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ETV=장명희 기자] 결혼정보회사 가연이 최근 오픈서베이를 통해 25세 이상 39세 이하 전국 미혼남녀 1,000명(남 500, 여 500)이 생각하는 ‘미래의 보편적 결혼 형태’ 조사를 시행했다.
응답자들은 ‘현재와 비슷할 것(42.3%)’을 가장 많이 선택했지만, ‘동거 및 사실혼(31.3%)’과 ‘지금과 다른 새로운 형태의 결혼이 생길 것(21%)’을 택한 이들도 적지 않았다. 다음 ‘계약을 통한 결혼(3%)’, ‘졸혼(2%)’, ‘기타(0.4%)’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남성은 ‘현재와 비슷할 것(48.2%)’, ‘동거 및 사실혼(29.4%)’, ‘새로운 형태의 결혼이 생길 것(16.4%)’, ‘계약 결혼(3.4%)’, ‘졸혼(2.2%)’, ‘기타(0.4%)’ 순으로, 여성은 ‘현재와 비슷할 것(36.4%)’, ‘동거 및 사실혼(33.2%)’, ‘새로운 형태의 결혼이 생길 것(25.6%)’, ‘계약 결혼(2.6%)’, ‘졸혼(1.8%)’, ‘기타(0.4%)’ 순으로 답했다.
남녀 응답 순위에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전반적으로 ‘현재와 비슷할 것’은 남성의 응답률이 더욱 높고, ‘동거 및 사실혼’과 ‘새로운 형태의 결혼’은 여성의 응답률이 더 높게 나타난 셈이다.
기타 답변으로는 ‘비혼·비출산 증가’, ‘혼인제도 폐지’, ‘남의 시선에 묶이지 않는 만남’, ‘모든 형태의 결혼’ 등의 의견이 있었다. 동거와 사실혼 등 결혼의 또 다른 형태를 기대한다는 것은, 전통적 결혼관이 점점 변화하면서 새로운 인생관에 호응하고 있음을 말해준다.
결혼정보회사 가연 관계자는 “젊은 세대가 점차 결혼에 큰 의미부여를 하지 않는 와중에도 새로운 방향의 결혼과 만남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또 “코로나로 각종 모임이나 활동에 제약이 생기면서, 결혼정보회사나 소개팅앱 이용률이 증가하는 경우도 유사한 맥락으로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결혼정보업체 가연은 코로나19 확산 예방을 위해 건물 방역 관리 및 마스크 착용 수칙을 지키며 운영 중이다. 직접 방문이 어렵다면 전화나 카카오톡 오픈채팅으로 비대면 상담을 이용할 수 있다. 베테랑 커플매니저들이 결혼정보회사 가입과 만남, 결혼관 등에 대해 상세하게 안내하며 상담을 진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