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최명진 기자] 슈퍼플래닛은 탄막 슈팅 로그라이크 RPG, ‘헌터 인 던전’이 한국, 일본, 대만, 홍콩, 마카오 지역에 론칭했다고 27일 밝혔다. 이 게임은 마물에게 점령된 브로켄 대륙을 구하기 위해 마지막 방주에 오른 헌터들이 펼치는 모험을 다룬다. 고전 아케이드 감성을 자극하는 도트 그래픽과 몰입감 넘치는 슈팅 액션이 특징이다. 플레이어는 몬스터를 처치하고 아이템을 파밍하며 캐릭터를 강화해 나가는 RPG의 깊이를 즐길 수 있다. 최종적으로는 강력한 보스를 공략하며 아케이드 게임의 향수를 느낄 수 있으며, 다양한 스킬 이펙트와 스킨이 시각적 즐거움을 더한다. 또한, 던전에서 랜덤으로 드롭되는 100가지 이상의 무기와 아이템, 버프 효과를 활용해 매번 새로운 전투를 경험할 수 있다. 운이 좋다면 전세를 뒤집을 수 있는 강력한 조합을 만들 수 있으며, 캐릭터와 스킬 카드 조합이 더해져 전략적 재미도 느낄 수 있다. 슈퍼플래닛 측은 “제작사 룽치어와의 긍정적인 협업으로 고퀄리티 로그라이크RPG를 퍼블리싱하게 되었다. 하반기 최대 퍼블리싱 기대작인만큼 게임 흥행을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할 것이다”고 전했다.
[FETV=최명진 기자] 삼성 준법감시위원회(준감위) 이찬희 위원장은 26일 삼성의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 회비 납부 문제에 대해 "정경유착의 고리는 정치권력의 전리품이 돼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 위원장은 이날 오후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열린 3기 준감위 정례회의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한경협이 정경유착의 고리를 확실하게 끊을 수 있는 인적 쇄신이 됐는지 근본적인 의문이 있다"며 "정경유착의 근본을 끊기 위해서는 결단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앞서 한경협은 지난 3월 말∼4월 초 삼성·SK·현대차·LG 등 4대 그룹을 포함한 420여개 회원사에 회비 납부 공문을 발송했다. 국정농단 사건으로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현 한경협)를 탈퇴한 이후에도 회원으로 가입해 있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이 한경협에 흡수 통합된 데 따른 것이다. 4대 그룹 중 현대차그룹은 지난 7월 초 회비를 납부했고, SK그룹도 지난주 35억원 수준의 연회비를 낸 것으로 알려졌다. LG그룹 역시 회비 납부를 내부 검토 중이다. 삼성의 경우 준감위가 지난해 8월 발표한 한경협 가입 권고안에 따라 회비 납부 전 준감위의 사전 승인을 받아야 한다. 삼성 준감위는 지난달 정
[FETV=최명진 기자] SK텔레콤이 비밀번호 없이 로그인 및 사용자 인증이 가능한 '패스키' 시스템을 서비스형 소프트웨어(사스, SaaS) 기반으로 도입을 원하는 기업에 제공한다고 26일 밝혔다. 패스키는 비밀번호 대신 공개키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인증과 로그인을 가능케 하는 글로벌 표준(W3C) 기술이다. 사용자는 비밀번호를 설정하거나 외울 필요 없이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인증방식(생체 인증, 핀 번호 등) 방식으로 로그인할 수 있다. 구글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등 주요 글로벌 기업들이 패스키 인증을 자사 운영체계(OS)의 기본 인증 수단으로 채택하고 있다. 또 다양한 국내외 기업들도 자사 서비스에 패스키를 도입하는 등 비밀번호가 필요 없는 패스워드리스(Passwordless) 시대가 빠르게 도래하고 있다. SKT는 지난해 패스키 인증시스템을 직접 개발해 본인확인 서비스 앱 'PASS(패스)에 적용하고 있다. 이를 통해 축적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다른 기업들이 쉽고 빠르게 패스키를 적용할 수 있도록 자사의 패스키 인증시스템을 SaaS 형태로 준비해왔다. SKT 패스키 도입을 원하는 기업은 SKT 패스키 SaaS 포털에 공개된 가이드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FETV=최명진 기자] LS전선은 LS일렉트릭과 함께 25일(현지시간)부터 30일까지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전력 전시회 '2024 국제 대전력망 기술회의(CIGRE)'에 참가한다고 26일 밝혔다. GRE는 전력 분야의 최신 기술과 연구 성과를 공유하기 위해 1921년에 출범한 국제기구로, 격년으로 학술대회 및 전시회를 개최한다. 올해 행사에는 120개국에서 290여 개의 기업과 기관이 참가해 전력 산업의 미래를 논의한다. 이번 전시에서 LS전선과 LS일렉트릭은 초전도 케이블 시스템과 초전도 전류제한기로 구성된 데이터센터(IDC)용 초전도 솔루션을 선보인다. IDC는 인공지능(AI) 산업 발전으로 수요가 급증하지만 이에 필요한 변전소 신설이 주민 수용성과 사업비 부담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초전도 설루션은 변전소 없이도 22.9㎸(킬로볼트)의 낮은 전압으로 154㎸급 대용량 전력을 송전할 수 있는 혁신 기술이다. 또 LS전선은 초고압직류송전(HVDC) 케이블을, LS일렉트릭은 변전소용 친환경개폐장치 등 전력망 관련 최신 기술과 제품을 각각 전시한다.
