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ETV=김태형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 이종호 장관은 26일 판교 NHN클라우드에서 제3차 ‘인공지능 반도체 최고위 전략대화’를 주재하고 ‘K-클라우드 프로젝트’ 1단계 착수보고회를 가졌다.
최근 초거대 언어모델 기반의 생성형 AI 등장과 확산으로 AI 연산에 특화된 고성능·저전력 AI반도체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가트너는 세계 AI반도체 시장이 2021년 347억달러에서 2026년 861억달러(현 메모리 반도체 시장의 50% 규모)로 연평균 16%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엔비디아는 물론 AMD, MS, 아마존, 구글 등 글로벌 기업들도 AI반도체 개발 경쟁을 본격화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는 국산 AI반도체 개발을 위해 산·학·연과 함께 ‘K-클라우드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K-클라우드 프로젝트’는 세계 최고 수준의 초고속·저전력 국산 AI 반도체를 개발, 이를 데이터센터에 적용해 국내 클라우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이다. 정부는 지난해 12월 ‘국산 AI반도체를 활용한 K-클라우드 추진방안’을 발표했다.
이를 통해 2023년부터 2030년까지 총 8262억원(예정)을 투자해 국산 AI반도체를 3단계(NPU → 저전력PIM → 극저전력PIM)에 걸쳐 고도화하고 단계별로 데이터센터에 적용해 클라우드 기반 AI서비스까지 제공하는 실증사업도 함께 추진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번에 착수하는 ‘K-클라우드 프로젝트’ 1단계 사업은 현재 상용화 초기 단계에 있는 국산 NPU(Neural Processing Unit:신경망처리장치)를 데이터센터에 적용하고 클라우드 기반 AI 서비스까지 제공하는 실증사업이다.
국산 NPU 데이터센터 구축사업(신규)과 기존 AI·클라우드 서비스 개발 사업을 연계해 2023년 약 376억원을 시작으로, 2025년까지 약 1000억원(잠정)을 투자한다. 올해 2월 사업 공고를 시작해 5월에 협약을 완료했으며 오늘 착수보고회를 계기로 본격적인 사업에 착수한다.
정부는 ‘K-클라우드 프로젝트’를 통해 올해부터 국산 NPU 데이터센터 구축사업 등에 착수, 국산 AI반도체를 클라우드 데이터센터에 적용하고 서비스까지 실증해 레퍼런스를 조기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통해 국산 AI반도체의 국내 시장을 조기 창출할 뿐 아니라 글로벌 시장 진출까지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국산 NPU 데이터센터 구축사업은 2개 사업으로, 민간과 공공(광주) 2개 부문에 각각 데이터센터를 구축한다. 공고 당시 각 사업당 목표는 ‘연산용량 10PF 이상’의 국산 NPU 기반 데이터센터 구축이었으나 참여 기업들의 적극적인 의지로 각 데이터센터의 연산용량이 2배로 확대되어 총 39.9PF 규모로 착수한다.
이 사업에는 국내 클라우드·AI반도체·AI서비스 기업이 컨소시엄으로 참여하며 △클라우드 기업은 네이버클라우드·NHN클라우드·KT클라우드 △AI반도체 기업은 리벨리온·사피온코리아·퓨리오사AI가 참여한다. 이들 기업은 착수보고회를 통해 다음과 같은 각오를 내비쳤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초거대 언어모델을 비롯한 AI 활용이 본격적으로 확산되려면 상당히 많은 반도체 칩이 작동해야 하며 글로벌 기업들은 AI 연산에 최적화된 고성능·저전력 AI반도체를 만들기 위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며 “세계적인 반도체 전쟁에서 승리하기 위해 ‘K-클라우드 프로젝트’를 통해 국산 AI반도체가 조속히 레퍼런스를 확보하해 국내는 물론 글로벌 시장에도 진출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우리의 메모리 반도체 역량을 활용해 AI반도체를 2030년까지 단계적으로 고도화하고 이를 데이터센터에 적용하기 위해 필요한 HW와 SW 등 추가 기술 개발과 AI반도체 전문인력 양성도 추진하는 등 우리나라가 세계 최고 수준의 AI반도체 기술을 확보할 수 있도록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날 전략대화에는 과기정통부 장관을 비롯해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메모리 반도체 대기업과 리벨리온·사피온코리아·퓨리오사AI·딥엑스·텔레칩스·파두·망고부스트 등 국내 AI반도체 관련 기업 및 NHN·네이버·KT클라우드 등 클라우드 기업의 대표이사 등이 참석했다.
아울러 차세대지능형반도체·PIM인공지능반도체 사업단장, 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장,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원장, 교육부 등 주요 정부기관 대표자와 학계 전문가 등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