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3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의료·제약


간헐적 단식, 운동 병행하면 효과 더 크다

단식·운동 병행 그룹 체중 평균 3.3Kg 감소, 허리둘레 평균 4.1cm 감소

 

[FETV=임재완 기자] 하루 중 일정 시간 금식으로 체중을 감량하는 '간헐적 단식' 할 경우 운동을 같이 하면 체중과 대사 지표가 더 나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지원 강남세브란스병원 교수와 전용관 연세대학교 스포츠응용산업학과 교수 연구팀은 BMI 23 이상의 성인 45명을을 대상으로 간헐적 단식과 운동의 효과를 분석했다.

 

연구팀은 간헐적 단식-운동 병행 그룹, 간헐적 단식 그룹, 운동 그룹, 대조군으로 나눠 8주간의 변화를 관찰했다. 운동은 근력 운동 40분과 유산소 운동 20분을 병행했다.

 

8주 후 4그룹 모두 체중이 감소했다. 단식-운동 병행 그룹이 평균 3.3Kg으로 가장 많이 감소했다. 단식 그룹이 2.4Kg, 운동 그룹이 1.4Kg, 대조군이 0.6Kg 순이다.

 

복부비만을 나타내는 허리둘레도 단식-운동 병행 그룹이 평균 4.1cm로 가장 많이 감소했고 운동 그룹 2.9cm, 단식 그룹 2.1cm 순이었다. 근육량은 운동 그룹이 가장 손실이 적었다.

 

또 연구팀은 체중감량으로 인한 대사증후군 관련 지표의 변화도 분석했다. 분석 결과 단식- 운동 병행 그룹만 혈당, 공복인슐린, 인슐린 저항성, 중성 지방 등 대사 지표가 개선됐다. 운동그룹은 중성지방이 감소하는 경향(–35.8mg/dl)을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단식 그룹과 대조군은 중성지방이 증가했다. 또 몸에 좋은 콜레스테롤인 HDL 콜레스테롤도 운동을 한 그룹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했다.

 

 

단식/운동 병행

간헐적 단식

운동

대조군

인슐린 저항성

-0.9

+0.6

0.0

+0.5

중성지방(mg/dl)

-43.8

+12.0

-35.8

+21.2

HDL 콜레스테롤

(mg/dl)

+5.3

+2.6

+6.7

+4.9

<> 대사증후군 지표 변화

 

이 교수는 “단식을 통해 섭취하는 칼로리가 줄면 체중은 빠지지만 지방보다는 근육이 더 많이 빠질 가능성이 높다”며 “근육은 우리 몸의 기초대사량을 늘리고 인슐린 저항성과 HDL 콜레스테롤과도 관련 있기 때문에 근육 손실이 없도록 운동을 꼭 병행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전 교수도 “근육 운동의 효과는 오랜 시간이 지난 후 나타나기 때문에 8주의 시간은 다소 짧은 편이다”며 “꾸준히 운동한다면 대사증후군 개선 효과가 더 클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BMC Public Health’에 지난 9월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