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김현호 기자] 10대 그룹까지 올라섰던 금호아시아나그룹이 60위권으로 추락한다. 그룹의 핵심 자회사인 아시아나항공이 HDC현대산업개발에 매각을 앞두고 있기 때문이다. 금호그룹은 사실상 금호산업과 금호고속만 남게 돼 대기업의 칭호가 없어질 예정이다. 아시아나항공은 1998년 2월 창립돼 86대 항공기를 운용하고 74개 국제선을 보유하고 있다. 아시아나항공의 지난해 매출은 7조1833억원이다. 그룹 전체 매출 10조7150억원를 고려하면 약 67%를 차지하는 규모다. 금호산업과 금호고속의 작년 매출이 각각 1조3767억원, 4232억원인 것과 비교된다. 자산 규모 역시 아시아나항공의 작년 말 연결기준 자산은 8조1911억원이다. 그룹 총자산(12조7555억원)의 64%를 차지한다. 따라서 이번 매각으로 인해 금호측은 자산 규모가 3분의 1 수준으로 축소된다. 이 경우 금호그룹 자산 규모는 4조5000억원대로 주저앉아 재계 60위권 밖으로 밀려날 전망이다. 지난해 재계 순위 59위 유진의 자산 규모가 5조3000억원, 60위 한솔이 5조1000억원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60위권 턱걸이도 힘겨워 보인다. 그룹은 박삼구 전 회장이 2002년 회장으로
[FETV=김현호 기자] 태영건설이 5일, 태영건설이 준공한 방글라데시 모두나갓 정수장 사업장이 방글라데시 치타공 상하수청이 주관하는 우수 시공자 시상식에서 감사패를 수상했다고 8일 밝혔다. 방글라데시 모두나갓 정수장은 세계은행 차관 사업으로 치타공 상하수청이 발주해 수주한 공사로, 취수장(10만톤/일), 정수장(9만톤/일) 및 가압장(4만5000톤/일)의 시설을 건설하는 공사다. 세계은행(World Bank)은 치타공 상하수청이 시행한 치타공 상수도 개선사업을 World Bank 동남아시아 사업장중 최우수 사업장으로 선정하면서 치타공 상하수도 청장 등 관계자들을 World Bank 본사에 초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치타공 상하수청은 치타공 상수도 개선사업의 핵심 사업인 모두나갓 정수장 건설공사를 훌륭히 준공한 태영건설에 감사패를 전달했다. 앞서 태영건설은 1일 환경부가 주관하는 ‘2019 환경 기술개발 우수성과 20선’에서 ‘물’ 분야 우수 연구과제에 선정되는 등 국내 환경분야에 있어서 남다른 두각을 나타내며 인정받은 바 있다. ‘2019 환경 기술개발 우수성과 20선’은 국민 생활과 밀접한 기후대기, 실내안전보건, 자원순환, 물 등 4개 분
[FETV=김현호 기자] 대우건설이 10월22일 이탈리아 Saipem사와 LNG 사업 중심 전 세계 육상 석유화학플랜트(Onshore Oil & Gas) 분야에서 전략적 협력관계를 구축하는 협약서에 서명했다. 양사는 금번 협약서 체결을 통해 양사가 보유한 설계, 구매, 시공(Engineering, Procurement, Construction) 역량의 자산‧경험‧기술을 결합하여 고객에게 최상의 효율과 가치를 제공하기로 했다. 특히 설계부터 시공까지 전 사업단계의 시너지를 통해 전세계 LNG 사업에서 최상의 솔루션을 제공하는 선두주자의 위상을 확보할 예정이다. 김광호 대우건설 플랜트사업본부장은 “세계적인 선진 엔지니어링 업체인 Saipem과 전략적 협력관계를 구축함으로써 대우건설의 LNG 시공 역량을 세계적으로 인정받게 되었으며 나아가 LNG 사업분야에서의 엔지니어링 역량을 강화할 수 있게 되었다”고 밝혔다. 마우리지오 코라텔라(Maurizio Coratella) Saipem Onshore E&C 최고운영책임자는 “전 세계적으로 검증된 기술력을 보유한 소수의 업체들만 수행 가능한 고부가가치 LNG 사업은 Saipem의 전략사업분야로 당사는
