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http://www.fetv.co.kr/data/photos/20190936/art_15677343349395_17c5e5.jpg)
[FETV=김현호 기자] 세계 조선시장의 21%를 넘게 차지할 수 있는 현대중공업-대우조선합병 결합 심사가 일본까지 확대됐다. 양사의 기업결합 심사는 6개 국가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유럽연합은 사전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업계 경쟁당국은 ▲매출액 ▲자산 ▲점유율 등 일정 기준을 넘어서는 회사들의 기업결합에 대해 신고의무를 부과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매머드급 조선사가 탄생할 수 있다는 기대가 나온다. 반면 일본의 경제보복이 조선업까지 미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현대중공업의 중간 지주회사인 한국조선해양은 7월1일 공정거래위원회에 기업결함 심사를 처음 제출했고 중국, 카자흐스탄, 싱가포르에서 결합심사가 진행 중이다. 이어 한국조선해양은 4일 기업결함 심사를 위해 한국의 공정거래위원회와 성격이 비슷한 일본의 공정취인(거래)위원회에 신고를 향한 상담 수속을 개시했다고 전했다. 기업결합 심사는 시장 질서를 어지럽힐 수 있는 독과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세계 각국에 승인을 받아야 한다. 하나의 국가가 반대를 한다면 합병은 무산된다. 때문에 현대중공업-대우조선해양 합병을 위해서는 일본이라는 큰 산을 넘어야 한다.
일본은 현재 한국의 주력 산업인 반도체, 화학에 대한 경제보복을 이어가고 있다. 모두 핵심 산업인 만큼 큰 피해가 예상된다. 문제는 한국의 또 다른 주력 산업인 조선업에도 일본이 보복조치를 시행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미 일본은 한국 조선업에 대한 견제를 이어온 전례가 있어 보복조치 추가에 무게가 실린다.
일본은 지난해 11월30일 세계무역기구(WTO)에 한국 정부의 조선업 구조조정 대책을 문제 삼았다. 또 일본 언론에 따르면 지난 6월19일 사이토 유지 일본조선공업회 회장은 “압도적인 조선그룹의 탄생은 위협적”이라며 “각국의 공정당국이 (기업결합) 그냥 지켜보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따라서 일본이 세계 1위 조선소 탄생을 가만히 앉아서 지켜보지는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반면 중국도 합병을 추진하고 있다며 일본이 현대중공업-대우조선해양의 기업결합 심사를 반대할 명분이 없다는 주장도 나온다. 현재 중국은 중국선박공업집단(CSSC)과 국영 중국선박중공업집단(CSIC)이 합병을 추진하고 있다. 만약 일본 정부가 한국에만 합병 반대 의사를 내비치게 되면 반대 이유에 설득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또 일본은 이마바리 조선소가 자국의 8개 중소 조선사를 인수해 규모를 키운 전례도 있어 일본 공정위가 합병 반대의 명분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일본이 기업결합 심사를 늦추거나 거부하면 일본에서 영업을 하지 않을 수도 있다”며 “다만, 현재로선 일본이 합병 반대를 할 명분이 약하다”고 말했다.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의 합병이 이뤄지면 전 세계 조선업 점유율은 21.2%까 치솟는다. 이는 전 세계 선박의 5분의 1을 차지는 규모로 3위인 일본의 이마바리조선소보다 3배가 넘는 규모다. 한국조선해양 관계자는 “경쟁 당국의 기준에 따라 모든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며 “기업결합심사를 조속히 마무리하기 위해 노력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