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양대규 기자] 삼성전자는 지난달 24일부터 이달 3일까지 진행한 갤럭시 S25 시리즈 국내 사전 판매에서 130만대를 기록했다고 4일 밝혔다. 130만대는 역대 갤럭시 S 시리즈 사전 판매 중 최다 판매 신기록이다. 직전까지의 S 시리즈 최다 사전 판매 기록은 갤럭시 S24 시리즈 였다. 지난해 7일간 진행한 사전 판매에서 121만대를 기록했다. 갤럭시 S25 시리즈는 이 기록을 1년만에 갈아치웠다. 갤럭시 스마트폰 최다 사전 판매는 2019년 갤럭시 노트10이다. 11일간 138만대를 판매했다. 이번 사전 판매는 임시공휴일을 포함한 설 연휴 기간이 4일인 점을 감안해 11일동안 운영됐다. 갤럭시 S25 시리즈 사전 판매의 모델별 판매 비중은 갤럭시 S25 울트라 52%, 갤럭시 S25 26%, 갤럭시 S25+ 22%이다. 색상은 갤럭시 S25 울트라는 티타늄 화이트실버, 티타늄 실버블루가 갤럭시 S25+와 갤럭시 S25는 아이스블루와 실버 쉐도우의 인기가 높았다. 삼성닷컴, 삼성 강남 전용 컬러 중에서는 티타늄 제트블랙과 블루블랙의 인기가 높았다. 삼성닷컴에서 갤럭시 S25 시리즈를 사전 구매한 고객 중 약 30%가 'New 갤럭시 AI 구독클럽
[FETV=한가람 기자] LG이노텍이 대학생을 대상으로 유튜브 광고 공모전을 연다고 4일 밝혔다. 공모전은 대학생들의 아이디어로 LG이노텍 브랜드를 MZ세대에게 홍보하기 위해 기획됐다. 공모전 주제는 LG이노텍의 신규 브랜드 아이덴티티 'ENABLE THE NEXT(고객이 그리는 새로운 미래의 실현)'와 브랜드 슬로건 'YOUR ASPIRATION, OUR INNOVATION(고객의 미래, 우리의 혁신이 답하다)' 중 하나를 선택한다. 참가자들은 선택한 주제와 관련해 15~59초 이내의 '숏폼' 영상을 만들면 된다. '숏폼'은 모바일 세로보기에 최적화된 1분 내외의 영상이다. 공모전은 국내외 대학생과 대학원생이 참가 가능하며 개인이나 4인 이하의 팀으로 참여할 수 있다. 접수 기간은 2월4일부터 3월16일까지다. 응모 희망자는 LG이노텍 뉴스룸에 올라온 참가 신청서를 작성해 영상과 함께 이메일로 제출하면 된다. 최종 수상작은 심사를 통해 4월 8일 발표된다. 대상 1팀, 최우수상 1팀, 우수상 2팀, 장려상 2팀이 정해지며 총 800만원의 상금이 수여된다. 수상작은 LG이노텍 유튜브 공식 계정을 통해 공개된다. 회사는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MZ세대와 소통을
[FETV=양대규 기자] 글로벌 반도체 IP 기업 Arm은 칩렛 시스템 아키텍처(Chiplet System Architecture·CSA)의 첫 번째 공개 사양을 선보였다고 3일 밝혔다. Arm은 이를 통해 CSA 개발에 중요한 이정표를 세웠다고 강조했다. 리벨리온, 지멘스, 시놉시스 등 60개 이상의 관련 기업이 CSA에 참여해 여러 시장 부문의 실리콘 전략에 기여하고 표준을 적용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삼성전자 파운드리, 리벨리온, 에이디테크놀로지와 Arm은 기술을 결합하여 데이터센터에서 대규모 AI 워크로드의 훈련과 추론을 위한 AI CPU 칩렛 플랫폼을 개발했다. 이는 생성형 AI 위크로드(Llama3.1 405B 파라미터 LLM)에 약 2~3배의 효율성 이점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CSA와의 표준화 작업의 결과로 이제 삼성전자 파운드리 2나노(nm) GAA(게이트 올 어라운드) 고급 공정 기술로 구현할 수 있는 에이디테크놀로지의 Neoverse CSS V3 기반 컴퓨팅 칩렛으로 구축된다. 에디 라미레즈 Arm 인프라 사업부의 부사장은 “AI는 이전과 달리 모든 시장에 스며들어 새로운 산업 혁명을 주도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며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FETV=양대규 기자] LG전자는 서울 강서구 LG사이언스파크 4개 연구동의 증설을 완료했다고 3일 밝혔다. 