[FETV=최명진 기자] 삼성전자가 '비스포크 AI 가전'에 업그레이드된 인공지능(AI) 음성비서 '빅스비'가 적용돼 음성 명령으로 더욱 손쉽게 가전을 제어할 수게 됐다고 26일 밝혔다. 이를 통해 한 문장에 여러가지 명령을 담아 말해도 가전제품이 각 의도를 이해할 수 있고, 앞의 대화를 기억해 다음 명령까지 연결해 수행할 수 있으며, 기기 관련 궁금증과 답변을 말로 묻고 바로 확인할 수 있어 음성 제어 경험이 한층 편리해진다. 예를 들어 “에어컨 26도로 맞춰주고 오후 5시까지 세탁 끝내줘”라고 2가지 명령을 한 번에 말해도 각 명령을 이해하고 수행한다. 또한 “이번 달 세탁기가 절약한 에너지 양 알려줘”라고 말한 뒤 “아, 사용 요금은?”이라고 말해도 앞의 대화를 기억해 다음 명령까지 답변한다. 삼성전자 AI 가전의 기기 매뉴얼과 사용 팁도 음성으로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소비자가 번거롭게 매뉴얼 찾거나 서비스센터에 연락하지 않아도 손쉽게 제품 관련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신규 빅스비 업데이트가 적용되는 제품은 올해 출시된 비스포크 AI 패밀리허브 냉장고, 비스포크 AI 콤보, 비스포크 AI 스팀, 비스포크 AI 무풍 갤러리 에어컨 등이며, 적용
[FETV=최명진 기자] LG유플러스는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유튜브 프리미엄과 넷플릭스 등 2종을 ‘월 1만원대’에 제공하는 ‘더블 스트리밍 연간권’을 출시했다고 23일 밝혔다. 유튜브 프리미엄과 넷플릭스를 결합해 이용료를 할인해주는 상품으로서는 국내 최초다. LG유플러스의 구독 서비스인 ‘유독’을 통해 가입할 수 있는 더블 스트리밍 연간권은 월 1만4900원의 유튜브 프리미엄과 월 5500원 상당의 넷플릭스(광고형 스탠다드)를 결합한 상품으로, 1년간 약 22% 할인된 ‘월 1만5900원’에 제공된다. LG유플러스 멤버십 VIP 등급 이상 고객은 멤버십 혜택으로 4000원 추가 할인도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정상가 대비 약 42% 할인된 월 1만1900원에 연간권을 이용할 수 있다. 더블 스트리밍 연간권은 사용 중인 통신사와 관계없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 다만 1년 약정을 다 채우지 않고 중간 해지 시에는 할인 반환금이 발생한다. 할인 반환금은 매월 할인금액(4500원)에 가입 월 수를 곱해 책정된다. 안병경 LG유플러스 구독사업담당은 “콘텐츠를 즐기는 고객들의 비용 부담을 덜어 주기 위해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를 결합해 할인을 제공하는 구독 상품을
[FETV=최명진 기자] 삼성전자는 다음 달 14일까지 서울 용산구 프로세스 이태원에서 패션잡지 하퍼스 바자와 함께 '바자展: UNDER/STAND with 삼성 The Frame'을 진행한다고 23일 밝혔다. 전시장에는 삼성전자 TV '더 프레임'으로 10m 길이의 대형 아트 월이 조성됐으며 현대미술 아티스트 마뉴엘 솔라노, 이형구, 이정, 허수연의 대표 작품들을 소개한다. 더 프레임은 빛 반사를 최소화한 매트 디스플레이를 적용해 밫 반사를 최소화해 보다 선명한 화질로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관람객들이 더 프레임의 '아트 스토어' 서비스를 직접 사용해 볼 수 있는 체험존도 마련했다. 전시 기간 '더 프레임 아트 월' 현장 이벤트를 진행해 한정판 협업 굿즈를 증정한다 . 한편 이번 전시에서 삼성 'Neo QLED 8K'를 활용한 작가 인터뷰와 영상 작품 전시도 진행된다.
