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4 (일)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유통


추경호 한마디에 라면업계 '화들짝' …왜?

[FETV=김진태 기자]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라면 가격 인하를 권고했다. 라면의 원료가 되는 밀 가격이 내렸다는 이유에서다. 라면 업체들의 고민이 깊어지는 모양새다.

 

추 부총리는 18일 KBS 일요진단에 출연해 라면값 인상 문제에 대해 목소리를 냈다. 최 부총리는 "지난해 9∼10월에 (기업들이) 많이 인상했는데 현재 국제 밀 가격이 그때보다 50% 안팎 내렸다"면서 "기업들이 밀 가격 내린 부분에 맞춰 적정하게 내렸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라면을 만들때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원재료 중 하나인 밀 가격이 내린 만큼 최근 올렸던 라면 가격도 내려야 한다는 취지다. 

 

실제로 작년 하반기 라면 업체들은 라면 가격을 대다수 높였다. 농심은 지난해 9월 라면 출고가를 평균 11.3%, 팔도와 오뚜기도 작년 10월 9.8%, 11.0% 올렸다. 삼양식품은 지난해 11월 평균 9.7% 라면 가격을 높였다. 당시 라면 업체들은 밀가루, 팜유 등 주요 수입 원자재 가격 인상과 물류비, 인건비 등 생산 비용 증가를 가격 인상 요인으로 꼽았다. 

 

라면 업계에선 원가 부담이 여전하다는 입장이다. 국제 밀 가격은 최근 안정화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평년에 비하면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는 시각에서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작년 5월 밀 선물가격은 톤(t)당 419달러를 기록했다. 지난 2월 밀가루의 t당 가격은 276달러로 절반 가까이 줄었지만 평년에 기록한 밀가루의 t당 가격이 201달러인 것을 고려할 때 여전히 비싸다. 

 

라면의 또 다른 원자재 중 하나인 전분 가격과 물류비의 증가도 업계 부담을 높이는 요인이다.  다만 라면 업계에선 밀가루 가격이 대폭 감소한 만큼 국민 부담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겠다는 것이 공통된 의견이다.

 

라면업계 관계자는 "정부로부터 공식 요청 받은 것이 없다"면서도 "어려운 여건이지만 방안을 다각도로 살피겠다"고 밝혔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 역시 "국민 부담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도록 여러모로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