이로써 LG사이언스파크 내 LG전자 연구동은 10개(W1~W10)로 늘어났다. 국내 연구개발(R&D)인력 약 1만명이 집결해 글로벌 R&D 컨트롤타워를 맡게 된다. LG사이언스파크 내 LG전자 연구동의 전체 연면적은 12.5만평, 부지 기준으로는 2.1만평이다. 서울 소재 단일 회사 R&D센터로는 최대 규모다. LG전자는 서울 지역 대규모 R&D센터 운영이 향후 우수 R&D 인력 확보에도 긍정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지난 설 연휴를 시작으로 서초R&D캠퍼스, 양재R&D캠퍼스, 가산R&D캠퍼스 등에서 근무하는 연구원 가운데 2000명이 LG사이언스파크 신설 연구동으로 순차 입주를 시작했다. 선행기술 R&D를 주도하는 CTO부문 및 4개 사업본부(HS/MS/VS/ES) 소속 R&D 인력 대부분이 LG사이언스파크에 모여 근무하게 된다. LG사이언스파크는 총 23개 해외 연구소의 현지 적합형 제품 개발 및 본사 주도 R&D 과제 수행 기능을 이끄는 R&D 컨트
[FETV=양대규 기자] 삼성전자의 최신 플래그십 스마트폰 '갤럭시 S25' 시리즈가 본격적으로 소비자들의 손에 전달된다. 신제품임에도 전년도 제품과 가격은 동일하게 나오고 있어 업계 관계자들은 갤럭시 S25가 흥행할 것으로 보고 있다. 갤럭시 S25 시리즈는 최근 가격이 급등한 퀄컴 스냅드래곤 최신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를 탑재했으며 12GB D램(DRAM)을 기본적으로 장착하고 있다. 다만 일부 사용자들 사이에는 갤럭시 S25가 전작인 S24와 비교해 크게 달라진 점이 없다며 '혁신'이 부족하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기도 한다. 단순 일부 하드웨어만 상승됐으며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만 업데이트를 한 것뿐이라서 '가성비 제품'은 맞지만 최신 플래그십 폰으로의 위용이 보이지는 않다는 지적이다. 3일 업계에 따르면 갤럭시 S25 시리즈의 사전예약자들이 4일부터 통신사 개통이 시작된다. 공식 출시일은 7일이다. 소비자들이 S25 시리즈를 본격적으로 사용하기에 앞서 삼성전자를 비롯해 국내외 리뷰어들을 통해 새로운 제품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공개됐다. 지난달 23일 삼성전자는 갤럭시 S25 시리즈의 사전예약을 발표하며 "삼성전자는 갤럭시 S25를 새롭게 선보이며
[FETV=양대규 기자] 삼성전자가 전 세계 28개 시장에서 소비자들이 뽑은 ‘글로벌 최고 브랜드’ 1위를 차지했다. 2일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여론조사업체 유고브(YouGov)가 최근 발표한 ‘2025년 글로벌 최고 브랜드 순위’에서 삼성전자는 43.0점을 얻어 1위를 기록했다. 2022년 같은 조사에서 처음 1위에 오른 데 이어 2회 연속 1위다. 2023년과 2024년에는 유고브가 해당 조사를 실시하지 않았다. 유고브는 전 세계 28개 시장에서 100만 건 이상의 소비자 설문 조사를 통해 브랜드별 인상과 품질, 가치, 고객 만족도, 평판, 추천도 등 6가지 항목을 평가해 순위를 매긴다. 삼성전자의 경우 품질에서 48.8점을 얻었고, 인상(47.8점)과 추천도(44.1점), 평판(42.3점) 등에서도 높은 점수를 얻었다. 삼성전자에 이어 유튜브와 왓츠앱이 나란히 41.6점을 받아 2∼3위에 자리했고, 구글(40.0점)과 아디다스(35.4점), 나이키(35.3점), 구강관리 브랜드 콜게이트(33.2점), 넷플릭스(33.2점), 도요타(31.5점), 이케아(31.4점) 등이 10위권에 포함됐다. 상위 10곳 중 아시아 기업은 삼성전자와 도요타 등 2곳이다.