[FETV=김창수 기자] 효성티앤씨가 국내 온라인 패션 브랜드 ‘무신사’와 손잡고 일본 제품이 장악하고 있던 국산 발열내의 시장 공략에 나선다. 최근 국내 패션 기업들은 일본 제품 불매 운동으로 인해 일본 기업 제품을 대체할 상품들을 선보이며 적극적인 겨울 의류 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다. 이번에 효성과 손잡고 출시한 무신사의 발열내의 ‘마이히트’는 효성의 발열 폴리에스터, 에어로히트 익스트림(aeroheat EX)으로 만들었다. 원사 내 함유돼 있는 미네랄 물질이 태양, 조명 등으로부터 빛을 흡수해 이를 열에너지로 방사하는 원리다. 겨울철 뛰어난 보온성을 자랑하며 몸에서 발생하는 땀을 빠르게 흡수하고 배출하는 기능(흡한속건)도 뛰어나 쾌적하게 입을 수 있다. 에어로히트 익스트림은 세탁기와 건조기 사용 후에도 영구적으로 발열 가능한 원사다. 한국패션산업협회에 따르면 국내 내의 시장 규모는 2조 원 대이며 그 중 발열내의 시장 규모는 7천억 원 이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존 내의와는 다른 세련된 디자인, 우수한 기능, 편안한 착용감으로 매년 10%씩 증가 추세에 있다. 효성은 이번 무신사 등 국내 패션 기업과의 협업을 기반으로 해외 패션 기업들과도 손
[FETV=김현호 기자] 삼성중공업 노사(勞使)가 고객의 신뢰를 얻기 위한 해외 영업에 함께 나서며 추가 수주를 위해 힘을 모으고 있다. 삼성중공업은 말레이시아 현지시간 11일 남준우 사장과 강일남 노동자협의회 위원장이 말레이시아 선사 MISC사 주관 초청행사에서 용선주인 엑슨모빌(ExxonMobil) 자회사 SRM 경영진 등을 만나 감사 인사와 함께 최고의 안전, 품질을 약속하는 자리를 가졌다고 전했다. 삼성중공업은 10월 MISC로부터 최신 사양의 174,000㎥급 LNG운반선 2척을 수주했다. 이들 선박은 인도 후 미국 오일 메이져 엑슨모빌 자회사가 생산하는 액화천연가스(LNG)를 15년간 운송할 예정이다. 이날 강 위원장은 두 회사 경영진을 만나 "삼성중공업을 믿고 일감을 맡겨준 것에 대해 깊이 감사 드린다"며 "노사가 합심해 최고 품질의 제품을 가장 안전하게 만들어 보답하겠다"고 강조했다. 삼성중공업 관계자는 "노사가 함께 품질에 대한 신뢰를 얻기 위해 선주에게 피력할 수 있는 좋은 자리였다"며 "영업 활동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FETV=조성호 기자]총수가 있는 대기업집단 가운데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한 경우라도 총수 일가가 여전히 170여개 달하는 계열사를 지주회사 체제 밖에서 직접 지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중 절반 이상이 사익편취 규제대상이거나 사각지대에 있어 총수 일가의 지배력 확대와 경제럭이 집중될 우려가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또한 지주회사 체제 재벌 그룹의 내부거래 비중은 일반 그룹보다 높았다. 공정거래위원회는 11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공정거래법상 지주회사 현황 분석’(2019년 9월말 기준) 결과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9월말 현재 공정거래법상 전체 지주회사는 173개로 지난해(2018년 9월말 기준)와 같았다. 지난해 이후 일반 지주회사 14개가 신설되고 15개가 제외됐으며 금융지주회사 1개가 신설됐다. 28개 대기업집단 소속 지주회사는 39개로 전년 대비 2개 증가했다. 특히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한 대기업집단(이하 전환집단)은 23개로 지난해보다 1개 늘었다. 전환집단 판단 기준은 대기업 집단 가운데 지주회사 및 소속 자·손자·증손회사의 자산총액 합이 기업집단 소속 전체 회사 자산총액의 50% 이상인 경우다. 롯데와 효성, 에이치디씨
[FETV=김창수 기자] 효성 대표이사 김규영 사장이 11일 섬유센터에서 열린 ‘제 33회 섬유의 날 기념식’ 에서 금탑산업훈장을 받았다. 금탑산업훈장은 국가 산업발전에 기여한 공로가 뚜렷한 사람에게 주는 정부포상 가운데 가장 높은 등급이다. 김 사장은 현 (주)효성 대표이사 겸 총괄사장으로서 글로벌 1위 제품인 스판덱스의 제조 기술을 자체 개발하고 제조 설비를 국산화해 한국 섬유산업의 발전과 글로벌 경쟁력 향상에 크게 기여한 섬유업계 원로 가운데 한 사람이다. 김 사장은 또 테크니컬 서비스센터(Technical Service Center)를 설립해 품질 및 생산 안정화를 이끌어 효성의 핵심제품인 스판덱스 및 타이어코드 등이 세계 시장 점유율을 1위로 도약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이와 함께 효성이 독자 개발한 ‘꿈의 신소재’ 탄소섬유의 공정안정화에 기여하는 등 국가의 첨단소재 산업의 위상을 높였다는 평가도 받고 있다. 김 사장은 1948년 부산에서 태어나 부산고와 한양대 섬유공학과를 졸업하고 1972년 효성그룹 전신인 동양나이론에 입사했다. 나일론 생산 담당을 시작으로 46년 넘게 효성에 몸담아 온 정통 ‘효성맨’으로 섬유 및 산업자재 부문
