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양대규 기자] LG전자가 전기차 충전이나 의료 분야의 스타트업과 협업해 B2B(기업간거래)사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새로운 성장동력 발굴에 나선다고 22일 밝혔다. LG전자는 지난 20일 서울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한국무역협회(KITA)와 함께 20220년부터 3년째 운영 중인 ‘비즈노베이터(Biznovator)’의 올해 성과발표회를 열었다. ‘비즈노베이터’는 LG전자의 B2B사업에 특화된 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을 선발해 진행하는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 프로그램이다. LG전자는 지난 4월 공개 모집 이후 123개 스타트업이 지원한 가운데 3차례 심사를 거쳐 ▲옥토브 ▲커넥트브릭 ▲빔웍스 ▲소서릭스 ▲모니트 ▲위클러버 ▲스칼라데이터 ▲티제이랩스 등 8개의 파트너사를 최종 선발했다. 이후 신사업 육성 전문가를 투입해 LG전자가 보유한 기술 및 노하우를 제공하며 이들과 사업화 검증을 진행해 왔다. 이번 사업화 검증 성과 발표를 기반으로 전기차(EV) 충전, 빔프로젝터, 의료용 디스플레이 등 파트너사의 혁신 기술과 관련된 LG전자의 전문 조직을 투입해 개방형 혁신 활동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다. ‘옥토브’는 레일 이동형 전기차 충전 솔
[FETV=양대규 기자] 이주형 삼성전자 삼성리서치 부사장은 "모든 삼성 '가우스(Gauss)2 모델'은 다국어 및 여러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합적으로 지원하며 이미지 이해까지 가능한 멀티모달(Multimodal) 언어 모델"이라고 강조했다. 언어, 코딩, 이미지 등을 개별 인공지능(AI) 모델로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가우스2 AI 모델로도 이 모든 기능을 높은 성능으로 구사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21일 삼성전자는 '삼성 개발자 콘퍼런스 코리아 2024(SDC24 Korea)'를 온라인으로 개최했다. 이주형 부사장은 첫번째 키노트 연사로 나와 삼성의 새로운 가우스2 모델을 소개했다. 이주형 부사장은 "작년 이자리에서 자체 파운데이션 모델인 삼성 가우스 모델을 처음 소개했다. 당시 언어 모델, 코드 모델, 이미지 모델 등을 확보했고 그 후로도 이 모델들을 계속 업데이트 해왔다"며 "올해 이자리에서는 최신 학습 기술과 고품질 데이터를 바탕으로 더욱 향상된 성능을 보이는 삼성 가우스2 모델들을 소개하겠다"고 밝혔다. 이주형 부사장은 삼성 가우스2 모델들은 용도에 맞게 ▲콤팩트(Compact) ▲밸런스드(Balanced) ▲슈프림(Supreme) 으로 나눌 수 있다
[FETV=양대규 기자] LG AI연구원은 한 해 성과를 돌아보고 다가올 AI 핵심 트렌드를 짚어보는 ‘LG AI 인사이트(Insight) 2024’를 21일 개최했다. LG AI연구원에 따르면 LG 계열사 임직원을 대상으로 진행된 이번 컨퍼런스는 사전 참가 신청 3일만에 신청자 수가 1000여 명에 달할 정도로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LG전자, LG에너지솔루션, LG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계열사의 여러 직무를 담당하는 임직원이 함께했다. 이날 LG AI 인사이트가 열린 메인 홀에서는 각 분야 전문가가 인사이트를 전하는 ‘AI 테크 세미나(AI Tech Seminar)’가 진행됐다. ▲AI 에이전트(Agent) ▲초거대 언어모델 ▲멀티모달 AI ▲바이오 및 메디컬 산업 속 AI ▲컴퓨팅 인프라 등을 이슈로 세미나는 진행됐다. ▲위스콘신 매디슨 대학교(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이용재 교수 ▲서울대학교 이경무 교수 ▲잭슨랩(The Jackson Laboratory)의 매리 딕킨슨(Mary Dickinson) 최고전략책임자(CSO) ▲엔비디아(NVIDIA) 정구형 팀장 등 글로벌 AI 석학이 참석했다. LG AI 연구원 배경훈 원장
[FETV=양대규 기자] LG이노텍이 3759억원 규모의 광학솔루션사업부 시설투자를 단행했다고 21일 공시했다. 이는 LG이노텍 자본의 8%에 해당하는 규모다. 투자는 내년 말까지 진행된다. LG이노텍 측은 "광학솔루션 사업 신모델 대응 및 경쟁력 향상을 위한 투자"라고 목적을 밝혔다.
