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6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혁신성장을 위한 에너지전환-하]일자리 창출에 산업고도화까지...경제활력 제고 '촉매'

일자리 창출·전후방 산업 파급효과·연관 산업 고도화·에너지 자급률 제고 등 기대
주요 선진국 에너지 전환을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인식 등 "적극적인 활동 유도"

[FETV=오세정 / 장민선 기자] [편집자주]2030년까지 에너지전환을 통해 104만 개 일자리 창출 효과가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에너지전환은 환경과 안전 측면에서의 긍정적 효과와 함께, 신규 일자리 창출 및 경제활력 제고의 촉매제 역할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다. 이에 현대경제연구원의 ‘혁신성장을 위한 에너지 전환의 역할’ 보고서를 바탕으로 에너지전환의 경제․산업적 파급효과를 추정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해본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신규 일자리 창출 효과 ▲전후방 산업 파급효과 ▲연관 산업 고도화 ▲에너지 자급률 제고 등을 에너지전환의 경제적 파급효과로 꼽았다.

 

장우석 연구위원은 "에너지전환 관련 민관 투자에 따른 신규 취업자 수는 2030년까지 총 104만명에 달할 것"으로 추정했다.

 

그는 "전 세계적으로 재생에너지 관련 일자리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며, 특히 독일은 에너지전환을 통해 일자리 창출 효과가 뚜렷이 나타난 것으로 평가됐다"고 말했다.

 

 

전세계 재생에너지 관련 일자리는 2012년 714만 개에서 2017년 1034만 개로 5년 사이에 45%나 급증했고, 독일의 광산 및 기존 연료 분야 일자리는 2005년 17.5만개에서 2014년 3.5만개로 감소한 반면, 재생에너지 일자리는 같은 기간 17.0만개에서 35.5만개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장 연구위원은 "정부는 에너지전환을 위해 2030년까지 민간과 공공을 합산하여 총 100조 원을 투자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전력 및 신재생에너지, 토목건설, 소프트웨어 개발 등의 산업에서 창출되는 전체 일자리 수는 총 104만개로 추산된다"고 설명했다.

 

또한, 에너지전환을 위한 투자가 차질 없이 진행될 경우 전후방 연관산업에서 2030년까지 누적 183조 원의 생산유발효과가 창출될 것으로 보인다.

 

장 연구위원은 "정부는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비중 20% 달성을 위해 태양광, 풍력 발전설비 확충 및 에너지 신산업 육성에 주력할 계획"이라고 언급했다.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을 통해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설비용량을 63.8GW까지 확대하고 신규설비 97%를 태양광, 풍력으로 충당하고, 에너지 산업에 AI, IoT,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을 결합하여, 재생에너지 확산을 에너지 신산업 육성 기회로 적극 활용한다는 설명이다.

 

이에 "에너지전환 투자에 따른 생산유발효과는 2030년까지 누적 183조원, 부가가치유발효과는 70조원에 달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생산유발효과 및 부가가치유발효과는 투자를 통해 관련 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까지 포함한 전체 산출액 및 부가가치액을 의미한다.

 

이는 정부의 계획대로 2030년까지 민간 및 공공부문에서 총 100조원이 투입된다고 가정하고, 이를 통해 신재생에너지, 토목건설, 소프트웨어 개발 등의 전후방 산업에서 발생하는 생산 및 부가가치 효과를 추산한 수치다.

 

더불어, 에너지전환의 중요 축인 분산화, 스마트화 과정에서 제조, 건설, 수송, 금융 등 연관 산업이 고도화되면서 새로운 성장동력이 창출될 것으로 기대된다.

 

제조·건설업의 경우, 스마트공장 및 스마트빌딩을 중심으로 새로운 시장이 등장하는 한편 에너지 효율화로 전반적인 산업 경쟁력이 제고될 전망이다.
 
정부는 생산성 제고와 에너지 효율 극대화를 목표로 2025년까지 스마트공장 3만 개를 보급하여 2.5조 원 규모의 시장을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장 연구위원은 "전력관리, 냉난방 시스템, 보안·주차 기술이 결합된 스마트빌딩의 경우 세계시장 규모가 2017년 74억 달러에서 2022년 317억 달러로 확대될 전망"이라며 "에너지 효율 제고를 통한 생산성 향상으로 2016년 기준 전세계 2.2조 달러의 경제적 효과가 창출된 것"이라고 말했다.

 

수송·금융업에서는 탄소배출 저감을 위해 도입되었던 전기자동차가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ICT와 융합된 새로운 에너지 금융상품도 등장하고 있다.

 

그는 "전기자동차가 내연기관 자동차를 빠르게 대체하면서, 충전 인프라, 에너지저장장치(ESS), 에너지관리시스템(EMS) 등 연관산업이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다"며 "재생에너지 투자 확대에 따라 핀테크, 머신러닝 기반의 에너지 P2P 등 새로운 형태의 금융산업도 등장했다"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에너지전환을 통해 재생에너지 비중이 확대되면 에너지 자급률이 향상되고, 이를 통해 경제발전의 안정적 기반 확보 가능하다.

 

우리나라는 에너지 다소비형 산업구조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에너지 자급률은 전세계적으로 매우 낮은 수준이다.

 

원자력을 제외한 1차 에너지의 자급률은 3.7%로 OECD 37개국 내에서 최하위 기록하고 있으며, 자원 부국인 호주, 캐나다, 멕시코, 미국 등보다 훨씬 낮은 수준이다. 물론 이웃 나라 일본과 비교해도 절반에 불과하다.

 

 

우라늄, 석탄, 석유, 천연가스 등 전력 생산에 사용되는 주요 에너지원의 자급률은 매우 낮으며 해가 지날수록 더욱 감소하고 있다.

 

장 연구위원은 "2016년을 기준으로 석탄의 자급률은 1.3%, 천연가스는 0.4%, 우라늄과 석유는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며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는 순수 국내 생산되는 에너지로서 2030년까지 20%를 달성하는 경우 에너지 수입 의존도가 4%p까지 하락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