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권현원 기자] 카카오뱅크는 상반기 영업이익 3532억원, 당기순이익은 2637억원을 기록했다고 6일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1%, 14% 증가한 실적이다. 2분기 기준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1701억원, 1263억원으로 집계됐다.
영업이익경비율(CIR)은 지난해 말 36.4%에서 35.2%로 개선됐다. ROE는 8.09%를 기록했다.
2분기 중·저신용 대출 잔액 비중이 33.1%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음에도 건전성 지표는 안정적인 수준을 보였다. 2분기 연체율은 전년 말과 동일한 0.52%를 기록했다. 카카오뱅크는 앞으로도 데이터 분석 기반의 신용리스크 정책과 신용평가모형 고도화를 통해 건전성 관리 노력을 이어갈 방침이다.
![카카오뱅크 상반기 경영실적 현황. [자료 카카오뱅크 실적발표 보고서]](http://www.fetv.co.kr/data/photos/20250832/art_17544596472137_4e46d5.jpg?iqs=0.12025229721749231)
2분기 순이자마진(NIM)은 1.92%로, 시장 금리 하락 등의 영향으로 전분기 대비 0.17%p 축소됐다.
상반기 카카오뱅크의 여신이자수익을 제외한 비이자수익은 5,626억 원으로 전체 영업수익 중 36%의 비중을 차지했다. 전년 동기와 비교해 30.4% 증가한 규모다. 고객 트래픽 및 수신의 성장과 포트폴리오 다변화에 역량을 집중한 결과 여신이자수익이 감소했음에도 비이자수익의 성장이 전체 영업수익 증가를 견인했다는 카카오뱅크의 설명이다.
대출, 투자, 지급결제 등 다양한 부문에서 플랫폼 역량이 강화되고 펌뱅킹·오픈뱅킹, 광고 부문 수익 또한 고르게 성장했다. 이에 카카오뱅크의 상반기 수수료·플랫폼 수익은 전년 동기 대비 8.3% 늘어난 1535억원을 달성했다.
카카오뱅크 앱에서 타 금융사의 신용대출, 주택담보대출을 비교하고 선택할 수 있는 ‘대출 비교 서비스’의 제휴사는 70여 곳으로 확대됐다. 2분기 카카오뱅크 대출 비교 서비스를 통해 제휴 금융사의 대출을 실행한 금액은 1조3870억원으로 전년 대비 2배 규모로 증가했다.
2분기 말 고객 수는 2586만명으로, 올해 상반기 약 100만명의 고객이 신규 유입됐다.
연령대별 인구 대비 카카오뱅크 고객 비율(침투율)은 전 연령대에서 상승했다. 특히 전년 동기와 비교해 40대는 71%에서 76%, 50대는 49%에서 57%까지 확대되는 등 다양한 연령층으로 고객 저변을 넓혔다. 20대, 30대 연령대별 침투율은 각각 82%, 86%까지 높아졌다.
신규 고객 유입뿐 아니라 고객 활동성도 꾸준히 증가해 역대 최대 트래픽을 달성했다. 2분기 카카오뱅크의 월간활성이용자수(MAU)는 전분기 대비 100만명 가량 증가한 1990만명을 기록했다. 주간활성이용자수(WAU)는 1450만명으로 집계됐다.
카카오뱅크의 2분기 말 수신 잔액은 63조7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요구불예금, 정기예·적금 상품 잔액이 골고루 늘어나며 전분기 대비 3조 3000억원 증가했다.
특히 모임통장이 출시 7년만에 이용자 수 1200만명을 돌파하고 잔액은 1년만에 2조원 이상 늘어나 10조원을 기록했다.
카카오뱅크는 하반기 신규 상품과 서비스를 출시해 차별화된 수신 성장과 경쟁력을 이어갈 예정이다.
■ 다음은 컨퍼런스콜 질의응답 전문이다.
Q. 이번 분기 부실채권(NPL) 매각 규모와 위험가중자산(RWA) 증가율에 대해 설명해달라.
A. 권태훈 CFO
Q. 이번에 핵심 예금 비중이 좀 빠진 것으로 보이는데 일시적인 현상으로 보고 있는지. 아니면 중장기적으로 봤을 때 대형 은행 대비해서 저원가성 예금 비중 갭을 지켜나갈 수 있다고 보는지. 또 플랫폼 관련 성장률 등이 더딘 것 같은데 전망이나 계획을 조정할 부분이 있는지.
A. 권태훈 CFO
따라서 카카오뱅크의 강점인 높은 저원가성 예금 비중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앞으로도 고객의 니즈를 충족하고 편리한 사용성을 제공하는 시그니처 상품을 지속적으로 기획, 강화할 예정이다.
PM 플랫폼 성장은 YoY로 8%로 증가했다. 다만 QoQ로는 2% 감소했는데 이는 올해 6월 가맹점 수수료율 인하로 인한 PM플랫폼 주요 수익원인 체크카드와 미니카드의 수익이 감소한 영향이 매우 컸다.