[FETV=양대규 기자] LG전자는 21일 이사회 승인을 거쳐 2025년 조직개편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개편으로 HVAC(냉난방공조) 사업의 본격적인 성장을 맡는 ES사업본부가 신설된다. 본부장에는 기존 에어솔루션사업부장 이재성 부사장이 맡는다. 기존 BS사업본부는 해체하고 기존 사업들은 관련성이 높은 사업부로 재배치했다. LG전자에 따르면 조직개편은 전사 중·장기 전략 ‘2030 미래비전’ 가속화에 초점을 맞췄다. 제품 단위로 나뉘어 있던 기존 사업본부 체제에서 ▲사업 잠재력 극대화 ▲플랫폼 기반 서비스사업 강화 ▲B2B(기업간거래) 가속화 ▲유망 분야 신성장동력 확보 등의 포트폴리오 혁신 전략을 가속화하고 조직 간 시너지를 높이는 ‘사업본부 재편(Re-Grouping)’이 핵심이다. 각 사업의 고객과 시장 특성을 고려, 운영 효율을 높이고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주안점을 뒀다. 먼저 LG전자는 사업본부의 대대적 재편을 단행했다. B2B 가속화의 한 축을 맡은 HVAC(냉난방공조) 사업의 본격적인 성장을 위해 사업본부를 신설했다. 해외영업본부에 해외 B2B 컨트롤타워 역할을 새롭게 부여했다. 플랫폼 기반 서비스사업의 본격 확대를 위해 TV, 모니터, 사
[FETV=양대규 기자] 삼성전자는 21일 '삼성 개발자 콘퍼런스 코리아 2024(SDC24 Korea)'를 온라인으로 개최했다고 21일 밝혔다. 삼성전자는 소프트웨어 개발자들과 소통하고 협력하기 위해 2014년부터 매년 개발자 행사를 개최해 왔다. 올해로 11주년을 맞이했다. 온라인으로 진행된 이번 콘퍼런스에서는 ▲생성형 AI ▲소프트웨어(S/W) 플랫폼 ▲IoT ▲헬스케어 ▲통신 ▲데이터 등 제품에 탑재된 다양한 소프트웨어의 연구 분야는 물론 오픈소스 개발 문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세션이 마련됐다. 전경훈 삼성전자 DX부문 최고기술책임자(CTO) 겸 삼성리서치장 사장은 환영사를 통해 "삼성전자는 인공지능과 데이터 분석과 같은 최신 소프트웨어 기술 확보에 집중하여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창조하고 고객의 삶을 개선하는데 주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삼성전자 고유의 생성형 AI 모델인 '삼성 가우스2'를 공개하고, 향상된 성능과 효율, 그리고 활용 방안에 대해 설명할 예정"이라며 "이를 통해 업무 생산성 향상과 단계적 제품 적용으로 더욱 편리하고 차별화된 고객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삼성전자는 키노트 발표에서 지난해 처음 공개한 생성형 A
[FETV=양대규 기자] SK하이닉스가 세계 최고층인 321단 1Tb(테라비트) TLC(트리플 레벨 셀) 4D 낸드 플래시를 양산하기 시작했다고 21일 밝혔다. 300단대 낸드플래시 양산은 세계 최초다. SK하이닉스는 "2023년 6월에 직전 세대 최고층 낸드인 238단 제품을 양산해 시장에 공급해 왔고 이번에 300단을 넘어서는 낸드를 가장 먼저 선보이며 기술 한계를 돌파했다"며 "네년 상반기부터 321단 제품을 고객사에 공급해 시장 요구에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낸드 플래시는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 반도체로, 셀을 수직으로 쌓아 올려 데이터 용량을 늘리는 적층 기술이 경쟁력의 핵심 요소다. SK하이닉스는 이번 제품 개발 과정에서 생산 효율이 높은 ‘3-플러그(Plug)’ 공정 기술을 도입해 적층 한계를 극복했다. 이 기술은 세 번에 나누어 플러그(여러 층의 기판을 쌓은 뒤 셀을 한 번에 형성하기 위해 내는 수직 구멍) 공정을 진행한 후, 최적화된 후속 공정을 거쳐 3개의 플러그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방식이다. 이 과정에서 저변형 소재를 개발하고 플러그 간 자동 정렬 보정 기술을 도입했다. 이와 함께, 회사 기술진은 이전 세대인 2
