(708조5723억원)과 비교해 한 달 사이 7조1660억원이나 더 불었다. 이는 2021년 4월 9조2266억원 불어난 이후 3년 3개월 만에 가장 큰 월간 증가 폭이다.

 

이런 가계대출, 시장금리 추이로 미뤄 결국 은행권의 예대 차익(대출금리-예금금리)만 갈수록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