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최순정 기자] 포스코가 신성장 동력으로 이차전지(배터리) 소재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포스코는 양극재, 음극재, 리튬 등 이차전지 소재 사업에서 2030년까지 세계 점유율 20%, 연간 매출 15조원 이상을 달성할 계획이다. 특히 포스코는 전기차 배터리의 핵심 소재인 리튬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포스코에 따르면 세계 리튬 수요량은 2017년 25만t에서 2025년 71만t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포스코는 지난 2월 호주 광산개발 기업인 필바라의 지분 4.75%와 전환 사채(7960만 호주 달러)를 인수하며 연간 최대 24만t의 리튬정광을 장기구매하기로 계약을 체결했다. 필바라는 서호주에 있는 필강구라 리튬광산 지분 100%를 보유한 광산개발 전문기업으로 올해 하반기부터 리튬정광 30만t을 생산, 단계적으로 최대 80만t까지 늘려나갈 계획이다. 포스코 관계자는 “2020년부터 연산 3만t 규모의 수산화리튬과 탄산리튬을 생산할 수 있다”며 "그렇게 되면 매출이 4000억∼5000억원 수준으로 발생하면서 바로 손익분기점 달성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포스코는 이를 위해 연산 3만t 규모의 리튬공장을 건설할 계획이며 필바라도 리튬공장에
[FETV=최순정 기자] 포스코가 연간 2만5000t의 리튬을 생산할 수 있는 아르헨티나의 염호 광권을 인수했다. 포스코는 27일 호주 퍼스에서 호주 갤럭시리소스(Galaxy Resources)와 리튬 염호 광권 매매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포스코가 광권을 확보한 염호는 아르헨티나 북서부에 위치한 ‘옴브레 무에르토(Hombre Muerto)’ 호수 북측부분으로, 서울시 면적의 약 3분의 1에 해당하는 1만7500ha 규모다. 이 염호는 20년간 매년 2만5000t의 리튬을 생산할 수 있는 염수를 보유하고 있으며 광권 인수 금액은 2억8000만달러다. 갤럭시리소스는 1973년도에 설립된 호주 자원개발 전문기업으로 대표성, 유동성, 거래용이성 등 면에서상위 200개 대형 상장사들로 구성된 ‘호주 S&P/ASX 200’에 편입돼 있으며현재 호주, 캐나다, 아르헨티나에서 리튬 탐사 및 개발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포스코는 지난 2월 호주 필바라미네랄스(Pilbara Minerals)로부터 연간 3만톤의 리튬을 생산할 수 있는 리튬정광을 장기구매키로 한 데 이어, 이번 염호를 추가 확보함으로써 원료수급 문제를 완전히 해소할 수 있게 됐다. 이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