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5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게임


스마일게이트 희망스튜디오, 기부목표 1671% 달성

진행 중인 6개 캠페인 모두 기부 금액 초과 달성
로스트아크 이용자들의 자발적인 기부 캠페인
스마일게이트, 게임을 통한 공감대 형성에 앞장서

 

[FETV=이승현 기자] 지난 주말 스마일게이트의 RPG 게임 ‘로스트아크’ 이용자들의 자발적인 기부 행렬이 이어졌다. 이에 6개 기부 캠페인이 모두 목표 기부 금액을 초과 달성했다. 특히, ‘스마일하우스’ 부문은 목표 금액을 1671% 초과 달성했다. 게임을 통한 선한 영향력을 꿈꾸는 스마일게이트의 진심이 이용자들에게 닿은 것으로 해석된다. 올해, 스마일게이트는 꾸준히 게임과 연계한 기부 캠페인을 진행해왔다. 이 중심에는 스마일게이트 희망스튜디오가 있다. 

 

스마일게이트 희망스튜디오는 사회공헌활동을 위해 지난 2012년 설립된 재단법인이다. 매년 그룹 내에서 운용 기금을 출연해 사회공헌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올해 초, 희망스튜디오는 기부금 100억원을 출연하기로 밝혔고, 이는 지난해 지출한 59억원에 2배 가까운 금액이다.

 

희망스튜디오는 현재 6개의 기부 캠페인을 진행 중이다. 인상적인 부분은 목표 기부액 대비 달성한 기부 금액 비율이다. 28일 기준, 6개 캠페인 모두 목표 금액대비 200% 가까운 달성 수치를 기록했다. 가장 높은 수치를 보이는 스마일하우스 캠페인의 경우, 목표 금액(300만원)보다 기부액(5000만원) 비율이 1671%에 달했다. 종료된 지난 캠페인의 달성 비율이 평균적으로 100%에서 150%정도 수준인 것을 감안하면, 유의미한 증가세를 보인 것으로 확인된다.

 

 

스마일게이트 관계자는 최근 진행된 로스트아크 이용자들의 자발적인 기부 운동이 주효했다고 말했다. 지난 주말, 금강선 로스트아크 디렉터는 실시간으로 게임 공지 메시지를 통해 이용자들에게 감사 인사를 전했다. 또한, 이용자들이 열광했던 게임 내 NPC ‘이고바바’ 아바타를 크리스마스 깜짝 선물로 전달했다.

 

이용자들은 해당 아바타를 착용하고 게임 내 대도시에서 춤을 추고, 사진을 찍으며 자발적인 크리스마스 분위기를 연출했다. 그리고 25일 0시, 일제히 로스트아크 개발진에게 감사 인사를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금강선 디렉터는 다시 한번 게임에 접속하여, 이용자들에게 화답했다.

 

큰 감동을 받은 몇몇 로스트아크 이용자들이 커뮤니티에서 스마일게이트 희망스튜디오의 기부 캠페인에 참여하며, 자발적인 기부 운동이 시작됐다. 게임 커뮤니티 ‘인벤’에 따르면, 기부 운동이 시작되고 얼마 지나지 않아 희망스튜디오의 모든 기부 캠페인이 모금액 100%를 달성했으며, 약 2일간 게시판에 작성된 모금 인증 글만 3000개가 넘어간다고 밝혔다.

 

스마일게이트는 올해 희망스튜디오를 통해 게임과 연계한 다양한 기부활동을 이어갔다. 에픽세븐, 테일즈러너, 미술양품점 등 자사가 서비스하는 게임과 연계하여 이용자의 자연스러운 참여를 유도했다. 특히 로스트아크의 경우, ‘디어 프렌즈’ 캠페인을 통해 장기적인 사회공헌활동을 진행했다. 또한, 유튜브 영상을 통해 이를 이용자들에게 알리며 이용자들의 공감과 지지를 받기도 했다.

 

박우빈 스마일게이트 사회공헌 팀장은 “게임 이용자들 안에 공감대를 만든다면, 이용자분들이 직접 게임사와 함께 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중요한 파트너가 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라고 밝혔다. 이번에 진행된 기부 운동은 스마일게이트의 진심이 이용자들에게 닿은 것으로 해석된다. 스마일게이트의 꾸준한 사회공헌활동은 이용자들이 이를 인지하고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계기가 됐다. 덕분에, 게임 서비스에 만족감을 느낀 이용자들이 자발적으로 사회공헌활동에 참여할 수 있던 것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