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1.6℃
  • 맑음강릉 4.7℃
  • 맑음서울 5.5℃
  • 맑음대전 3.6℃
  • 맑음대구 2.6℃
  • 구름많음울산 4.8℃
  • 맑음광주 4.6℃
  • 맑음부산 7.1℃
  • 맑음고창 -0.9℃
  • 맑음제주 7.8℃
  • 맑음강화 0.3℃
  • 맑음보은 0.1℃
  • 맑음금산 0.4℃
  • 맑음강진군 0.9℃
  • 맑음경주시 1.0℃
  • 맑음거제 2.9℃
기상청 제공



韓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 새 통계기준 적용 '톱'…기업부채 5위

 

[FETV=박제성 기자] 한국의 GDP(국내총생산)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여전히 세계 1위 수준을 나타났다. 또한 GDP 대비 기업부채 비율은 세계 4위에서 5위로 한 계단 하락해 소폭 긍정적인 반응이 나왔다.

 

9일 한국은행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작년말 기준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기준 연도를 2015년에서 2020년으로 변경한 데 따라 100.4%에서 93.5%로 6.9%p 낮아졌다. 부채비율은 낮아져지만 타국가와 비교해 여전히 톱 수준이다.  GDP 대비 기업부채 비율 역시 122.3%에서 113.9%로 8.4%p 낮아졌다.

 

이는 다시 말하면 정부가 국민계정 통계 기준 연도 개편으로 GDP 등의 지표는 개선된 반면 여전히 가계 및 기업 부채는 매우 높은 실정이다.


새로운 국민계정 통계 기준연도 개편으로 GDP는 확실히 개선됐다. 작년 명목GDP(특정 시점의 재화 및 서비스 규모를 합친 국내총샌산) 규모가 2236조원에서 2401조원으로 증가했다. 

 

국제금융협회(IIF) 통계에 따르면 작년 기준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새 국민계정 통계에 따르더라도 세계 34개 국가중 가장 높았다. 한국 다음인 세계 2위 홍콩(93.3%)과의 격차가 7.1%p에서 0.2%p로 축소됐다. 문제는 한국을 제외한 33개국 평균치(34.2%)와 격차가 큰 상태에서 한국이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태국 91.6%, 영국 78.5%, 미국 72.8% 등도 높은 가계부채율을 기록하고 있다. 

 

GDP 대비 기업부채 비율의 경우 통계 기준 연도 개편에 따라 한국은 세계 4위에서 5위를 기록했다. 일본이 114.5%로 종전 5위에서 4위로  한국과 순위를 바꿨다. 1위는 홍콩이 258%로 월등히 높았다. 중국(166.5%), 싱가포르(130.6%) 등 아시아 국가들이 뒤를 이었다.

 

정부도 가계부채비율 낮추기에 걱정이 많다. 앞서 작년 10월 이복현 금융감독원장도 국정감사에서 "2024년과2025년에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을 100% 이하로 내리는 것이 목표"라고 말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