[FETV=양대규 기자] LG전자는 ‘LG 스탠바이미(StanbyME) 2’를 국내 시장에 본격 출시한다고 2일 밝혔다. 제품은 화면부를 스탠드와 분리할 수 있어 더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고 고해상도 디스플레이와 고용량 배터리 탑재로 더 선명하고 오래간다. LG 스탠바이미 2(모델명: 27LX6)는 '이동식 라이프스타일 스크린'이라는 장르를 개척한 것으로 평가받는 ‘LG 스탠바이미’의 4년 만에 선보이는 신제품이다. LG전자는 후속작에 바라는 고객의 목소리를 제품 기획 단계부터 반영, 장점은 더 강화하고 원하는 바는 보완해 LG 스탠바이미 2를 설계했다. 무빙휠을 활용한 뛰어난 이동성과 다양한 자세로 시청 가능한 편리한 사용성은 LG 스탠바이미의 차별적인 장점으로 꼽혔으며, 신제품에서 더 편리하도록 대폭 강화됐다. LG 스탠바이미 2는 나사를 푸는 등 복잡한 과정 없이 버튼 하나로 화면부를 스탠드와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 스탠드에 내장됐던 배터리를 화면부로 옮겨 분리된 상태에서 따로 사용할 수 있고, 화면부의 USB-C 포트를 통해 간편하게 충전도 가능하다. 분리한 화면부를 세우는 전용 액세서리를 사용하면 태블릿 PC처럼 책상∙테이블 등에 올려두고 콘텐츠를
[FETV=양대규 기자] 삼성전자는 천장 단내림 공사 없이도 시스템에어컨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삼성 인테리어핏 키트'를 출시했다고 2일 밝혔다. 삼성 인테리어핏 키트는 천장 내∙외벽 사이가 좁은 구축 아파트나 주택에서 시스템에어컨 설치를 위해 진행하던 천장 단내림 공사를 대체하는 패널이다. 천장 단내림 공사는 천장 내벽 절단과 목공∙도배 등의 추가 작업이 필요해 2~3일의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층고가 낮아지거나 공사 부위가 돌출돼 미관상 좋지 않았다. 삼성 인테리어핏 키트는 천장과 시스템에어컨의 단차를 들뜸없이 연결해 공간의 분위기를 해치지 않는다. 삼성 무풍 시스템에어컨의 무풍 홀 디자인을 그대로 적용해 시스템에어컨과 하나의 제품처럼 보인다. 설치 방법도 간편해 단 하루 만에 시공이 가능하다. 천장 외벽을 타공해 '삼성 인테리어핏 키트'를 설치하고, 설치된 키트에 시스템에어컨을 거치하는 방식이다. 삼성 인테리어핏 키트는 맞춤형 AI 기능과 직바람 없이 쾌적한 무풍 기능을 탑재한 삼성전자 가정용 무풍 시스템에어컨 전 모델에 사용할 수 있다. 전국 삼성스토에서 구매가 가능하며, 가격은 사이즈에 따라 18~19만원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삼성
[FETV=양대규 기자] AMD는 AMD 라이젠(Ryzen) AI와 라데온(Radeon) 그래픽 카드(GPU)에서 딥시크 R1 증류 추론 모델(DeepSeek R1 Distilled Reasoning)을 실행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소개하는 블로그 콘텐츠를 30일 공개했다. 추론 모델은 사고의 사슬(CoT: Chain-of-thought)을 활용해 매우 복잡한 작업을 처리하도록 설계된 새로운 종류의 대규모 언어 모델(LLM)이다. 최근 출시된 딥시크 R1은 고성능 및 소규모로 정제된 추론 모델이다. AMD 라이젠 AI 프로세서와 라데온 GPU에 이를 손쉽게 배포할 수 있다. LM 스튜디오(LM Studio)를 통해 사용할 수 있다. 딥시크 R1은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가 최근 선보인 추론 AI 모델이다. 챗GPT 개발사인 오픈AI가 지난해 9월 출시한 추론 AI 모델보다 일부 성능 테스트에서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딥시크 R1은 엔비디아의 최첨단 AI 가속기인 'H100' 보다 낮은 성능의 'H800'을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챗GPT 개발비의 약 5.6%에 불과한 비용으로 성능이 유사한 제품을 개발한 것에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FETV=양대규 기자] LG전자는 미국 뉴저지주 잉글우드 클리프에 위치한 북미지역 본사에 한국을 포함해 총 11개국 주뉴욕총영사단을 초청했다고 31일 밝혔다. LG전자는 주뉴욕대한민국총영사관과 협업해 미국 현지시간 29일 캐나다, 핀란드, 조지아, 일본, 파키스탄, 폴란드, 스위스, 태국, 필리핀, 튀르키예 등 10개국 총영사를 북미 사옥으로 초청했다. 혁신 기술 로드맵을 선보이고 국가간 파트너십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김의환 주뉴욕대한미국총영사와 LG전자 정규황 북미지역대표가 총영사단의 방문을 맞았다. 이들은 함께 LG전자 북미 사옥 내 마련된 쇼룸을 둘러보며 미래 기술진화 방향성을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총영사단은 무선∙투명 올레드 TV인 LG 시그니처 올레드 T, 이동형 무선 스크린 LG 스탠바이미 등에 큰 관심을 보였다. 참석자들은 LG전자 북미 사옥에 적용돼 있는 공조시스템 등 고효율·친환경 기술에 대해서도 높은 관심을 보였다. LG전자 북미 사옥은 에너지 효율, 물 사용량 등 환경 영향도를 평가하는 미국 그린빌딩위원회(U.S Green Building Council)의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 ‘리드(Leadership in Energ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