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최순정 기자] 포스코가 신성장 동력으로 이차전지(배터리) 소재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포스코는 양극재, 음극재, 리튬 등 이차전지 소재 사업에서 2030년까지 세계 점유율 20%, 연간 매출 15조원 이상을 달성할 계획이다. 특히 포스코는 전기차 배터리의 핵심 소재인 리튬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포스코에 따르면 세계 리튬 수요량은 2017년 25만t에서 2025년 71만t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포스코는 지난 2월 호주 광산개발 기업인 필바라의 지분 4.75%와 전환 사채(7960만 호주 달러)를 인수하며 연간 최대 24만t의 리튬정광을 장기구매하기로 계약을 체결했다. 필바라는 서호주에 있는 필강구라 리튬광산 지분 100%를 보유한 광산개발 전문기업으로 올해 하반기부터 리튬정광 30만t을 생산, 단계적으로 최대 80만t까지 늘려나갈 계획이다. 포스코 관계자는 “2020년부터 연산 3만t 규모의 수산화리튬과 탄산리튬을 생산할 수 있다”며 "그렇게 되면 매출이 4000억∼5000억원 수준으로 발생하면서 바로 손익분기점 달성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포스코는 이를 위해 연산 3만t 규모의 리튬공장을 건설할 계획이며 필바라도 리튬공장에
[FETV=최순정 기자] 지난 1월 출범한 혁신성장 옴부즈만이 혁신의 걸림돌이 되는 규제를 발굴하고 개선하는 등 실질적인 성과를 거둔 것으로 확인됐다. 혁신성장본부와 혁신성장 옴부즈만은 25일 혁신 현장의 애로사항과 개선안을 담은 ‘상반기 옴부즈만 주요과제 발굴·개선사례‘를 발표하며상반기 총 47회 기업 현장방문과 간담회를 통해 181건의 과제를 발굴했고, 이 중 49건은 개선방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혁신성장 옴부즈만 주요과제 발굴·개선사례로, 수도권 최초 드론 시범공역이 지정되고 드론기업을 위한 특화펀드가 조성된 것이다. 옴부즈만은 “수도권에 드론 테스트베드(Testbed)가 없다”는 업계의견을 수렴해 국토부에 전달했다. 국토부는 지난 6월 경기도 화성을 수도권 최초로 드론 시범공역으로 지정했다. 드론 시범공역은 고도제한 등 규제가 없어 드론 기술을 개발하거나 검증할 수 있는 곳이다. 드론 기업들의 자금조달도 쉬워진다. 옴부즈만을 통해 드론기업들의 건의를 전달받은 국토부가 공적자금 등을 마중물로, ‘드론 특화 민간펀드’ 조성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자율주행차 데이터셋이 배포되고, 전기화물차 신규증차가 허용되는 등 미래차산업을 위한 기반도 조성된다
[FETV=최순정 기자] 두산그룹이 다가오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비해 디지털 혁신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은 올해 신년사에서 “일하는 방식에서부터 새로운 사업 기회를 찾는 일까지 디지털 전환을 통한 혁신적 시도가 있어야 한다”며 ‘디지털 혁신’을 강조했다. 박 회장은 “디지털 혁신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혁신적 운영방식을 도입하는 등 디지털 기업문화가 그룹 전반에 자리 잡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두산그룹은 지난해 (주)두산 지주부문 내에 최고디지털혁신(CDO) 조직을 신설하고, 형원준 SAP코리아 대표를 신임 사장으로 영입했다. CDO는 두산그룹의 중장기 사업 전략 수립에 지원부서가 아닌 주체로 참여해 사업의 성장과 수익성 확대에 핵심 역할을 담당한다. 두산그룹은 각 계열사별로 분산돼있는 디지털 기술이나 데이터들을 융합해 계열사 간 업무 협업을 활성화하고, 사업 시너지도 향상시켜 나갈 계획이다. 이를 위해 그룹 내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등 기술을 신속하고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는 두산만의 ICT 플랫폼을 개발할 계획이다. 두산그룹 관계자는 “CDO를 통해 기존 프로세스와 사업모델
[FETV(푸드경제TV)=송현섭 기자] 기아자동차는 26일부터 전국 영업점에서 고효율 친환경 전기차 모델인 ‘니로 EV’ 예약판매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오는 7월 공식 출시일정에 앞서 사전 예약판매에 들어가는 니로 EV는 고효율 시스템을 갖추고 공력을 극대화해 자체인증 기준으로 1회 충전시 최대 주행거리 380km를 달릴 수 있다. 니로 EV는 또 고객의 주행패턴을 반영, 1회 충전으로 주행거리가 긴 ‘LE(Long & Excellent) 모델’과 실용성과 경제성이 탁월한 ‘ME(Mid & Efficient) 모델’로 선택의 폭을 넓혔다. 64kWh급 배터리를 탑재한 LE모델은 1회 충전으로 380Km이상 주행이 가능하고 39.2kWh 배터리를 탑재한 ME모델은 240Km이상 주행이 가능하다. 특히 니로 EV는 ▲전방 충돌방지 보조(FCA) ▲차로 이탈방지 보조(LKA)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SCC) ▲운전자 주의 경고(DAW) ▲후측방 충돌 경고(BCW) ▲고속도로 주행 보조(HDA) 등 드라이브 와이즈 옵션을 적용해 주행 안전성을 높였다. 아울러 ▲전자식 변속 레버(SBW)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EPB) ▲LED 헤드램프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