따라서 가맹점 수수료율 인하로 인한 체크카드, 미니카드 수익이 계획 대비 감소된다는 점과 6.27 대책으로 인해서 대출비교 서비스 실적 영향을 감안하면 연간 PM 플랫폼 수익은 기존 가이던스인 두 자릿수 성장에는 못 미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다만 광고 수익을 더욱 확대하고, 지난 7월 출시한 보금자리론 및 PLCC를 통해서 수익증대와 동시에 수익 다변화를 위한 노력을 계속해 나갈 것이다.
Q. 하반기 대출성장이 더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되는데 내부적으로 생각하는 여신, 수신 전략에 따른 예대율의 목표치는. 또 스테이블 코인 관련 진척된 사항이 있으면 공유해달라.
A. 권태훈 CFO
6.27 가계부채 관리 강화 방안으로 하반기 가계대출 성장세의 둔화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다만 개인사업자 대출과 7월 출시한 보금자리론 중심 정책자금 대출 성장으로 연간 여신 성장률은 기존 가이던스와 유사한 10% 수준 성장을 하게 될 예정이다.
현재 스테이블 코인은 법제화 전이라 변동성이 많아 명확한 전략을 설명할 수는 없다. 다만 최근 카카오 그룹 차원의 스테이블 코인 TF가 구성돼 역량을 모으고 있다. 카카오뱅크는 디지털 자산 생태계와 관련된 발행, 유통, 중개, 보관, 결제 등 다양한 여건에 대해서 검토하고 있으며 시장 변화에 맞춰 카카오 그룹과 협업해 적극적으로 참여할 계획이다.
스테이블 코인은 안정성과 기술력이 가장 중요한데 지난 3년간 가장자산거래소를 위한 실명확인 입출금 서비스를 통해 KYC 기반의 실명계좌 인증, AML 기반의 거래 등 리스크 관련 감시활동 등을 실전에 운영해 왔다.
기술적인 측면에서도 한국은행이 주도한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 모의실험 1, 2단계 사업에 참여해 지갑 개설, 교환, 송금 결제 기능과 지급 수납 기능을 성공적으로 수행해 디지털 자산 운용과 관련된 경험과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
Q. 이번 분기 대출 성장에 비해서 NIM 하락 폭이 조금 큰 것으로 느껴진다. NIM 관련 자세한 설명과 하반기 전망에 대해 말해달라. 또 투자금융 수익이 점진적으로 증가 중인 것이 보인다. 운용역도 계속 확충하고 있는 것으로 아는데 확충이 마무리 됐는지, 아니면 추가적으로 계속 확충하고 있는 과정인지 알려달라.
A. 권태훈 CFO
올해 연간 NIM은 약 1.9%대를 예상하고 있다. 기존에는 연간 기준금리 2회 하락을 가정해 2%대 방어가 목표였으나 지속적인 수신 성장과 기준금리 추가 인하가 전망됨에 따라 가이던스를 1.9%대로 조정했다.
2분기 자금운용손익은 수익 수신 성장에 따른 운용 평잔 증가 및 수익증권 평가이익의 확대로 QoQ 162억원 증가했다. 앞으로도 채권 중심의 안정적 포트폴리오 운용에 중심을 두되 수익성 및 유동성 제고를 위해 고수익 우량 채권투자 확대, 수익증권 편입, 자산 다변화 등 추가적인 투자 기회를 적극 모색할 계획이다.
Q. NPL 매각이익이 줄어들었다고 했는데 전반적으로 NPL 시장 가격이 이전보다 우호적이지 않은 것인지, 아니면 매각액 자체가 감소한 것인지. 또 하반기 충당금 전망은 어떤지.
A. 권태훈 CFO
대출채권 매각이익의 감소는 매각 규모의 감소에 따른 영향이 컸다. 매각 규모 자체가 줄어든 것은 개인채무자 보호법 등의 영향으로 인해 다소 감소하고 있다. 즉 대출채권 매각 규모뿐 아니라 대출채권 매각이익도 개인채무자 보호법 등으로 인해서 실질적으로 감소하고 있다고 보면 된다.
Q. 현 시점에서 공유 가능한 AI 산업 현황과 카카오 그룹에서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를 출시했는데 이와 관련 현업할 수 있는 사업이 있는지. 또 최근 태국에서 사업자 선정이 된 것으로 아는데 이와 관련된 글로벌 전략 등에 대해 말해달라.
A. 권태훈 CFO
상반기 중에는 혁신금융서비스 지정을 통해서 금융권 최초로 생성형 AI 기반의 대고객 서비스를 런칭해 출시 이후 약 70만명의 유저가 AI 검색과 AI 계산기를 경험했다. 하반기에는 모임통장 내 AI 모임 총무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카카오뱅크는 축적된 AI 서비스의 운영 노하우를 토대로 장기적으로 AI가 카카오뱅크 앱을 통한 금융활동의 기본문법이 되는 인터페이스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리고 카카오와 컨소시엄으로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를 출시했는데 카카오뱅크는 모바일 신분증의 민간 개방에 카카오톡과 카카오뱅크가 앱투앱으로 연결되는 첫 협업 이후로 카카오뱅크의 트래픽 효과를 크게 기대하고 있다.
특히 5000만 국민이 사용하는 카카오톡을 최적의 접근성을 갖추고 카카오뱅크의 AI 기반 안면 기술, 안면 인식 기술을 이용해 인증 보안 기술 및 안정적인 시스템을 적용해 사용자들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모바일 신분증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