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김현호 기자] 한진중공업이 방위사업청으로부터 해군의 차기 고속상륙정(LSF-II) 4척을 3160억원에 수주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한진중공업은 최근 두 달여 간 해군의 차기고속정(PKX-B) 4척과 해양환경공단의 다목적 대형방제선 등을 잇달아 수주하며 올 초 조선부문 수주목표치를 150% 초과 달성했다. 한진중공업은 자체 기술로 건조한 해군의 고속상륙정(LSF-I)에 이어 차기 고속상륙정(LSF-II) 건조 기술까지 보유한 국내 유일의 고속상륙정 건조사다. 지난 2007년 독도함에 탑재되는 차기 고속상륙정 2척을 인도한 바 있으며 2016년에도 후속함 2척을 수주해 영도조선소에서 건조하고 있다. 해군의 고속상륙정(LSF, Landing Ship Fast)은 고압의 공기를 내뿜어 바다와 육지를 오가는 수륙양용 공기부양선(ACV, Air Cushion Vehicle)의 일종이다. 수심에 상관없이 기동 가능하고 갯벌이나 하천, 해안가 등 일반 상륙정이 접근할 수 없는 지형에서도 임무 수행이 가능해 현대전에서의 상륙작전 개념을 바꿔놓은 최첨단 함정으로 알려져 있다. 한진중공업 관계자는 “국내 최초의 공기부양선과 아시아 최초의 디젤추진 공기부양선, 해군의
[FETV=김현호 기자] 삼성중공업이 SK텔레콤과 함께 업계 최초로 대전과 거제를 초고속 5G 통신으로 잇는 자율운항선박 테스트 플랫폼 구축을 완료하고 실제 해상에서 모형 선박을 이용한 원격·자율운항 기술 검증에 성공했다고 10일 밝혔다. 삼성중공업은 9일 대전 선박해양연구센터에 설치한 원격관제센터에서 약 250킬로미터 떨어진 거제조선소 바다 위 모형 선박을 실시간으로 원격 제어하며 국제해사기구(IMO)가 정한 해상충돌예방규칙(COLREGs)을 모두 만족하는 시험 운항을 완료했다. 이번 시험운항을 통해 선박에 목적지를 입력하면 최적운항경로를 스스로 탐색해 항해하면서 주변 장애물까지 피하는 자율운항 기술과 원거리에서 선박을 제어하는 원격운항 기술 검증에 성공한 것이다. 이 날 테스트에 투입된 LNG운반선 형상의 모형선 'Easy Go'는 삼성중공업이 독자 개발한 오토 파일럿(Auto pilot)과 관성 항법 시스템을 탑재한 길이 3.3미터 크기의 자율운항 선박이다. 'Easy Go'는 ▲광대역 초고속 통신이 가능하고 ▲고성능 카메라와 라이다(Lidar)를 통해 주변을 정확히 식별할 수 있으며 ▲클라우드기반 사물인터넷(IoT) 기술이 탑재된 배터리 전기추진기가
[FETV=김현호 기자] 유럽연합(EU)이 다음 주부터 현대중공업그룹과 대우조선해양 합병과 관련한 본격 심사를 시작할 것이라고 로이터 통신이 9일(현지시간) 전했다. 현대중공업은 지난달 중순부터 EU 집행위원회 측에 대우조선해양과의 기업결합 심사 신청서를 제출했다. 로이터는 EU 집행위가 17일 예비 심사를 마무리 짖고 다음 주 반독점 여부에 대한 본격 심사를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본심사는 최대 5개월 가량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 현대중공업은 7월 국내 공정거래위원회를 시작으로 EU와 중국, 싱가포르, 일본 등 6개국에서 본격적으로 기업결합심사를 받고 있으며 지난달 카자흐스탄에서 첫 승인을 받았다. 6개국의 기업결합심사에서 모두 승인을 받을 경우 인수 절차는 마무리된다.
