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신동현 기자] 김정환 대표가 2016년 설립한 게임사 앤유는 10년 가까이 게임을 개발하는 동안 630억원이 넘는 투자금을 유치했다. 이제서야 게임 개발의 끝이 보이는 상황이지만 투자자인 대성창업투자 등에서 운영하는 일부 펀드는 올해 9월 만기에 도달한다. 게임 개발 마지막 단계에서 개발금, 향후 게임 론칭을 위한 대규모 마케팅 자금 등 추가적으로 돈 들어갈 곳은 많지만 현재 앤유의 현금 곳간은 거의 비워진 상황이다. 흥행성도 아직은 반반인 상황이라 투자자들의 투자금 회수에 관심이 쏠린다. ◇ 2017년 이후 총 637억 투자 유치…올해는 직접 펀딩 시도 앤유는 설립 이후 꾸준히 외부 자금을 끌어왔다. 2019년 시리즈B 라운드에서는 카카오벤처스, 대성창업투자, DSC인베스트먼트, 아이디어브릿지파트너스, 메이플투자파트너스, 유안타증권, 어니스트벤처스 등이 참여해 98억원을 투자했다. 2020년에는 KDB산업은행 주도로 200억원 규모의 시리즈C 투자를 유치했다. YG인베스트먼트 등 신규 투자자와 기존 투자사들이 대거 참여했으며 글로벌 게임사도 전략적 투자자로 합류했다. 이 시기에도 개발 중인 ‘프로젝트 N1’의 출시 시점은 2021년 말로 예정돼
[FETV=신동현 기자] 그라비티는 2025년 2분기 연결 기준 매출 1707억원, 영업이익 197억원을 기록했다고 8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38.9%, 영업이익은 31.2% 증가했다. 전분기 대비 매출은 24.2% 늘었으나 영업이익은 신작 출시 마케팅 비용 증가로 감소했다. 그라비티는 2024년 1분기 1198억원 이후 5분기 연속 매출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2분기 실적은 중남미 지역에서 5월 론칭한 PC MMORPG Ragnarok Online América Latina와 동남아·대만·홍콩·마카오·북중남미·오세아니아·유럽 일부 지역에서 출시한 Ragnarok M: Classic, Ragnarok Idle Adventure Plus, Ragnarok X: Next Generation 등의 신규 매출이 기여했다. 다만 북중남미·동남아 지역 Ragnarok Origin 매출 감소가 일부 영향을 미쳤다. 하반기에도 라그나로크 IP 기반 신작과 서비스 지역 확대가 이어진다. 7월에는 RO선경전설: 서광, RO선경전설Online: 낙원을 대만·홍콩·마카오에 출시했고, 라그나로크 크러쉬를 글로벌 시장에 선보였다. 8월에는 Ragnarok V: Retu
[FETV=신동현 기자] 위메이드는 2025년 2분기 연결 기준 매출 1168억원, 영업손실 285억원, 당기순손실 283억 원을 기록했다고 8일 밝혔다. 매출은 전분기 대비 18%, 전년 동기 대비 32% 감소했다. 1분기 출시작 '레전드 오브 이미르', '로스트 소드'의 출시 효과가 줄고 기존 게임 매출이 하락한 영향이다. 2025년 상반기 누적 매출은 2587억원, 영업손실은 399억원이다. 영업적자는 전년 동기 대비 219억원 줄며 개선됐다. 하반기에는 '미르의 전설2, 3'의 중국 라이선스 매출이 반영되고 '레전드 오브 이미르' 글로벌 버전, '미르M' 중국 버전, '미드나잇 워커스' 등 신작이 출시될 예정이다. 내년까지 10종 이상을 국내외에 선보여 실적 회복을 노린다.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 ‘위믹스 플레이’는 서비스 고도화와 외부 게임 온보딩을 확대해 2026년까지 외부 게임 10종 이상을 확보하고 매출을 늘릴 계획이다. 8월 12일 서비스 시작 예정인 '롬: 골든 에이지'는 사전예약자 400만명을 돌파했다. ■다음은 컨퍼런스콜 질의응답 전문이다. Q. '레전드 오브 이미르' 글로벌 버전의 개선점과 토크노믹스 차별점은 무엇인가.
