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김현호 기자] 25일, KT의 유·무선 인터넷 서비스에 40여 분간 장애가 발생했다. 인터넷 가입자들이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을 겪은 가운데 KT가 사고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한 채 말을 바꿔 혼란을 키웠다. 이번 사고는 구현모 대표의 'AI(인공지능) 통화비서' 출시 기념 간담회 직후 발생해 KT가 체면을 구겼다.
KT의 인터넷 서비스는 이날 오전 11시20분부터 문제가 발생했다. 인터넷 검색부터 증권거래시스템, 배달앱, 결제시스템 등 KT 인터넷 전반에 걸쳐 서비스에서 에러가 발했다. KT는 이와 관련해 12시10분경, 디도스(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을 원인으로 지목했다가 2시27분께 라우팅(네트워크 경로설정) 오류라고 입장을 정정했다. 2시간여 만에 입장이 180도 바뀐 것이다.
경기남부경찰청은 이날 오후 KT에 사이버테러수사팀을 급파해 원인과 피해 규모 등에 대한 조사를 벌였지만 별다른 범죄 혐의점을 찾지 못해 KT 내부 오류로 인한 장애로 잠정 결론을 내렸다. 다만, 구체적인 원인은 아직 확인되지 않은 상황이다.
한편, 이날 서비스 장애는 구현모 KT 대표가 ‘AI 통화비서'를 소개한 이후 발생했다. 구 대표는 “KT는 24시간 고객 응대가 필요한 병원, 경찰서, 소방서 등을 포함해 언제 어디서나 AI를 통해 24시간 소통 가능한 AI 통화비서'를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지만 체면을 구긴 것이다.
KT 새노조는 “오늘 전국 KT의 유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30분 이상 중단되는 재난 수준의 사태가 벌어졌다”며 “100년 통신기업에서 휴먼에러로 전국 인터넷 통신이 마비되는 사태가 벌어지는 게 지금의 KT 현실”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KT가 AI로 소상공인을 돕겠다고 발표하는 날이었는데 발표 시점에서 정작 터져나온 것은 소상공인 모두에게 엄청난 재난을 초래한 인터넷 장애였다”며 “내부에서는 구 대표가 AI 기업으로 KT를 포장하기 급급했고 통신망 운영의 기본에 충실하지 못 한데서 발생한 예견된 참사”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