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9.17 (화)

  • 흐림동두천 24.0℃
  • 구름조금강릉 21.7℃
  • 흐림서울 27.8℃
  • 구름많음대전 27.0℃
  • 구름많음대구 25.1℃
  • 흐림울산 23.7℃
  • 구름많음광주 28.5℃
  • 흐림부산 26.9℃
  • 흐림고창 27.6℃
  • 맑음제주 28.3℃
  • 구름많음강화 23.9℃
  • 흐림보은 24.6℃
  • 흐림금산 26.1℃
  • 구름조금강진군 27.5℃
  • 구름많음경주시 24.2℃
  • 구름조금거제 27.0℃
기상청 제공


통신


이통서비스 5G도 신통치 않은데 벌써 6G?

지난달, 본격적으로 6G 개발 선전 포고
통신의 한 세대, 시작점부터 본격적 서비스 이용까지 10년 주기
일각에서는 '5G도 제대로 안 터지는데 무슨 6G냐'불만 나와

[FETV=송은정 기자]이동통신 5G 통신서비스 상용화가 1년 조금 넘었다. 하지만 5G 통신서비스가 끊기거나 속도가 불규칙하는 등 품질부문에서 신통치 않다는 지적이 많 다. 이런 가운데 주요 통신사들이 6세대(6G) 이동통신 서비스 경쟁에 나서는 등 6G 통신서비스가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5G도 제대로 안 터지는데 무슨 6G냐"며 소비자 불만의 목소리도 제기되는 이유다. 

 

국회입법조사처 자료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 5G 기지국 설치 현황은 서울 24.3%, 경기도 22.1%에 불과하다. 부산, 대구, 대전, 광주 등 광역시조차 10%를 넘지 못하고 있다. 5G 서비스 품질에 대한 이용자들의 만족도는 상당히 낮은 편이다.

 

일가의 소비자들은 "6G 기술 개발과 투자에 쏟을 여력이 있으면 5G 기지국 하나라도 더 구축하라"며 쓴소리를 내고 있다.  정부와 기업, 특히 ICT 기술을 다루는 기업 들의 입장은 다르다. 5G가 5G라는 이름으로 본격적으로 연구하고 개발된 시점이 10여년 전이기 때문이다.

이동통신 서비스는 10년 주기로 발전한다는 게 통신전문가의 설명이다. 2010년 해외에서는 롱텀에벌루션(LTE) 다음 세대의 통신 기술을 준비했다. 우리나라는 2012년부터 본격적으로 연구개발(R&D)에 참여했다. 후발주자였지만, 지난해 4월 상용화에 성공하면서 '세계 최초'의 타이틀을 거머쥐었다.

 

10년 주기를 약 7년 정도로 줄였으니 가히 속도전으로 평가할 할만하다는 게 전문가 중론이다. LTE 기지국 구축이 한창이 때 5G 개발이 시작됐다. 이와 마찬가지로 5G 상용화와 서비스가 막 시작된 지금 다음 세대의 통신 기술인 6G를  준비해야한다는 것이 정부와 기업, 연구기관의 입장이다.


◆정부·기업의 동시다발적 '6G' 선포=6G 연구개발을 알리는 선전포고는 지난달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삼성전자는 지난달 7월 '새로운 차원의 초연결 경험'이라는 비전으로 앞세워 6G 서비스와 요구 사항, 후보 기술, 표준화 일정 등을 담은 6G 백서를 발표했다. 통신장비 업체 가운데는 가장 먼저 6G 백서를 내놓은 것으로 보아 6G 시장을 선점하려는 포부로 풀이된다.

삼성전자는 초실감 확장 현실, 고정밀 모바일 홀로그램, 디지털 복제 등 6G 주요 서비스를 제시하며 2028년 상용화, 2030년 본격적인 서비스 실현이라는 일정표도 내놓았다. 삼성이 선두로 나서자 준비했듯이 정부도 6G 로드맵을 제시했다. 지난 6일 정부는 '6G 시대를 선도하기 위한 미래 이동통신 R&D 추진 전략'을 의결했다.

