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이지혜 기자] 동아에스티(대표이사 사장 정재훈)는 제주대학교병원(병원장 최국명)에 원격 환자 모니터링 플랫폼 ‘하이카디(HiCardi)’ 122대를 추가 공급한다고 29일 밝혔다. 하이카디는 메쥬가 개발하고 동아에스티가 판매하는 국내 최초 웨어러블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이다. 다중 환자의 실시간 심전도, 심박수, 호흡수, 피부온도, 산소포화도 등 환자의 생체 신호를 원격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가벼운 웨어러블 패치형으로 기존 심전도 검사기의 불편함을 개선했다. 동아에스티는 앞서 2023년 권역책임의료기관인 제주대학교병원 심장내과 병동에 하이카디 8대를 공급했다. 제주대학교병원은 지난 2년간 하이카디 사용 경험을 통해 우수한 임상적 효용성과 사용 편의성을 확인하고, 다중 질환 및 중증질환 환자가 집중된 환경에서 보다 안전한 병동 운영 체계 구축을 위해 하이카디 추가 도입을 결정했다. 제주대학교병원 최은광 기획조정실장은 “이번 하이카디 추가 도입은 첨단 의료 기술에 대한 투자로 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환자 관리가 가능해졌다”며 “환자를 먼저 생각하는 권역책임의료기관으로서 지역민 건강 증진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동아에스티 박희봉 디지털헬스케어 사업부
[FETV=이지혜 기자] 지씨셀(대표 원성용·김재왕)은 중국 ‘난징 이아소 바이오 테크놀로지 (Nanjing IASO Biotechnology, 이하 이아소 바이오)’와 다발성골수종 치료용 CAR-T 치료제 ‘푸카소(Fucaso, Equecabtagene Autoleucel)’의 국내 도입 계약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계약은 국내 다발성골수종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 옵션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지씨셀은 Fucaso의 국내 허가 및 상용화를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다발성골수종은 완치가 어려운 혈액암으로, 재발 위험이 높고 주로 고령층에서 발생한다. 국내에서도 고령화로 인해 환자 수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기존 치료제에 대한 내성과 불응성으로 인해 치료 접근성이 제한적이다. 최근 일부 병용요법이 급여화되며 초기 치료 환경은 개선되고 있으나, 4차 이상 환자에서는 고가의 CAR-T 치료제와 인프라 부족으로 실질적 치료 선택지가 매우 제한되어 있다. Fucaso는 이아소 바이오가 개발한 BCMA(B 세포 성숙 항원) 표적 CAR-T 세포치료제다. 2023년 6월 중국에서 승인을 받아 현재 현지 중국 환자들에게 처방되고 있으며, 경쟁력 있는 가격을
[FETV=이지혜 기자] 동아ST는 2025년 3분기 실적에서 전문의약품(ETC) 부문 주요품목과 신규품목의 성장으로 분기 기준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고 29일 밝혔다. 다만 연구개발(R&D) 비용 증가와 지난해 기저효과로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감소했다. 동아ST의 3분기 매출액은 1984억원으로 전년 동기 1795억원 대비 10.5% 증가했다. 반면 영업이익은 168억원으로 전년 동기 198억원 대비 15.4% 감소했다. ETC 부문은 그로트로핀과 모티리톤 등 기존 주요 품목에 더해 자큐보, 디페렐린 등 신규 제품의 매출이 확대되면서 전년 동기 1205억원 대비 20.6% 증가한 1453억원을 기록했다. 자큐보의 경우 위식도역류질환치료제 시장에서 점유율을 높이며 전년 동기 7억원에서 143억원으로 2014% 급증했다. 반면 해외사업 부문은 박카스 매출의 소폭 감소와 이뮬도사의 재고 조정 영향으로 전년 동기 460억원 대비 11% 감소한 409억원을 기록했다. 3분기 영업이익 하락은 R&D 비용 조기 집행에 따른 기저효과 영향이 컸다. 동아ST는 올해 3분기에 264억원의 연구개발비를 투입했다. 이는 전년 동기 203억원 대비 30% 이상 늘어난