[FETV=김현호 기자] 한국이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누적 선박수주 실적에서 1위를 유지했다. 9일 영국의 조선·해운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들어 11월까지 누적 수주량과 수주액이 한국은 712만CGT(표준화물선환산톤수)(168척, 36%)와 164억달러로 1위다. 2위인 중국은 수주량이 708만CGT(304척, 35%) 이고 수주액은 153억달러다. 누적 수주량에선 2개월째, 수주액에선 4개월째 한국이 중국에 앞섰다. 이어 일본 257만CGT(153척, 13%), 이탈리아 114만CGT(15척, 6%) 순이다. 11월엔 전 세계 선박 발주량 79만CGT(37척) 중 한국이 8%(6만CGT, 3척)를 수주해서 3위다. 중국이 69%(54만CGT, 21척)로 1위이고 일본이 15%(11만CGT, 5척)다. 한국은 올해 들어 수주량에서 LNG운반선 비중이 38%인데 중국과 일본은 벌크선 비중이 각각 33%, 47%로 가장 높아 주력 선종에서 차이가 났다. 올해들어 선종별 발주량을 보면 수에즈막스(S-Max)급 유조선은 75만CGT로 작년 동기(42만CGT) 대비 79% 증가했고 아프라막스(A-Max)급 유조선도 98만CGT로 작년 동기(74만C
[FETV=김현호 기자] 대우조선해양이 LNG운반선 등 고부가가치선박 3척을 수주하며 일감 확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대우조선해양은 그리스 안젤리쿠시스 그룹 산하 마란가스(Maran Gas Maritime)사와 마란탱커스(Maran Tankers Management)사로부터 LNG운반선 1척, 초대형원유운반선 2척을 약 3.8억 달러에 수주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에 수주한 LNG운반선은 174,000㎥급 대형LNG운반선으로 대우조선해양이 자랑하는 천연가스 추진엔진(ME-GI)과 완전재액화시스템 FRS(Full Re-liquefaction System)가 탑재돼 기존 LNG운반선 대비 연료 효율은 30%가량 높아지고, 오염물질 배출량은 30%이상 낮출 수 있다. 또 318,000톤급 초대형원유운반선은 길이 336m, 너비 60m로 고효율 엔진과 최신 연료절감 기술이 적용된 최신식 친환경 선박이다. LNG운반선은 2022년 1분기, 초대형원유운반선은 2021년 3분기까지 순차적으로 인도될 예정이다. 이번 수주로 안젤리쿠시스 그룹은 1994년 이후 대우조선해양에만 무려 110척의 선박을 발주했으며, 특히 올해 대우조선해양이 수주한 10척의 LNG운반선 중 7
[FETV=김현호 기자] 한 해를 마무리 하는 시점에 세계 최대 조선소를 만들기 위해 분주한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의 2020년이 밝아질 전망이다. 액화천연가스(LNG) 선박과 대형 LPG운반선의 수주 전망이 긍정적이기 때문이다. 양사의 합병까지 수월하게 진행되면 불황과 침체에 빠져있던 조선업계가 내년에는 숨통이 틔울 것으로 보인다.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의 합병은 중국, 일본 등 세계 6개 국가에서 합병 승인을 받아야 한다. 합병 승인을 거부하는 국가가 한곳이라도 나타나면 합병은 불발된다. 합병이 성사되면 세계 조선업 점유율이 21.9%까지 치솟는다. 세계 선박의 5분의 1을 차지하는 규모다. 최근 경쟁당국도 조선업계의 덩치를 키우고 있다. 중국은 지난달 26일 중국선박공업그룹(CSSC)과 중국선박중공그룹(CSIC)의 합병을 승인했다. 영국의 조선·해운 분석기관 클락슨 리서치에 따르면 양사는 세계 조선 시장 점유율이 2,3위를 기록했다. 규모로만 따지면 세계시장 점유율의 19%를 차지한다. 일본도 자국 최대 조선사인 이마바리조선과 2위 업체인 재팬마린유나이티드(JMU)가 자본·업무제휴에 합의했다. 다만, 경쟁당국이 국내 조선업계에 날린 잇따른 견제구는