[편집자 주] 게임 산업은 몇몇 흥행작에 실적이 좌우되고 주가와 기업가치는 기대에 따라 출렁이기 쉽다. 그만큼 한 게임의 성공 이면에는 복잡한 실적 구조, 계열사 운영, 보상 체계, 주주 정책 등이 맞물려 있다. FETV가 게임의 성과, 내부 조직 운영, 지배구조까지 전방위적인 분석을 통해 게임사들의 내면을 조명해보고자 한다. [FETV=김선호 기자] 당기순이익 적자전환에도 임원들에게 수억원의 성과급을 지급한 네오위즈는 과연 주주들에게는 무엇을 해줬을까. 네오위즈는 한때 넥슨, 엔씨소프트와 함께 ‘3N’으로 불리며 국내 초창기 게임산업을 이끄는 주요 사업자로 위치했지만 모바일 게임 위주로 재편되는 시장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고 주류에서 제외됐다. 그러다 2023년 출시한 ‘P의 거짓’의 흥행이 재도약의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이 때문에 네오위즈에게 ‘P의 거짓’이 갖는 의미는 남달랐다. ‘P의 거짓’ 흥행에 보답하고자 상장 이후 처음으로 배당을 실시하기도 했다. 실제 네오위즈는 2023년 기준 50억원 가량을 결산배당한다고 2024년 2월 공시했다. 그러나 바로 다음해인 2024년 결산배당은 실시하지 않았다. 실적 개선이 이뤄졌지만 주주로서는 기대했던 배
[FETV=신동현 기자] 넥슨은 자회사 넥슨게임즈가 개발한 루트슈터 게임 '퍼스트 디센던트(The First Descendant)에 시즌3 ‘돌파(Breakthrough)’ 업데이트를 적용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업데이트에서는 신규 계승자(캐릭터) ‘넬’을 추가했다. ‘넬’은 염동력을 기반으로 적에게 표식을 부여해 추가 피해를 주고 ‘아르케 구체’를 활용해 적의 능력을 약화시키거나 공격하는 스킬을 사용한다. 새로운 스토리에서는 ‘넬’을 중심으로 침략자 ‘카렐’과의 서사가 전개된다. 신규 지역 ‘액시온 평야’도 개방됐다. 이용자는 이 지역에서 7개 미션 콘텐츠를 진행하며 신규 스킬 모듈 ‘트리거 모듈’과 다양한 보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 신규 몬스터 ‘균열의 군단’과 최대 8인이 함께 도전하는 필드 보스 ‘월크래셔’가 등장한다. 이와 함께 필드 이동을 위한 탈것 ‘호버 바이크’ 3종(기본형·가속도형·밸런스형)이 추가됐으며, 외형 스킨과 부착물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다. 신규 무기에는 적의 방어를 무력화하는 궁극 무기 ‘이레이저’와 다연발 유도 미사일 런처 ‘박멸자’가 포함됐다. 첫 컬래버레이션 콘텐츠로는 글로벌 RPG 니어: 오토마타와의 협업을 통해 ‘2B
[편집자 주] 게임 산업은 몇몇 흥행작에 실적이 좌우되고 주가와 기업가치는 기대에 따라 출렁이기 쉽다. 그만큼 한 게임의 성공 이면에는 복잡한 실적 구조, 계열사 운영, 보상 체계, 주주 정책 등이 맞물려 있다. FETV가 게임의 성과, 내부 조직 운영, 지배구조까지 전방위적인 분석을 통해 게임사들의 내면을 조명해보고자 한다. [FETV=신동현 기자] 회사실적은 한파를 맞았지만 수뇌부들의 연봉에는 훈풍이 불었다. 네오위즈는 2024년 전년 대비 순이익이 500억원이 넘게 감소하며 적자 전환했다. 주가도 하향세였지만 김승철·배태근 공동대표와 사내 이사들의 연봉은 전년 대비 최소 63% 이상 증가했다. ◇작년 자회사·금융자산 손상 차손으로 적자 돌아선 네오위즈 네오위즈는 2020년 코로나 팬데믹과 웹보드 게임 규제 완화 특수 등의 호재가 겹치며 600억원의 영업이익과 621억원의 순이익을 거둬 각각 전년 대비 85%, 150% 증가한 수치를 기록했다. 그러나 이후 코로나 팬데믹 종료와 함께 자회사 및 금융자산 손상차손 등으로 모처럼 올렸던 기세는 점점 꺾여갔다. 2022년 네오위즈는 영업이익은 195억원, 순이익은 132억원을 기록하며 2년 만에 큰 폭의
