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9 (토)

  • 맑음동두천 20.6℃
  • 맑음강릉 23.7℃
  • 맑음서울 23.7℃
  • 구름많음대전 23.5℃
  • 구름많음대구 24.4℃
  • 구름많음울산 20.3℃
  • 흐림광주 23.0℃
  • 흐림부산 21.8℃
  • 흐림고창 22.1℃
  • 흐림제주 22.9℃
  • 맑음강화 18.6℃
  • 구름조금보은 19.3℃
  • 구름많음금산 23.5℃
  • 흐림강진군 22.4℃
  • 구름조금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1.8℃
기상청 제공


화학·에너지


SK이노·SK E&S·SK에코·SK머티, 합병설 고개드는 까닭은?

SK그룹 차원, 대대적 조직 전열 재정비 차원이란 해석, 가능성 제로 아니다는 해석
SK이노(에너지 화학)-SK E&S(신재생에너지), SK에코(건설)-SK머티(소재) 합병설
SK그룹, 공통점 있는 계열사간 통합으로 시너지 높이려는 구상, 여전히 검토 단계

 

[FETV=박제성 기자] SK그룹이 에너지·화학·건설 계열사를 대상으로 한 조직개편의 고삐를 죄고 있어 주목된다. 그룹내 핵심 계열사인 SK이노베이션(에너지·화학)은 SK E&S(신재생에너지)와 SK에코플랜트(건설)는 SK머티리얼즈(첨단소재)과의 합병설이 팽배하다. 

 

2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SK이노베이션과 SK E&S, SK에코플랜트는 SK머티리얼즈와 각각 합병을 검토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현재까지 감지된 분위기로는 가능성이 제로(0)는 아니지만 확정된 바는 없는 상황이다 그룹내 이사회에서 차후 합병설이 현실로 이어질지 여부는 좀 더 지켜봐야 하는 상황이다.

 

이같은 합병설이 주목받는 이유는 최근 SK그룹이 대대적인 계열사 경쟁력 강화에 주안점을 두기 때문이다. 이런 와중에 최태원 회장의 친동생인 최재원 수석부회장이 SK이노베이션 수석부회장으로 내정된 뒤 SK이노베이션과 SK E&S와의 합병설이 불거졌다는 점이다. 

 

특히 SK이노베이션 계열사인 SK온(배터리 사업)의 영업손실이 수년간 이어진 가운데 SK이노와 SK E&S를 합병할 경우 SK온에 재무개선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SK이노베이션은 SK E&S와 친환경 에너지사업이라는 공통 분모를 바탕으로 조직경쟁력 및 효율화 업그레이드 차원에서 이같은 합병설이 제기됐다는 게 업계의 관측이다.

 

SK에코플랜트와 ㈜SK머티리얼즈와 합병설도 거론되고 있다.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SK에코플랜트와 SK머티리얼즈의 경우 특수가스 사업부문과의 합병을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특수가스 사업의 경우 반도체,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에 필요한 고순도 특수가스(에칭가스, 증착가스)를 생산하고 있다.


양사의 경우 주력 사업인 건설과 특수가스 등의 화학물질 사업을 하다보니 공통점이 없어 이같은 합병설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를 두고 업계에선 SK머티리얼즈의 특수가스 사업을 앞세워 SK에코플랜트의 재무개선 효과를 노리는 것 아니냐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올해 1분기 SK에코플랜트의 영업이익은 566억원으로 전년대비 17.9% 상승했다. 다만 2022년과 2023년 전체 영업이익의 경우 각각 1570억원, 1745억원으로 집계됐는데 올 1분기 영업익 추세라면 평이한 흐름을 보인다는 점이다. 그룹 입장에선 더욱 실적 개선을 요구하는 분위기로 해석된다.

 

만약 합병을 한다면 5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먼저 ▲이사회 및 주주 승인 ▲타국가 규제 승인 필요 여부 ▲합병 계약서 및 보고서 작성 ▲등록 및 공시 ▲세무 처리 등이 있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SK 4개 계열사를 대상으로 합병설의 경우 최고경영진의 의사결정에 따라 결론을 날 수 있다”면서 “다른 계열사간 합병설도 추가적으로 나오거나 혹은 어떤 조직간의 변화를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