[FETV=양대규 기자] 20일 글로벌 시장조사기관인 옴디아가 발표한 3분기 글로벌 TV시장 실적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3분기 누적 매출 기준 28.7%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이에 삼성전자는 '19년 연속 글로벌 1위' 달성을 눈 앞에 두고 있다. 수량 점유율에서도 삼성전자는 3분기 누적 18.1%를 기록하며 1위를 유지했다. 2500달러 이상 프리미엄 제품 시장에서 Neo QLED와 라이프스타일 TV등을 앞세워 전체 시장의 절반 수준인 49.2%의 매출 점유율을 기록했다. 75형 이상 초대형 시장에서도 삼성은 29.4%의 매출 점유율로 1위 자리를 지켰다. 98형 제품의 판매 호조에 힘입어 80형 이상 초대형 시장에서도 32.7%의 매출 점유율을 기록했다. 삼성은 QLED와 OLED 시장에서 올해 3분기 QLED 566만대, OLED 94만대를 판매했다. 전체 시장 기준 QLED는 약 40%, OLED는 전체 시장의 1/4 가량을 판매했다. QLED는 3분기 누적 1447만대로 전년 동기 1096만대 대비 30%가 넘게 성장했다. OLED도 작년 3분기 누적 371만대 대비 올해 398만대를 기록하며 7.3% 가까이 늘었다. 글로벌 TV 시장은 작년 대비 매
[FETV=양대규 기자] 삼성전자는 삼성 글로벌 골즈 앱(Samsung Global Goals)이 '제 4회 앤썸 어워드(Anthem Awards)'에서 '파트너십과 협업-책임감 있는 기술' 부문 동상을 수상했다고 20일 밝혔다. 앤썸 어워드는 미국의 국제 디지털 예술·과학 아카데미(International Academy of Digital Arts and Science)에서 주관하는 개인, 기업, 조직 등의 사회적 영향력을 기리는 세계적인 규모의 시상식이다. 삼성 글로벌 골즈 앱은 삼성전자와 유엔개발계획(UNDP)이 파트너십을 맺고 빈곤 퇴치, 기아 종식 등 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을 위해 2019년 출시한 앱이다. 지속가능발전목표는 유엔(UN)과 국제사회가 인류의 보편적 문제, 환경문제 등을 해결하고자 이행하는 국제적 공동 목표를 말한다. 갤럭시 사용자들은 앱을 통해 지속가능발전목표에 대해 학습할 수 있다. 빈곤 퇴치, 기아 종식, 깨끗한 물과 위생 등 전세계 갤럭시 사용자들이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지속가능발전목표가 무엇인지에 대한 인사이트도 제공한다. 직접 기부·앱 내 광고 시청 등을 통해 지구촌 과제 해결을 위한 기부금을 적립 할 수 있다. 삼성전자는 앱
[FETV=양대규 기자] 삼성전자가 슬림한 사이즈 속에서 밝기를 개선한 새로운 카메라 기술을 개발했다. 해당 제품은 내년 1월 출시될 예정인 삼성전자의 차세대 플래그십 모델 갤럭시 S25 시리즈에 탑재될 것으로 전망된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반도체는 '삼성 아이소셀(ISOCELL) ALoP(All Lenses on Prism)'라고 불리는 새로운 카메라 기술을 개발했다. 기술은 모듈 사이즈를 획기적으로 줄이며 밝기를 개선했다. 삼성전자에 따르면 기존 카메라 기술로 스마트폰에 광각, 초광각, 망원 등 소비자들이 원하는 다양한 줌 기능을 집어넣은 채 성능을 높이려면 카메라의 크기가 계속 커질 수밖에 없다. 삼성전자 반도체가 개발한 ALoP 기술은 렌즈 배열을 바꿔 사이즈가 커지는 기존의 스마트폰 카메라 구조를 해결한다. 최근에는 망원 카메라가 3~3.5배의 줌 비율을 커버할 수 있도록 하는 개발이 이뤄졌는데 이는 광각 렌즈의 이미지 왜곡 없이 인물 사진을 찍기에 이상적인 선택이다. 하지만 줌 비율이 높은 망원 카메라는 광각 카메라보다 초점 거리가 더 길어 모듈 높이가 더 높아지게 된다. 카메라 범프가 더 커질 수밖에 없다. 보통 이런 망원 카메라 범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