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류제형 기자] 롯데케미칼이 2025년 1분기 잠정실적 기준 매출액 4조9018억원, 영업손실 1266억원을 기록하며, 직전 분기 대비 적자폭이 1075억원 감소됐다고 13일 발표했다.
기초화학(롯데케미칼 기초소재사업, LC 타이탄, LC USA, 롯데GS화학)은 매출액 3조3573억원, 영업손실 1077억원을 기록했다. 대산 공장 정전으로 일정 기간 가동 차질이 발생했으나, 스프레드 개선 및 경비 절감, 긍정적 환율 영향으로 적자가 축소됐다. 2분기에는 원료가 하향 안정화가 예상되며 대산 공장, 해외 자회사 정기 보수가 진행될 예정이다.
첨단소재는 매출액 1조1082억원, 영업이익 729억원을 기록했다. 원료가 안정화 및 수요 개선으로 스프레드가 확대됐으며, 운송비 감소 및 긍정적 환율 영향으로 실적이 개선됐다. 율촌 컴파운드 공장 등 사업경쟁력 지속 확보를 위한 투자를 차질없이 진행할 계획이다.
롯데정밀화학은 매출액 4456억원, 영업이익 188억원을 기록했다. 주요 제품 판가 인상 및 판매량 확대, 환율 영향으로 실적이 개선됐다. 정기 보수가 예정된 2분기에는 재고 판매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다.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는 매출액 1580억원, 영업손실 460억원을 기록했다. 전기차 시장 캐즘이 장기화되면서 고객사 재고 조정 영향으로 판매량이 감소하고 가동률 조정에 따라 고정비 부담이 확대됐다. 전기차 수요 회복이 지연될 것으로 예상되나 작년 말부터 이어진 재고 조정을 마무리해 가동률 반등에 따른 수익성 개선이 전망된다.
![롯데케미칼 2025년 1분기 연결 기준 잠정 경영실적 [사진 롯데케미칼]](http://www.fetv.co.kr/data/photos/20250520/art_174713732522_53ba93.jpg)
성낙선 롯데케미칼 CFO(재무혁신본부장)는 "중국 내수 경기 부양 정책과 글로벌 원유 공급량 확대에 따른 유가 하향 안정화로 제한적 원가 부담 완화, 점진적 판매가 회복을 통한 업황 개선으로 전년 대비 손실 폭이 축소될 것"이라며 "현금 흐름 흑자 전환도 전망하고 있으며 올해 대규모 투자 프로젝트를 종료하고 2026년부터 EBITDA 내 투자 집행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음은 컨퍼런스콜 질의응답 전문이다.
Q. 2025년 하반기 실적 전망은 어떻게 보고 있는가?
A. (곽희섭 기초화학부문 경영지원본부장) 공급 과잉 심화와 글로벌 경기 침체로 인한 수요 부진 지속으로 25년의 경우에도 석유화학 산업의 낙관적 전망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지속되는 증설에 따른 공급 부담과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 등 대내외 경영 환경의 불확실성 확대로 급격한 시황 반등은 어려운 상황으로 판단된다.
다만 중국의 내수 경기 부양 정책과 글로벌 원유 공급량 확대에 따른 유가 하향 안정화로 제한적 원가 부담 완화와 점진적 판가 회복을 통한 업황 개선으로 전년 대비 손실 폭은 축소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러한 대외 환경의 개선과 함께 수익성 제고 및 당사의 본원적 경쟁력 확보를 위한 다양한 혁신 활동을 통해 수익성 개선에 만전을 기할 것이다.
Q. NCC 대비 원가 경쟁력이 높은 COTC 설비가 2026년 하반기 도입될 예정인데 이에 대한 롯데케미칼의 NCC 관련 대응 방안은 무엇인가?
A. 중국 석화 업체나 국내 모사에서 현재 COTC 관련된 기술을 통해 이제 크래크를 증설했거나 증설 중이다. 기본적으로 납사 크래커 대비 경질 원유를 사용해서 직접적으로 에틸렌 유분을 생산하는 COTC 공장이 상대적으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 그럼에도 사용되는 경질 원유 자체가 모든 원유를 다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특정 성분 이상의 경질 원유를 사용하기에 따라서 원료에 대한 제한적인 요인이 있다.
당사의 경우에는 COTC처럼 완전히 원유를 사용하는 공장으로 전환할 수 없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원료 다변화를 위해 여수나 대산 공장의 경우 상대적으로 납사보다 저가인 LPG를 많이 투입할 수 있도록 공정을 개선했다. 이러한 장점과 다운스트림인 폴리머 공장에서 고부가 제품을 활용해 상대적으로 부족한 부분을 대응해서 경쟁력을 높일 것이다.
Q. 롯데GS화학의 영업이익 실적이 긍정적인 반면 롯데케미칼의 영업이익 실적은 상대적으로 저조하다. 아로마틱 부문은 흑자 전환에 성공했는데 흑자 전환의 배경이 무엇이고 다음 분기에도 흑자 유지가 가능한지 궁금하다.
A. (곽희섭 기초화학부문 경영지원본부장) NTGS의 주요 제품은 부타다이엔인데 부타다이엔이 1분기에 다른 모노머나 폴리머 제품에 비해 시황이 좋았기 때문에 NTGS는 1분기에 긍정적인 실적이 나왔다. 아로마틱은 지금 PI와 페트 위주로 생산 중이며 PI은 현재 흑자를 보이고 있는 제품이다. 테스트는 울산 소재 2개 공장 중에 1개 공장에서 생산량을 줄이면서 판매가를 높이는 전략을 취해 1분기에 상대적으로 아로마틱 부문이 좋은 시황을 보였다.
Q. 미국 정부의 관세 정책의 영향에 따라 롯데케미칼의 각 제품별로 어떤 특이 사항이 발생했는가?
A. (조현 첨단소재부문 경영지원본부장) 롯데케미칼의 전체 매출액 중에 미국 수출 비중은 10% 미만이나 첨단 소재에 한해 미국 비중이 10%로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첨단 소재의 올해 미국향 매출액은 약 6000억원 수준으로 예상하고 있다. 첨단 소재 관세 부담액은 매출액의 5% 정도를 예상하고 있다. 업체별로 관세 부담분에 대한 가격 인상 협의를 진행 중에 있다. 가격 인상과 함께 현지 생산법인을 통한 공급도 검토 중에 있어 관세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