 

내년부터 5년간 2000억원을 투자해 기술 선점, 표준 및 고부가가치 특허 확보, 연구와 산업 기반 조성 등 3개 전략 8개 과제를 실시할 계획이다. 정부의 발표 후 LG전자는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올 하반기부터 6G 원천 기술 개발과 인프라 구축 운영, 주파수 발굴 등에 대한 연구에 협력키로 했다. 2028년 상용화, 2030년 본격적인 서비스 운영 일정을 고려했을 때  이미 6G 기술 개발 경쟁은 시작된 셈이다.

 

연구기관과 기업 내부에서는 이미 6G 기반이 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이 이뤄지고 있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삼성전자와 LG전자, 이동통신사 및 연구기관이 THz를 포함한 6G 연구를 주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해외에서는 미국, 일본, 중국 등에서 앞다퉈 6G 원천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기술 개발에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 바로 '표준' 이다.


 ◆표준 선점 위한 글로벌 경쟁 심화 '지금은 전쟁중'=5G 단독모드(SA)의 표준은 세계 최초 상용화 1년 전인 2018년에 그 규격이 승인됐다. 기술 개발도 오래 걸리지만, 한 세대의 통신 표준 규격을 정하는 것도 상당한 기간이 걸린다. 기술 개발이 누가 먼저 구현하느냐의 국가 간 '경쟁'이라면 표준화 과정은 그야말로 '전쟁'이다. 이는 국가 간, 기업 간 첨예한 이해관계가 대립하기 때문이다.

 

앞서 언급했듯 기술 개발 과정도 길고, 국제 표준으로 채택될 경우의 파급력도 상당하다. 6G 핵심 기술을 개발하고 이 기술이 국제 표준 규격으로 승인되면, 시장 주도권을 선점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표준화 과정은 단순 기업뿐 아니라 각국 정부의 외교 협상력도 상당히 중요하다.

 

대부분의 정부의 기술 로드맵이나 정책에는 이러한 표준화 전략이 반드시 포함돼 있다. 통신 표준 경우 기업의 주도권 이상으로 국가의 경제적 파급 효과도 만만치 않기 때문에 연구기관도 참여에 적극적이다. 앞서 미국은 2017년 국방부 산하 연구기관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 주도로, 미국 기업 퀄컴 등이 참여하는 6G 연구개발에 들어갔다.

 

중국은 2018년 과학기술부(MOST) 주도로 6G R&D 계획을 수립, 추진 중이다. 중국의 경우 2030년 6G의 직접 경제 효과만 6조3000억위안(약 1023조원)으로 추정하고 있다. 핀란드도 일부 대학을 중심으로 6G R&D에 투자하고 있다. 일본과 캐나다 등도 6G 개발 행렬에 동참했다.

 

◆6G 최종 소비자를 염두한 전략 구축 해야=​6G 통신도 결국 서비스로 구현되며,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은 국민이다. 현재 5G가 상용화된 지 1년이 지났지만 5G에 대한 국민 만족도는 그렇게 높지 않다. 품질 이슈도 존재하지만 무엇보다 5G의 강점을 충분히 살릴 수 있는 콘텐츠가 부족하다.

 

앞으로 5G 관련 콘텐츠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겠지만, 비싼 요금을 지불하고 5G를 이용하는 사람들을 만족시키진 못한다. 6G도 마찬가지로 너무 상용화에만 몰두하다 보면 이용자 측면에서의 '생태계'를 뒷전으로 두기 쉽다.

 

이 경우 세계 시장에서는 주도권을 잡을지 모르겠으나 실제 수혜를 받아야 할 국민 시각에서는 5G 불만의 반복이 될 수밖에 없다. 정부와 통신 기술 개발 기업뿐만 아니라 이동통신사도 염두에 두고 기술 개발에 임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