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0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단백질을 권장량보다 75%미만 섭취 시…사망 위험률 24% 증가

하루에 단백질을 권장량보다 75%미만 섭취하는 사람의 사망 위험은 적정량을 섭취하는 사람보다 24%나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한국 성인의 하루 단백질 섭취 권장량은 자신의 체중 ㎏당 1g이다. 체중이 50㎏인 사람은 단백질을 하루 50g 섭취해야 한다는 뜻이다.

지난 28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김혜련 연구위원은 1998~2001년 실시된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토대로 이때부터 2012년까지 30세이상 남녀 8941명의 사망률을 평균 12년간 추적한 결과 이같이 밝혀졌으며 해당 연구결과는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최근호에 게재됐다.

눈문에 따르면, 연구 종료 시점(2012년 12월)까지 전체 대상 8941명 중 12.1%(1083명)가 숨진 것으로 집계됐다.

하루 칼로리 섭취량이 권장 칼로리의 75% 미만인 노인(65세 이상)의 사망 위험은 적정량의 칼로리(권장 칼로리의 75% 이상 125% 미만)를 섭취한 노인보다 43% 높았다.

1일 단백질 섭취량도 노인의 사망률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단백질 섭취량이 하루 권장량의 75% 미만인 노인, 즉 단백질 섭취가 부족한 노인의 사망 위험은 단백질을 적정량 섭취한 노인보다 24% 높았다. 노인이 평소 식사에서 칼로리·단백질 섭취가 부족하면 숨질 위험이 그만큼 높아진다는 의미다.

30세 이상 성인 전체를 대상으로 칼로리·단백질 섭취량에 따른 암·심혈관질환 사망률의 차이를 살핀 결과도 주목할 만하다. 단백질 섭취가 부족하면(권장량의 75% 미만) 심혈관 질환으로 사망할 위험이 60%나 높았다(권장량의 75% 이상 125% 미만 섭취하는 사람 대비). 단백질 섭취량이 권장량보다 125% 이상 많은 사람은 암으로 숨질 위험이 32% 낮았다.

연구 관계자는 논문을 통해 “중장년층은 충분한 단백질 섭취가 전체 사망위험을 낮추는 요인”이라며 “노인은 칼로리·단백질의 섭취 부족이 사망위험을 높였다”고 언급했다.

오해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