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ETV=박제성 기자] LG화학이 글로벌 화학 NO.1 미국 듀폰을 제치고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증착 재료' 시장 2위로 올라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비결은 LG화학의 OLED의 핵심 소재인 'p도판트'가 핵심 역할을 할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지난해 기준 OLEDC 증착 재료 시장 1위는 미국 유니버셜디스플레이코퍼레이션(UDC), 2위 듀퐁, 3위 LG화학이다.
30일 시장조사업체 DSCC에 따르면 연 2회 발간하는 'AMOLED 재료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부터 LG화학이 2위를 차지해 듀퐁을 제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 자리를 당분간 유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LG화학은 다양한 패널 제조업체에 레드·그린·블루(RGB) 호스트, 전자수송층(ETL), 정공방어층(a-ETL) 등 여러 소재를 공급하고 있다.
DSCC는 "LG화학의 a-ETL이 삼성디스플레이의 최신 소재 구조에서 솔루스첨단소재의 a-ETL을 대체하고 있다"며 "LG디스플레이도 다양한 응용처의 새로운 OLED 구조에 LG화학의 제품 사용을 확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탠덤 OLED는 레드·그린·블루(RGB) 유기 발광층을 2개 층으로 쌓는 방식으로 장수명, 고휘도를 구현해 기존 1개 층인 OLED 패널 대비 내구성과 성능이 뛰어난 것이 특징이다. LG디스플레이는 신형 아이패드 프로 2종 가운데 11인치와 13인치 두 모델에 OLED를 공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