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양대규 기자] LG전자는 올레드 TV가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CES 2025에서 해외 유력 매체들로부터 잇따라 최고 제품으로 선정됐다고 10일 밝혔다. LG 올레드 TV는 지난 11월 CES 출품목을 대상으로 미국 소비자기술협회(CTA: Consumer Technology Association)가 수여하는 ‘CES 혁신상’에서 총 6개의 혁신상을 받았다. 영상디스플레이(Video Display) 부문에서는 ‘최고 혁신상’의 영예를 안았다. 2025년형 LG 올레드 TV는 9일(현지시간) 기준으로 CES 혁신상을 비롯, 유력 매체들이 선정한 CES 최고 제품상 등 총 37개의 어워드를 받았다. LG전자 전체 제품으로 범위를 넓히면 24개의 CES 혁신상을 포함해 현재까지 총 108개 어워드를 이번 CES 2025에서 수상했다. 미국 IT 매체 씨넷(CNET)은 2025년 신제품인 ‘LG 올레드 TV G5’를 CES 2025 최고 TV로 선정하며 “G5는 CES 2025에서 본 모든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TV중에서 가장 훌륭하다”라고 평가했다. 세계 최초 무선∙투명 TV ‘LG 시그니처 올레드 T’에 대해서도 “작년 CES에서 발표된 바
[FETV=신동현 기자] 청호나이스가 온라인 전용상품인 실속형 소형 안마의자 ‘드리미’ 출시기념 프로모션을 진행한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프로모션은 이번 1달 간 진행한다. 청호나이스 브랜드스토어에서 구매한 모든 신규고객에게 렌탈료 할인과 5개월 면제 혜택을 제공하며 안마의자 전용 카페트가 사은품으로 증정된다. 구매 후 포토리뷰를 남기는 고객에게는 네이버페이 1만원을 추가로 증정한다. 안마의자 ‘드리미’는 크기는 작지만 필요한 안마 기능을 갖췄으며 웜 그레이 색상으로 디자인돼 안마기기로서의 실용성과 함께 집안 인테리어에도 용이한 제품이다. 이 제품은 자동체형 인식 기능을 갖춰 사용자가 바뀌더라도 개인 체형에 맞춤형 안마를 제공한다. 마사지는 총 12가지 모드로 다양하게 제공하며 에어모드는 총 5가지 단계로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종아리 시트가 180도 회전되는 구조로 일상생활 중에는 리클라이너 형태로 변환해 1인 쇼파로 활용할 수 있다. 3단계 온열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블루투스 스피커도 내장됐다. 청호나이스 관계자는 "최근 소형 안마의자가 전 연령대에 인기를 끌고있어 우수한 제품을 합리적인 가격에 제공하기 위해 이번 프로모션을 마련했다”며 “평소 구매를
[FETV=양대규 기자] 은석현 LG전자 VS사업본부장 부사장이 모터트렌드 SDV 리더 부분에 선정됐다. LG전자는 글로벌 자동차 미디어 ‘모터트렌드(MotorTrend)’가 주관하는 '2025 SDV 이노베이터 어워즈(2025 SDV Innovator Awards)'를 수상했다고 10일 밝혔다. 모터트렌드 SDV 이노베이터 어워즈는 SDV(Software Defined Vehicle, 소프트웨어 중심 차량) 분야의 혁신을 이끌어 온 인물을 선정하는 상이다. 올해 3회를 맞았다. ▲선구자(Pioneer) ▲리더(Leader) ▲전문가(Expert) 세 부문에서 수상자를 선정한다. 은석현 부사장은 SDV 관련 자동차 산업의 트렌드를 리드하고 있는 인물에게 수여되는 ‘리더’ 부문에 선정됐다. SDV 기술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시상식은 현지 시간 기준 1월 7일 CES 2025가 열리고 있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진행됐다. 모터트렌드는 1949년 설립된 미국 최대 자동차 전문 미디어 그룹이다. 자동차 업계에서 권위 있는 ‘올해의 자동차(Car of the Year)’ 상을 비롯해 다양한 어워드를 주관하며 글로벌 자동차 산업에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FETV=양대규 기자] 장덕현 삼성전기 대표이사 사장은 9일(현지시간) "이번 CES 행사 기간 자동차 회사들과 만나 많은 미팅을 했다"고 말했다. 장 사장은 이날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정보기술(IT)·가전 전시회 CES 2025에서 기자들과 만나 '고객 미팅 상황'을 묻는 질문에 "전장(차량용 전자·전기장비), AI 위주로 이야기를 많이 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삼성전기는 전장용 부품을 핵심 사업으로 꼽고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장 사장은 "예전에는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이 하이엔드만 있었으나, 지금은 전체 볼륨에서 ADAS가 나오고 있다는 게 아주 큰 트렌드"라며 "전기차 캐즘(Chasm·일시적 수요 정체)이 있지만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HEV)에서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 등의 채용이 확대되고 있다는 점은 부품회사에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장 사장은 "자동차 대수는 정체돼 있지만, 자동차 한 대에 들어가는 전자 부품의 양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라며 "이는 전자 부품 업계에 있어 여전히 유효한 성장 기회"라고 강조했다. 삼성전기는 차량 내 ADAS에 적층세라믹커패시터(MLCC)를 공급하고 있다.
