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ETV=박제성 기자] K-배터리 3사 모두 올해 2분기 경영성적을 발표한 가운데 경영성적이 펄펄 날고 있다. 분기 기준 최대 매출은 물론 미국 IRA(인플레이션 감축법) 시행에 따른 세제 효과도 톡톡히 보고 있다.
먼저 LG에너지솔루션은 2분기 성적은 매출 8조7735억원, 영업이익 4606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73%, 135.5% 증가했다. 이는 분기 기준 매출이 최대치를 갱신했다. 특히 영업이익의 경우 IRA에 따른 1009억원의 세액 공제가 영업이익에 반영됐다.
앞서 LG에너지솔루션이 발표한 잠정 영업이익(6116억원)과 비교해 1510억원 감소한 이유는 GM 리콜 관련 일회성 충당금을 반영했기 때문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GM 리콜 과정에서 발생한 재료비 원가상승분 1510억원을 일회성 충당금으로 추가 반영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삼성SDI는 매출 5조8406억원, 영업이익 4502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각각 23.2%, 4.9% 늘었다. 삼성SDI 역시 2분기 기준 역대 최대 매출 및 영업이익을 달성했다. 4분기 연속 매출 5조원을 돌파했다. 삼성SDI는 프리미엄 중대형 전기차(EV)용 배터리인 젠5(P5)에 판매 확대가 실적에 큰 보탬을 줬다.
삼성SDI 관계자는 “젠5 배터리를 탑재한 프리미엄 전기차 판매 확대 영향으로 매출 및 이익이 증가했다”면서 “ESS(에너지저장장치) 배터리는 계절적 비수기를 지나 전력용 및 UPS(무정전 전원장치)용 중심으로 판매가 확대됐다. 지속성장을 위해 전고체 배터리와 46파이(지름) 원통형 배터리 등 초격차 기술경쟁력을 확보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SK온은 매출 3조6961억원, 영업손실 1315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매출의 경우 전년동기 대비 187% 성장했다.
IRA 시행에 따른 올해 상반기 첨단제조 새액공제(APMC)는 1670억원으로 영업손익 개선 효과를 보였다. 1분기 영업손실(3447억원) 대비 절반넘게 적자 폭을 줄였다. SK온의 배터리 사업실적은 현재 모회사인 SK이노베이션의 연결 재무제표로 계산된다.
SK온은 신규 공장 조기 안정화 및 고객사들의 판매량 증가로 매출 성장 및 수익성 개선 추세가 지속될 전망이다. 특히, 하반기에는 AMPC 수혜액이 상반기 대비 대폭 증가할 예정이다.
SK이노베이션 김경훈 최고재무책임자(CFO)는 “SK온은 하반기에도 수율 개선과 북미 시장을 중심으로 한 판매량 증가가 전망돼 분기별 매출 증가와 손익 개선 흐름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매출과 수익성은 유럽 전기차 수요 둔화 우려에 따른 판매량 불확실성이 존재하나 고객과 지속 협의를 통해 올 연간 매출은 전년 대비 두 배 수준에 증가가 예상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