[FETV=김창수 기자] (주)한화가 올해 9월에 진행한 ‘한화 자전거 평화 여행-다름의 동행, 함께 멀리(한화 자전거 평화여행)’ 사진전을 13일까지 개최한다. 한화 자전거 평화여행 사진전은 지난 7~8일 한화빌딩 본사에서 열렸으며 9~13일은 일반인 관람을 위해 경복궁역 메트로 전시관에서 진행된다. ‘한화 자전거 평화여행’은 서울시립청소년 문화교류센터 ‘MIZY(미지)’, 북한청소년 대안학교인 반석학교와 함께하고 있는 ‘한반도 평화기원 자전거 종주 프로그램’으로 지난 2015년부터 매년 9월 진행하고 있다. 한화는 참가자들의 행사 참가비용 전액을 지원하고 활동증명서도 발급한다. 한편 한화는 사진전 개최를 기념하는 의미로 8일 참가자들을 본사로 초청해 한화 자전거 평화여행 결과보고회를 함께하는 시간도 가졌다. 활동영상과 사진을 함께 감상하고 활동후기를 공유했다. 또 참가자 전원에게 활동 증명서 및 메달도 수여했다.
[FETV=김현호 기자] 삼성중공업이 8일 2019년 3분기 매출 1조9646억원, 영업이익은 3120억원의 적자를 기록하며 잠정실적을 공시했다. 3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1조3138억원) 대비 50%, 직전 분기(1조7704억원) 대비 11% 늘어나며 2018년 3분기 이후 4개 분기 째 증가세를 이어갔다. 사측은 해양 건조물량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고 2017년 이후 수주한 상선의 건조가 늘어나 매출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3분기 영업이익은 작년 동기(적자 1273억원) 대비 확대됐다. 사측은 ▲드릴십 계약 취소에 따른 대손충당금, 장부가치 감액 손실 등 드릴십 관련 비용(2600억원) ▲임금협상 타결에 따른 일시금 지급(400억원) 등이 일시에 반영 등의 이유로 적자가 늘었다고 밝혔다. 이밖에도 세전이익은 적자 5875억원을 기록했다. 삼성중공업 관계자는 "지난 분기 해양설비에 선 투입된 원가 정산 합의로 발생한 이익 350억원을 포함해 비경상적 요인을 모두 제외하면 3분기 영업이익은 적자 380억원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드릴십 관련해 대규모 손실이 발생했지만 이는 장부가치 감액에 따른 것으로 자금상 지출은 아니다"라고 전했다.
[FETV=김현호 기자] 포스코가 8일 포항 포스텍에서 ‘제 18회 아이디어 마켓플레이스(Idea Market Place)’를 개최하고 벤처기업 발굴 및 육성에 나섰다. 포스코 ‘아이디어 마켓플레이스’는 창업 및 초기 벤처기업 지원 국내 대표 프로그램으로 창업초기에 집중 지원하는 투자자 역할과 안정적인 성장을 위한 비즈니스 인큐베이터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또 벤처기업의 아이디어 단계부터 비즈니스 모델 수립, 투자 및 성장관리까지 사업 전 과정을 총괄 지원할 예정이다. 행사에는 최정우 포스코 회장, 이강덕 포항시장, 오형수 포항제철소장, 성주영 KDB수석부행장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이날 최정우 회장은 “포스코는 기업시민 경영이념 아래 선순환 벤처플랫폼을 구축해 건강한 벤처 생태계 조성과 지역경제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벤처기업이 포스코가 보유한 포스텍, RIST 등의 인프라와 육성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해 스스로 경쟁력을 키우고 성장해 나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포스코는 2011년 ‘아이디어 마켓플레이스(Idea Market Place)’를 도입해 9년간 189개의 우수 벤처기업을 발굴했으며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