[FETV=양대규 기자]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CES 2025 기조연설에서 "인공지능(AI) 다음의 개척 분야는 피지컬(물리) AI"라며 "엔비디아의 코스모스는 피지컬 AI를 더 쉽고 효율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플랫폼"이라고 강조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도 젠슨 황의 말을 인용하며 "젠슨 황 CEO와의 회동에서 한국은 제조업이 강하고 노하우가 많이 남아있고, 젠슨 황 CEO도 피지컬 AI의 코스모스 플랫폼 등을 발전시키려고 한다"며 "젠슨 황 CEO와 '앞으로도 같이하면 좋겠다' '좀 더 논의해보자' 이런 수준의 얘기를 나눴다"고 밝혔다. 젠슨 황 CEO와 최태원 회장의 거듭된 언급으로 '피지컬 AI'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피지컬 AI는 말 그대로 물리적인 AI를 말한다. 기존의 AI가 디지털 세상에서 언어를 기반으로 사람들의 삶을 도와주는 일종의 AI 비서와 같다면 피지컬 AI는 로봇, 자율주행차와 같이 실제 기기에 탑재돼 직접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의미한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이런 물리적인 학습을 위한 AI 플랫폼 '코스모스'를 출시해 피지컬 AI에서도 리더십을 가져갈 계획이다. 젠슨 황 CEO가 피지컬 AI를 언급한
[FETV=신동현 기자] 현신균 LG CNS 사장이 "IPO(기업공개)를 발판으로 인공지능(AI)과 클라우드 등 DX(디지털 전환) 기술 역량을 강화하고 글로벌 사업을 본격화해 글로벌 DX 시장을 선도하는 '퍼스트 무버'가 되겠다"고 강조했다. LG CNS는 9일 서울 콘라드 호텔에서 기업 공개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현신균 LG CNS 사장은 간담회에서 이같은 내용을 밝혔다. 현신균 사장은 “올해 초부터 국내외 기관 투자자들을 만나 LG CNS의 미래 성장 전략을 공유하고 있다”며 “홍콩과 싱가포르 등 해외 투자자들과의 미팅을 마치고 오늘 간담회에 참석하게 됐다”고 말했다. 그는 “LG CNS는 AI와 클라우드, 스마트팩토리, 스마트물류, 스마트시티 등 다양한 DX(디지털 전환) 분야에서 독보적인 역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금융 DX와 전통 IT 서비스 영역에서도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특히 AI와 클라우드 분야에서 지속적인 혁신을 통해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며 “이번 IPO 상장이 LG CNS가 글로벌 무대에서 한 단계 도약하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성공적인 상장이 국내 증시에도 긍정적인 모멘텀을 제공하
[FETV=양대규 기자] 삼성디스플레이가 오는 4월 세계 최초로 노트북용 롤러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양산한다. 삼성디스플레이는 8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고 있는 세계 최대 가전·정보기술(IT) 전시회 'CES 2025'에서 미디어 초청 행사를 열고 중국 레노버의 신제품 '씽크북 플러스 6세대 롤러블'에 롤러블 OLED 디스플레이를 공급한다고 밝혔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오는 4월 양산에 착수할 예정이며, 노트북은 오는 6월 출시된다. 앞서 레노버는 지난 7일 CES 현장에서 해당 제품을 공개한 바 있다. 씽크북 플러스 G6 롤러블은 키패드 아래 부분에 숨겨져 있던 패널을 세로로 확대시키면 화면이 50%가량 커진다. 디스플레이가 말려 있는 평소(롤인) 상태에서는 5대 4 비율의 일반적인 14인치 노트북 형태다. 키보드에 있는 버튼을 눌러 패널을 펼친 롤아웃 상태에서 8대 9 비율의 16.7인치 화면을 이용할 수 있다. 김영석 삼성디스플레이 IT영업 담당 상무는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특성상 화면 전체에 스트레스가 가해질 수 있는데, 오랜 폴더블 생산 경험을 바탕으로 제품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며 “롤러블 기술은 IT 기기 특히 노트북