[편집자 주] 게임 산업은 몇몇 흥행작에 실적이 좌우되고 주가와 기업가치는 기대에 따라 출렁이기 쉽다. 그만큼 한 게임의 성공 이면에는 복잡한 실적 구조, 계열사 운영, 보상 체계, 주주 정책 등이 맞물려 있다. FETV가 게임의 성과, 내부 조직 운영, 지배구조까지 전방위적인 분석을 통해 게임사들의 내면을 조명해보고자 한다. [FETV=박민석 기자] 'P의 거짓'의 흥행으로 반전의 기회를 가졌지만 네오위즈는 종속기업의 장기 부진으로 순이익 회복에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최근까지도 적자 법인의 청산과 매각을 통해 체질 개선에 나섰지만 종속기업 중 절반 이상이 개발사이기에 신작 흥행 없이는 실적 회복이 어렵다는 전망이 나온다. ◇종속기업 16곳 적자…상위 5곳이 전체 손실 견인 네오위즈 올해 1분기 보고서에 따르면, 22개 종속기업의 전체 당기순이익 규모는 마이너스(-) 20억원이다. 22개 중 16곳이 적자결산을 기록한 탓이다. 이 중 순손실 규모 상위 5곳은 ▲파우게임즈(11억5532만원) ▲Novaflow Labs Ltd.(10억2562만원) ▲GameOn Co.Ltd(7억) ▲ NEOWIZ Santa Monica(4억원) ▲티앤케이팩토리(906
[편집자 주] 게임 산업은 몇몇 흥행작에 실적이 좌우되고 주가와 기업가치는 기대에 따라 출렁이기 쉽다. 그만큼 한 게임의 성공 이면에는 복잡한 실적 구조, 계열사 운영, 보상 체계, 주주 정책 등이 맞물려 있다. FETV가 게임의 성과, 내부 조직 운영, 지배구조까지 전방위적인 분석을 통해 게임사들의 내면을 조명해보고자 한다. [FETV=신동현 기자] 외부 IP 퍼블리싱으로 호황을 누렸다가 침체기를 겪었던 네오위즈는 'P의 거짓’을 출시하며 반등 계기를 마련했지만 'P의 거짓'은 초반 흥행 이후 하향 성장 안정세에 접어들었다. 반면 출시 직후 부진했던 모바일 게임 ‘브라운더스트2’는 2주년 업데이트를 기점으로 역주행에 성공했다. ◇ 외부 IP 퍼블리싱으로 이룬 1차 전성기 1997년 설립된 네오위즈는 초기에는 소프트웨어 개발이 주 사업이었다. 인터넷 자동 접속 프로그램 ‘원클릭(ONECLICK)’을 시작으로 1999년에는 웹 기반 커뮤니티 서비스 ‘세이클럽(SayClub)’과 후불 결제 시스템 ‘원클릭페이(OneClick Pay)’를 출시하며 IT 기업으로서 입지를 다졌다. 본격적으로 게임 산업에 진출한 것은 2003년이다. 네오위즈는 당시 게임
[FETV=신동현 기자] 넷마블은 신작 오픈월드 액션 RPG '일곱 개의 대죄: Origin'의 대형 옥외광고를 일본 시부야와 신주쿠 일대에서 진행 중이라고 7일 밝혔다. 넷마블은 도쿄 시부야 센터가의 '히트 비전(HIT Vision)'과 신주쿠 가부키초의 '크로스 신주쿠 비전(Cross Shinjuku Vision)'에 위치한 대형 전광판을 통해, '일곱 개의 대죄: Origin' 사전등록을 알리는 15초 영상 광고를 공개했다. 해당 광고 영상은 가로·세로 약 18.9×8.1m(신주쿠), 20.3×2.8m(시부야) 규모다. 영상에는 원작의 주인공 멜리오다스와 트리스탄이 탈 것을 타고 하늘을 나는 장면이 등장하며 아나모픽(Anamorphic) 기법을 활용해 전광판에서 실제로 튀어나오는 듯한 입체감과 생동감을 구현했다. 특히 캐릭터가 관람자와 눈을 맞추는 듯한 연출이 몰입감을 더한다. 넷마블은 정식 출시에 앞서 “일곱 개의 대죄: Origin”을 국내외 시장에 적극적으로 소개하고 있다. 특히, 8월 독일 쾰른에서 열리는 유럽 최대 게임쇼 '게임스컴 2025'의 전야제 쇼케이스 '오프닝 나이트 라이브(Opening Night Live)'에 참가해 신규 영상을 공
[FETV=신동현 기자] 카카오게임즈가 2025년 2분기 연결 기준 매출 1158억원, 영업손실 86억원을 기록했다고 6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24% 줄었고 영업이익은 적자 전환됐다. 다만 ‘오딘: 발할라 라이징’의 글로벌 확장과 자체 개발 IP 비중 확대 등의 영향으로 전분기 대비 영업손실 폭은 31%가량 줄었다. 사업 부문별로는 모바일 게임이 1010억 원을 기록해 전체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전년 동기 대비 26% 감소했지만, 전분기보다 5% 증가했다. 반면 PC온라인 게임 매출은 148억 원으로, 전년 대비 9%, 전분기 대비 45% 줄었다. 카카오게임즈는 하반기 글로벌 신작 출시와 대형 타이틀 개발에 주력할 방침이다. 9월에는 모바일 액션 RPG ‘가디스오더’의 글로벌 출시가 예정돼 있으며, 자회사 오션드라이브 스튜디오의 전략 게임 ‘갓 세이브 버밍엄’은 독일 쾰른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게임쇼 ‘게임스컴 2025’에 출품된다. 이외에도 수집형 육성 게임 ‘프로젝트 C’, 2.5D MMORPG ‘프로젝트 OQ’, 전략 RPG ‘던전 어라이즈’ 등 다양한 장르의 신작을 선보일 계획이다. PC·콘솔 대작 개발도 이어간다. ‘크로노 오디세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