[FETV=김현호 기자] 대우조선해양이 2019년도 국방 연구개발 장려금 수여식에서 ‘장보고-I 성능개량 잠수함 통합전투체계 연구개발’로 조선업체 최초로 은상을 수상했다고 6일 밝혔다. 방위사업청에서 주관하는 연구개발 장려금 수여식은 방위력 개선과 관련 산업 육성을 위해 방위산업 물자 및 핵심기술 연구개발에 기여한 우수 대상자를 매년 선정, 장려금을 수여하는 국방 연구개발 분야 최대 규모의 행사다. 이번 행사에서 대우조선해양은 국방기술품질원, LIG넥스원과 협력해 잠수함 통합전투체계 개발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특히, 장보고-I 잠수함에 세계 최초로 자동형 저주파탐지장치를 탑재하는 등 성능개량 사업을 차질 없이 완수함으로써 국방기술 역량을 향상시키고 군 작전 수행능력 강화에 기여했다는 평가다. 잠수함 성능개량사업은 운항중인 함정의 장비와 시스템을 최신 사양으로 업그레이드하는 사업으로 작업 내용이 까다롭고 어려워 높은 기술력이 요구된다. 특히 이 성능개량 사업의 핵심 개발 과제인 통합전투체계는 잠수함에 탑재된 소나를 이용해 표적을 탐지하여 추적하는 기술로 잠수함의 두뇌 역할을 한다. 대우조선해양은 장보고-I 잠수함 전투체계 성능을 입증한데 이어 전투용 적
[FETV=김현호 기자] 한진중공업의 새로운 도약에 청신호가 켜졌다. 한진중공업 건설부문의 올 3분기 누적 영업이익은 260억원 가량으로 이미 지난해의 198억원을 넘어섰다. 이익률 측면에서는 2016년까지 마이너스였던 영업이익이 2017년 2.13%, 2018년 2.35%에 이어 금년 현재까지 4.40%를 기록하는 등 3년 연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지난 2011년 6%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는 것이다. 공공공사의 경우 지난해 수주한 부산오페라하우스를 비롯하여 금년 판교테크노밸리 교량 및 단지 조성공사, 양산집단에너지 시설,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 확장공사 등 건축·토목·플랜트 각 부문에서 금년에만 약 5300억 원 규모의 물량을 확보하며 강자의 면모를 발휘했다. 수주잔고가 증가세로 돌아선 것도 주목할 만한 부분이다. 2017년 수주잔고는 1조6069억 원을 기록하였으나 2018년은 1조5645억 원으로 소폭 감소하였다. 그러나 금년 3분기 말 기준 수주잔고는 1조7390억 원으로 지난해보다 이미 11%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이는 주택사업 강화에 따른 정비사업 분야에서의 실적이 두드러진 탓이다. 최근에는 인천 경동율목 재개발과 원주 세
[FETV=김현호 기자] 삼성중공업이 2일 공시를 통해 유럽 지역 선사로부터 아프라막스급 원유운반선 2척을 총 1875억원(1.6억 달러)에 수주했다고 밝혔다. 이들 선박은 2022년 3월까지 인도될 예정이다. 이번에 수주한 선박은 영하 30도의 극한 환경에서 최대 70센티미터 두께의 얼음과 충돌해도 안전하게 운항할 수 있는 내빙 원유운반선이다. 일반 동급 선박에 비해 가격이 2배 가까이 비싸다. 삼성중공업은 2005년 세계 최초 양방향 쇄빙 유조선을 수주하며 쇄빙 상선 시장을 개척한 데 이어 2008년에는 세계 최초 극지용 드릴십을 수주해 성공적으로 인도하는 등 내빙·쇄빙 선박 분야에서 세계 최고의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삼성중공업은 이번 계약을 포함해 현재까지 총 71억 달러를 수주함으로써 올해 목표 78억 달러의 91%를 달성했다.
[FETV=김윤섭 기자] 포스코는 장애인 기업, 사회적 기업, 사회적 협동조합, 여성 기업 등 이른바 '사회적 친화기업'에 대한 구매 우대 제도를 도입한다고 1일 밝혔다. 우선 신규 공급사를 등록·평가할 때 사회적 친화기업에 대해서는 최저 합격 점수를 완화해 거래 문턱을 낮추기로 했다. 또 이들 기업이 포스코의 설비·자재 구매 입찰에 참여할 경우 5%의 인센티브를 준다. 가령 입찰 금액이 100원이라면 포스코는 이를 95원으로 산정해 평가하되 낙찰될 경우 100원으로 계약하는 방식이다. 이번 제도는 경제적 이윤 창출을 넘어 취약계층의 자립을 지원하고 사회적 문제 해결에 동참하자는 취지에서 마련된 것으로, 민간 업계에서는 처음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최정우 회장은 "사회적 친화기업이 존중받는 문화를 만드는 데 앞장서고, 나아가 이들과 함께 성장함으로써 공생의 가치가 사회로 확산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앞서 포스코는 지난해 국내 대기업 최초로 최저가 낙찰제를 폐지했으며, 올해는 하도급 대금을 예치계좌를 통해 2차 협력사에 직접 지급하는 '하도급 상생 결제'를 도입했다. 회사 관계자는 "이번 제도의 도입으로 사회적 친화기업이 공급사 등록을 보다 쉽게 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