[FETV=양대규 기자] 한국앤컴퍼니그룹의 계열사 모델솔루션이 CES 2025에 참석해 공동 연구개발 파트너인 버넥트와 함께 참가해 증강현실(AR) 디바이스를 선보이며 신규 글로벌 고객 발굴에 나선다. 전시 기간 동안 인공지능(AI)∙확장현실(XR) 기술 전문기업 버넥트와 공동 개발한 ‘AI 스마트 고글’과 자체 개발한 산업용 AR 디바이스 ‘MS-AR20SE’을 선보인다. 방문객들이 제품을 착용하고 반도체 설비 라인의 실시간 데이터와 오작동 알람을 확인할 수 있는 체험 공간을 마련했다. CES 2025 혁신상을 수상한 ‘AI 스마트 고글’은 디지털 트윈 기술을 기반으로 스마트 팩토리를 구현하도록 설계됐다. 클린룸 환경에서 제조해야 하는 반도체 및 의료기기 생산의 산업 현장에서 사용하기에 최적화된 제품이다. AR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복잡한 작업 환경에서도 높은 안정성을 보장하며 AI 가이드 시스템으로 작업 시간과 오류를 단축하고 실시간 정보 처리와 원격 지원 기능 등을 지원한다. ‘MS-AR20SE’는 경량성과 사용성을 극대화한 단안형 AR 디바이스로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다. 주요 기능으로는 원격지원, IoT 정보 가시화, 디지털 작업지시 등
[FETV=양대규 기자] 장덕현 삼성전기 사장이 “전자산업은 모바일 중심의 ‘IT 플랫폼 1.0을 지나 모빌리티 디바이스가 주도하는 ‘IT 플랫폼 2.0’시대가 열렸다”며 “미래 산업의 기술 실현은 반드시 부품·소재가 기반이 되어야 가능하며, 이 분야 핵심 기술을 보유한 삼성전기에게는 새로운 성장 기회”라고 강조했다. 장덕현 삼성전기 사장(대표이사)은 8일(현지 시간) 라스베가스에서 “’미래’를 그리다. 삼성전기 ‘Mi-RAE' 신사업” 주제로 기자 간담회를 열고, 신사업 사업 계획을 발표했다. 장 사장은“삼성전기는 AI/서버, 전장, 에너지, 로봇 분야의 신사업을 성공적으로 전개하여 미래 성장기회를 놓치지 않겠다”라고 밝혔다. 삼성전기는 MLCC 사업에서 확보한 세라믹 재료 기술, 적층/소성 등 공정기술을 활용한 에너지 관련 신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삼성전기는 전지 내 전해질을 액체에서 고체로 대체한 전고체 전지 사업에서 성과를 거두고 있다. 삼성전기가 개발하고 있는 전고체 전지는 재료의 안정성이 높은 산화물계 고체 전해질(산화물계)을 사용해 형상의 자유도가 높아 웨어러블 기기 등 소형 IT 기기에서 리튬 전지를 대체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장덕현 사장은
[FETV=양대규 기자] 삼성전자는 CES 2025에서 삼성 아트 스토어를 통한 나만의 아트 갤러리 경험을 소개해 아트 TV 리더십을 선보였다고 9일 밝혔다. 삼성전자는 전시장에 '홈 포 아트(Home for Arts)'존을 마련해 ▲마이크로 LED ▲Neo QLED 8K ▲Neo QLED ▲더 프레임 등을 소개했다. 삼성전자와 파트너십을 맺은 ▲미국 뉴욕현대미술관(MoMA) ▲프랑스 오르세 미술관(Musée d'Orsay) ▲아트바젤의 작품들을 직접 감상할 수 있다. 삼성 아트 스토어는 2025년부터 더 프레임을 넘어 Neo QLED와 QLED 모델로 확장 적용된다. 삼성전자는 2017년 아트 구독 서비스 '삼성 아트 스토어'를 론칭하고 라이프스타일 TV 더 프레임(The Frame)을 통해 다양한 디지털 아트 경험을 선사해왔다. 삼성 아트 스토어 구독자들은 삼성 TV를 통해 사진, 일러스트 작품부터 유명 미술관 및 갤러리가 소장한 작품 약 3000점을 4K 화질로 감상할 수 있다. 삼성 아트 스토어는 정기 업데이트를 통해 매월 다채로운 큐레이션 작품을 제공하며, 사용자들을 예술의 세계로 안내하고 있다. 더 프레임의 '아트 스트림' 서비스를 통해 전문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