[FETV=이지혜 기자] 한미그룹 지주회사 한미사이언스가 전문경영인 체제 전환 이후 3분기까지 1조원 규모의 매출을 기록했다. 한미사이언스는 올해 3분기 연결기준 잠정 실적으로 매출 3425억원, 영업이익 393억원, 순이익 319억원을 달성했다고 29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6.2% 증가했으며, 영업이익과 순이익도 각각 75.2%, 84.8% 상승했다. 3분기 누적 매출은 1조129억원으로 전년 대비 6.4% 늘었고, 영업이익 1010억원, 순이익 847억원을 기록하며 안정적인 기반을 다져 나가고 있다. 한미사이언스 관계자는 “3분기 실적은 의약품 유통과 헬스케어 사업 부문의 매출 확대에따른 호실적을 달성했다”며 “전문경영인체제를 기반으로 그룹사 간 유기적인 협업 구조를 강화하고, R&D 및 신사업 중심의 ‘사업형 지주회사’ 모델을 정착시켜 단기간에 구체적인 성과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3월 전문경영인 체제로 전환한 한미사이언스는 그룹 시너지 강화와 경영 내실화를 추진하며, 오픈이노베이션을 통한 성장 전략을 본격화했다. 김재교 부회장이 총괄하는 이노베이션본부는 ▲파트너십 발굴을 담당하는 C&D(Connect & D
[FETV=이지혜 기자] 한올바이오파마는 29일 잠정실적 공시를 통해 연결 재무제표 기준 3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3분기 매출은 40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8%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3억5000만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18.8% 감소했다. 누적 기준 매출은 117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7% 증가했다. 3분기 의약품 매출은 35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5% 증가하며 두 자리 수 성장세를 기록했다. 프로바이오틱스 의약품 ‘바이오탑’은 지난 8월 유비스트 미생물성 지사제 처방 시장 1위를 차지하며 브랜드 영향력을 강화했다. 전립선암 및 성조숙증 치료제 ‘엘리가드’가 매출 100억원을 조기에 달성해 바이오탑과 함께 200억원 매출 ‘메가브랜드’ 달성에 한걸음 더 다가섰다. 탈모치료제 ‘헤어그로’는 지난 9월 최대 매출인 250만 정 판매를 기록하며, 피나스테리드 1mg 제네릭 처방조제약 시장에서 견고한 1위를 유지했다. 부패 방지를 위한 국제표준 윤리경영시스템 ISO 37001 재인증에 성공한 바 있다. 연구개발 부문에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바토클리맙(HL161BKN)’은 지난 9월 그레이브스병(GD) 임상 2상 치료 중단 후 6개월 유
[FETV=김선호 기자] 동아쏘시오홀딩스는 연결기준 2025년 3분기 매출로 주요 사업회사의 성장에 힘 입어 전년 동분기 대비 7.2% 증가한 3826억원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영업이익은 동아제약, 에스티젠바이오를 비롯한 연결 자회사들의 이익 증가로 전년 동분기 대비 47.7% 증가한 333억원을 기록했다. 구체적으로 헬스케어 전문회사인 동아제약은 박카스, 일반의약품 사업부문 성장 주도로 매출이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매출 증가 및 판관비 효율적 집행으로 전년 동분기 대비 28.9% 증가했다. 사업부문별로 보면 박카스는 867억원으로 전년 동분기 대비 +11.7% 증가했다. OTC(일반약) 사업부문은 575억원으로 28.4% 증가, 생활건강 사업부문은 480억원으로 6.1% 감소했다. 바이오의약품 CMO(위탁생산) 전문회사인 에스티젠바이오는 신규 수주 및 글로벌 바이오시밀러 상업화 물량에 따라 매출이 늘어났다. 영업이익은 매출 증가 및 생산 효율화로 전년 동분기 대비 114.5% 증가했다. 물류 전문회사인 용마로지스는 신규화주 유치와 추석 물동량 증가로 매출 증가, 영업이익은 매출 증가와 거래처 정산 이월 영향으로 47.5% 증가했다. 이를 통해 동아쏘시오홀딩
[FETV=이지혜 기자] 유유제약이 펌핑 1번으로 손 쉽게 제조 가능한 보리차 ‘편해보리’를 출시했다. ‘편해보리’는 생수 1L에 펌프 1회면 즉시 보리차 완성이 가능하며, 편해보리 400g 한 병으로 약 160병(1L 기준)의 보리차를 만들 수 있다. 100% 국산 유기농 보리(보리 원물 기준)를 엄선해 생산했으며, 원재료 추출부터 포장까지 5중 필터링 공정을 통해 미세 불순물을 차단했다. ‘편해보리’는 보리차를 직접 끓이고 식히는 번거로움이나 냉장 보관 시 자리 차지, 미세플라스틱 등 기존 차 음용 과정의 불편함을 해결했으며 무설탕, 무카페인으로 ‘맹물’ 섭취가 어렵거나 커피 대체 음료를 찾는 소비자에게 추천한다. ‘편해보리’는 유유제약 공식 온라인몰, 네이버 스마트스토어를 통해 구매 가능하며, CJ온스타일 플러스 등 홈쇼핑 채널을 통해서도 만나볼 수 있다. 유유제약 우승표 e커머스본부장은 “제품명 ‘편해보리’는 ‘편하게 만들고, 편하게 마신다’는 제품 콘셉트와 함께, 집에서 보리차를 끓이며 수고하던 주부들이 이 제품으로 한결 ‘편해진다’는 이중적 의미를 담아 유쾌하게 표현했다”고 말했다.