[FETV=최명진 기자] SKT가 미국 GPUaaS 기업 ‘람다(Lambda)’와 손잡고 오는 12월 서울에 AI 데이터센터를 연다. 람다가 보유한 엔비디아 GPU 자원을 SK브로드밴드의 서울 가산 데이터센터에 전진 배치하는 것이다. SKT는 AI 데이터센터에 배치할 GPU를 3년 안으로 수천 대 이상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SK텔레콤은 람다와 ‘AI 클라우드 공동 사업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양사는 안정적인 GPU 공급을 바탕으로 한 GPUaaS 사업 확대, 람다의 한국 리전(Region) 설립 등 다양한 영역에서 전략적 협업을 강화하기로 합의했다. 2012년 AI 엔지니어들이 설립한 람다는 엔비디아(NVIDIA)로부터 최신 GPU를 공급 받아 AI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GPUaaS 기업이다. 인텔, 마이크로소프트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이 람다의 고객사다.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람다는 지난 2월 회사 가치를 15억달러로 평가받고, 3억 2000만달러 규모의 투자를 유치하는 등 떠오르는 AI 기업으로 각광받고 있다. SKT는 최근 미국 AI 데이터센터 통합 솔루션 대표 기업 ‘Smart Global Holdings’에 최대
[FETV=최명진 기자] 넷마블은 메타버스엔터테인먼트에서 제작한 버추얼 아이돌 그룹 '메이브(MAVE:)'가 22일 오후 7시 첫 유튜브 라이브 방송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메이브'는 이번 유튜브 라이브 방송에서 팬들과 실시간으로 소통하며, 팬들이 제안한 다양한 챌린지에 도전할 예정이다. 또한, 사전에 공식 SNS를 통해 받은 팬들의 질문에 성실히 답하며 진솔한 소통의 시간을 가질 계획이며, 팬들을 위한 특별한 이벤트도 마련했다. 이번 유튜브 라이브 방송은 버추얼 아이돌 '메이브' 각 멤버의 개성을 강조하는 중요한 콘텐츠로 자리매김할 예정이며, 메타버스엔터테인먼트는 정기적으로 라이브 방송을 운영할 계획이다. 메타버스엔터테인먼트는 메이브의 첫 유튜브 라이브 방송을 알리기 위해 서울 지하철 역사, 삼성동 코엑스, 영등포 타임스퀘어 등 주요 지역에서 옥외광고를 진행하기도 했다. '메이브'는 메타버스엔터테인먼트가 카카오엔터테인먼트와 협업해 2023년 1월 데뷔한 4인조 버추얼 아이돌 그룹이다. 데뷔곡 '판도라(PANDORA)'는 스포티파이에서 약 4500만 스트리밍을 돌파, 공식 뮤직비디오 또한 유튜브 기준 통합 조회수 3000만 뷰를 넘어서며 버추얼 아이돌의 성공
[FETV=최명진 기자] 해긴이 서비스하는 모바일 네트워크 게임 ‘플레이투게더’에 새콤달콤한 과일 축제가 열린다고 밝혔다. 달콤한 향으로 가득한 카이아섬 과일 축제 소식에 광장에는 NPC ‘애푸리’가 등장했다. ‘애푸리’는 유저들에게 과일 축제와 관련한 미션을 제공하며, 이를 완료하면 ‘과일 빙고 코인’을 제공한다.코인을 판에 올려 빙고를 완성하면 게임머니, 보석(유료 재화)과 함께 사과를 컨셉으로 한 코스튬 아이템을 획득할 수 있다. 귀여운 아보카도 ‘아봉’이가 있는 과일 공방에서는 ‘과일 빙고 코인’을 이용해 다양한 과일 펫을 제작할 수 있다. 업데이트에 맞춰 한정적으로 선보이는 과일 펫은 촉촉 아보카도, 메롱 멜론 등 총 10종류이다. 더불어 7일 동안 게임에 출석만 해도 매일 다른 게임 재화와 ‘탱글 복숭아 머리핀’을 선물하는 복숭아 출석부 이벤트가 시작되며, 상점에서는 귀여운 한정 코스튬 ‘뽀글 소다 코스튬’을 포함한 다양한 보상이 주어지는 신규 출석부가 추가됐다. 이외에도 카이아섬 일상 UI가 일부 개선되고 비행 가능한 탈 것에 표기가 추가되는 등 게임 내 UI 및 편의성이 업데이트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