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9 (토)

  • 맑음동두천 19.5℃
  • 맑음강릉 23.8℃
  • 맑음서울 23.2℃
  • 구름많음대전 23.7℃
  • 구름많음대구 23.7℃
  • 구름많음울산 19.9℃
  • 흐림광주 22.6℃
  • 흐림부산 21.8℃
  • 구름많음고창 22.9℃
  • 흐림제주 22.9℃
  • 맑음강화 18.1℃
  • 구름조금보은 18.9℃
  • 구름많음금산 23.4℃
  • 흐림강진군 22.4℃
  • 구름많음경주시 21.2℃
  • 구름많음거제 21.7℃
기상청 제공


화학·에너지


포스코퓨처엠 양·음극재 탑재, 캐딜락 EV 국내 달린다

 

[FETV=박제성 기자] 포스코그룹의 이차전지 소재와 철강 제품이 대거 적용된 캐딜락 럭셔리 전기차 ‘리릭(Lyriq)’의 국내 출시를 맞아 포스코그룹과 GM(제네럴 모터스)이 공동 프로모션 행사를 개최했다.

 

양사는 26일 서울 강남구 포스코센터에 ‘리릭’을 전시, 포스코그룹 임직원과 인근 직장인들에게 시승 기회와 구매 상담을 제공했다고 밝혔다. 

 

이 날 행사에는 포스코퓨처엠 유병옥 사장, 포스코 서유란 자동차소재마케팅실장, GM 한국사업장 헥터 비자레알 사장, GM 해외사업부문(GMI) 토미 호세아 구매 및 공급망 담당 부사장 등이 참석해 포스코그룹과 GM의 협력으로 완성된 전기차의 출시를 기념했다.

 

리릭은 GM의 차세대 모듈형 전기차 전용 플랫폼 '얼티엄'에 기반한 첫번째 모델이다. 포스코퓨처엠의 양•음극재를 배터리 소재로 모두 적용한 첫번째 전기차다. 포스코퓨처엠 양•음극재로 만든 배터리셀을 12개의 모듈에 배치한 배터리팩을 탑재했다.

 

리릭의 배터리는 양극재로는 에너지 밀도가 높은 하이니켈 NCMA* 제품을 사용해 주행거리를 늘려, 완전 충전시 복합기준 465km까지 주행이 가능하다. 

 

포스코퓨처엠은 지난해 3월 국내 최초로 NCMA(니켈, 코발트, 망간, 알루미늄) 단결정 양극재 양산에 성공한 바 있다. 음극재는 기존 제품 대비 소재구조를 개선한 저팽창 천연흑연 음극재를 사용해 배터리 고속충전 성능과 함께 안정성과 수명을 함께 높였다. 리릭은 시간당 최대 190kW 출력의 DC(직류) 고속 충전을 지원해 10분 충전으로 약 120km를 주행할 수 있다.

 

저팽창 천연흑연 음극재는 기존 천연흑연 음극재의 소재구조를 판상형에서 등방형으로 바꿔 리튬이온 이동속도를 빠르게 해 충전속도를 단축하면서도 팽창을 줄여 배터리 안정성과 수명을 높인 소재다.

 

리릭에는 포스코의 초고강도강과 전기강판 등 철강제품도 대거 적용됐다. 차체와 섀시에는 글로벌 최고 품질의 기가스틸(인장강도 980Mpa(메가파스칼) 이상), 초고강도강을 적용해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으로부터 안전 최고등급인 5스타를 받는 등 강도성•가공성•친환경성을 높였다.

 

구동모터에는 에너지 손실을 줄여주는 고효율 무방향성 전기강판 'Hyper NO(하이퍼 엔오)'가 적용, 동급 전기차 중 최고 수준의 주행 성능을 확보했다. 고효율 무방향성 전기강판은 포스코가 국내 유일하게 생산하고 있다. 

 

무방향성 전기강판이란 전류를 통해 구동 축이 회전하도록 만들어주는 모터 등에 활용되는 소재. 두께를 얇게 만들수록 구동모터가 회전할 때 전기에너지 손실이 최소화되며 리릭에는 두께 0.25mm의 고효율, 고강도(400MPa 이상) Hyper NO가 메인 모터에 적용되 최대 500마력, 62.2kgm 토크 실현한다.

 

세계적으로도 포스코 등 소수의 철강사만이 안정적인 품질의 제품을 공급할 수 있을 정도로 높은 기술력이 필요하다.

 

세계 최고 수준의 포스코그룹 배터리 소재와 철강 제품으로 성능과 효율성을 극대화한 리릭은 캐딜락 브랜드 역량을 바탕으로 안정적이고 민첩한 주행 성능에 새로운 디자인 언어, 차세대 테크놀로지 등이 절묘한 조화를 이루며 글로벌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리릭은 올해 1분기 미국 럭셔리 전기차 시장에서 단일 모델 판매 1위를 기록했다.

 

포스코퓨처엠 유병옥 사장은 “포스코그룹과 GM의 협력이 더해진 리릭이 미국에 이어 국내에서도 성공 가도를 달리기를 응원한다”며 “앞으로도 포스코퓨처엠은 높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고성능 배터리 핵심 소재를 개발하고 안정적으로 공급해 GM이 전기차 시장을 선도할 수 있도록 적극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포스코퓨처엠과 GM은 북미에서 안정적인 배터리 소재 공급망을 구축하기 위한 협력을 이어오고 있다. 2022년 5월 배터리 소재사 최초로 자동차사와의 합작사인 ‘얼티엄캠’을 GM과 공동 설립했다. 

 

올 하반기 캐나다 퀘백주에 연산 3만톤 규모의 양극재 생산공장을 준공할 예정이다. 또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시행 등 권역별 공급망 강화 정책에 전략 대응하기 위해 2026년 완공을 목표로 북미에 양극재 공장 증설과 양극재의 중간 원료인 전구체 공장 신설도 추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