[FETV=이지혜 기자] 유한양행(대표이사 조욱제)이 공식 온라인몰 ‘버들장터’를 새롭게 리뉴얼 오픈했다고 밝혔다. 이번 리뉴얼은 유한양행 버들장터를 찾는 고객들의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고 개인 맞춤형 제안이 가능한 환경 구축을 위해서, 일반 고객 및 유한양행 임직원 설문을 통해 확인된 니즈를 반영하는 형태로 진행됐다. 사용자 친화적 UX/UI 변경 통해 검색창 접근성 개선, 제품별 그룹 카테고리 체계화 등이 이뤄졌다. 또한 AI 기술을 활용해 고객별로 최적화된 제품을 추천 환경을 구축했다. 실시간으로 인기 상품을 안내하고, 장바구니에서 무료 배송 조건 달성을 위해 필요한 금액에 맞는 상품까지 추천해주는 등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버들장터에서는 리뉴얼 오픈을 기념해서 오는 31일까지 이벤트를 진행 중이다. 이벤트 기간 동안 실 결제금액 1위 고객에게는 마이다스 호텔 2박 3일 숙박권을 증정하며, 매일 선착순 100명에게는 할인 쿠폰을 추가로 제공한다. 또한 행사 기간 내 포토 리뷰를 작성한 모든 고객에게 커피 쿠폰을 증정하는 등 풍성한 혜택을 마련했다. 또, 28일부터 30일까지 단 72시간 동안만 진행하는 겨울 청소템 최저가 특가 이벤트도 진행 중이
[FETV=이지혜 기자] 바이오제약기업 메디톡스(대표 정현호)의 뉴로더마 코스메틱 브랜드 ‘뉴라덤(NEURADERM)’이 배우 홍화연을 공식 앰버서더로 선정했다고 29일 밝혔다. 홍화연은 드라마 ‘보물섬’에서 탄탄한 연기로 주목받은 데 이어 ‘당신의 맛’, ‘러닝메이트’ 등 다양한 작품을 통해 폭넓은 매력을 선보이고 있다. 메디톡스는 홍화연의 맑고 건강한 에너지가 피부 본연의 건강을 중시하는 ‘뉴라덤’의 철학과 부합하며 신뢰감을 주는 이미지가 브랜드 정체성과 맞닿아 있다고 판단해 ‘뉴라덤’ 앰버서더로 선정했다. ‘뉴라덤’과 홍화연은 오는 30일부터 11월 2일까지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리는 오프라인 뷰티 행사 ‘컬리뷰티페스타 2025’를 시작으로 옥외 광고, SNS 프로모션 등 다양한 온∙오프라인 캠페인을 본격 전개하며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메디톡스 관계자는 “홍화연은 2030 여성을 중심으로 높은 호감도와 인지도를 보유하고 있어 ‘뉴라덤’과 시너지를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차세대 배우 홍화연과 함께 K-뷰티를 이끄는 대표 브랜드로 성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뉴라덤’은 신경과학과 피부과학이 결합된 뉴로
[FETV=이지혜 기자] 국내 대표 중추신경계(CNS) 전문 제약 기업 명인제약이 글로벌 CDMO(위탁개발·생산)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발안 제2공장 증축이 순조롭게 진행 중이라고 29일 밝혔다. 발안 제2공장은 연면적 1만9545㎡(약 5913평) 규모로 총 1300억원(건축 700억원·설비 600억원)이 투입되는 대형 프로젝트다. 현재 골조공사 완료 단계에 있으며 내년 상반기 내 외장 및 내부 클린룸 공사를 마무리하고 2026년 식약처 GMP 승인, 2027년 상업생산 개시를 추진할 계획이다. 이번 제2공장은 고부가가치 펠렛 제형 생산에 특화된 국내 최대 규모의 전용 설비 공장으로 내년 중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글로벌 수준의 펠렛 제형 설비(GPCG PRO 10~300)를 도입해 연간 6억 캡슐, 펠렛 기준 2억 캡슐 이상의 생산능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완공 후에는 회사의 핵심 제품인 서방형(Controlled-release) 제형을 비롯해 해외 제약사 대상 CDMO(위탁개발·생산) 서비스까지 확장 가능한 다목적 생산기지로 운영될 예정이다. 펠렛 제형은 약물의 방출 속도를 정밀하게 조절해 부작용을 줄이고 복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첨단 제형 기술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