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9 (토)

  • 흐림동두천 17.0℃
  • 구름많음강릉 12.4℃
  • 서울 19.9℃
  • 흐림대전 25.4℃
  • 구름조금대구 26.3℃
  • 구름많음울산 23.4℃
  • 구름많음광주 25.6℃
  • 구름많음부산 20.6℃
  • 구름많음고창 23.9℃
  • 구름조금제주 22.9℃
  • 흐림강화 11.5℃
  • 구름많음보은 26.6℃
  • 구름많음금산 25.5℃
  • 구름많음강진군 23.6℃
  • 구름많음경주시 27.0℃
  • 구름많음거제 18.0℃
기상청 제공



국민은행-토스, 인증시장 주도권 싸움 돌입...'고객확보'가 관건

국민 고객수 vs 토스 성장세 우위...'트리플' 정부인증은 공통점
명칭변경 등 서비스 강화...신한·카카오 등 후발주자 도전 '변수'

 

[FETV=권지현 기자] KB국민은행과 토스가 국내 '사설 인증시장'에서 주도권을 잡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다.


2020년 말 공인인증서 제도가 폐지된 데다 마이데이터 경쟁으로 사설 인증시장이 뜨겁게 달아오르는 가운데, 금융권에서는 국민은행과 토스가 초기 승기를 잡는 모습이다. 은행권과 핀테크(금융과 디지털 기술의 결합) 업계를 대표하는 국민은행과 토스의 싸움은 양 진영의 대리전 양상도 띠고 있다. 국민은행이 압도적인 고객 수를 내세워 은행권 '자존심'을 지키고 있고, 토스는 기술력을 바탕으로 젊은 세대들을 대거 끌어모으며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민은행은 이날 KB모바일인증서 서비스 명칭을 'KB국민인증서'로 바꾼다. 자체 모바일인증서를 새 단장, 환기를 꾀하는 동시에 주도권 굳히기에 들어간다는 전략이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모바일인증서의 브랜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명칭 변경을 시행했다"면서 "'KB국민은행'이 가진 브랜드 경쟁력을 통해 더욱 친근하고 신뢰감 있게 다가가고자 하는 의도"라고 말했다.

 

국민은행이 이례적으로 서비스명까지 바꾼 데는 금융권 최다 수준의 고객 수를 가진 자신감이 깔려있다. KB모바일인증서 고객 수는 최근 1200만명을 돌파했다. 제휴사는 국세청, 정부24, 국민건강보험 등 120여 개에 이른다.

 

국민은행의 또 다른 강점은 인증 '트리플' 획득이다. 현재 모바일인증서 관련 정부 인증은 행정안전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방송통신위원회가 심사하는 전자서명인증사업자, 공인전자문서중계자, 본인확인기관지정 총 3가지다.

 

'전자서명인증사업자'로 지정되면 금융·공공기관 등에 자사 인증서로 간편인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공인전자문서중계자'인 금융사는 오프라인의 등기우편과 같이 온라인상에서 전자문서를 송·수신 또는 중계할 수 있다.

 

특히 공인전자문서중계자의 경우 전자문서 유통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인력·시설·장비, 재정·기술력 등의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에만 지정받을 수 있다. 이외 '본인확인기관'이 되면 주민등록번호의 대체 수단을 개발하고 이를 제공·관리하는 등 본인확인 업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국민은행은 은행권 유일하게 정부 인증 3가지를 보유하고 있다. 신한은행과 하나은행은 각각 전자서명인증사업자, 본인확인기관지정 2가지 인증을 획득했으며, 우리은행은 현재 전자서명인증사업자 심사를 받고 있다. 공인전자문서중계자 인증은 내년 6월 중 진행할 예정이며, 본인확인기관지정은 현재 검토 단계다. NH농협은행은 올해 8월 전자서명인증사업자 지위를 얻었다.

 

국민은행이 사설 인증시장에서 시중은행 중 가장 앞서가고 있다면 토스는 대형 핀테크의 기를 살려주고 있다. 토스도 국민은행과 마찬가지로 정부 인증 3가지를 보유하고 있다. 토스뱅크, 토스증권 등 금융서비스를 하나의 앱에서 제공하는 토스는 집중력 있는 기술력과 빠른 피드백으로 일찌감치 대형은행들을 제치고 괄목할 만한 성과를 보였다. 

 

현재 토스인증서 고객 수는 870만명이다. 신한·하나은행 등 시중은행 모바일 인증서 고객 수가 600만명 안팎인 것에 비하면 눈에 띄는 성장세다. 사업자 수 증가 속도도 가파르다. 현재 토스인증서를 채택한 사업자는 약 1000여 곳으로, 이중 800곳이 올해 신규 고객이다. 제휴사는 정부24, 국민건강보험공단 등 40여 곳이다.

 

국민은행과 토스가 막강한 고객 수와 기술력을 앞세워 사설 인증시장을 주도해 가고 있지만 타 금융사의 공세도 만만치 않다. 하나은행은 현재 공인전자문서중계자 지위를 추가로 획득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으며, 토스뱅크와 경쟁하는 인터넷전문은행 카카오뱅크는 막강한 고객 파워를 바탕으로 시장을 주도하기 위해 고군분투 하고 있다. 현재 공인전자문서중계자와 본인확인기관 지위를 보유한 카카오뱅크의 인증서 고객 수는 1500만명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은행권 모바일 인증의 경우 후발주자가 많아 향후 판세를 지켜봐야 할 것 같다"면서도 "아무래도 기존 은행 고객 수와 맥을 같이할 수밖에 없어 시장 전략에 앞서 고민이 먼저 되는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인터넷은행 관계자는 "정부 인증을 획득하는 데는 상당한 자본력이 필요하다"면서 "인력과 시간도 확보해야 하기에 사설 인증시장은 긴 싸움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