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현대제철, 물류부문 ESG경영 ‘맞손’

등록 2021.09.29 11:00:00 수정 2021.09.29 11:00:02

 

[FETV=김현호 기자] 포스코와 현대제철이 탄소배출 저감, 지역 중소업체와의 상생 등 ESG경영을 위해 물류 부문에서 협력을 강화한다. 철강업계의 물류부문 탄소중립 활동 협력은 이번이 처음이다. 29일 양사는 포스코센터에서 김광수 포스코 물류사업부장, 서명진 현대제철 구매물류담당 부사장이 참석한 가운데 ‘물류부문 협력강화 및 탄소배출 저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복화운송은 크게 2가지로 나누어진다. 첫 번째는 현대제철이 당진제철소에서 생산한 열연코일을 1만톤급 전용선을 이용해 순천항까지 운송·하역 후 이를 광양 제품부두로 이동시켜 포스코 광양제철소에서 생산한 코일을 싣고 다시 당진항까지 운송하는 것이다. 이 때 운송된 포스코 광양제철소 코일은 KG동부제철 당진공장에서 사용하게 된다.

 

두 번째로는 포스코가 광양제철소에서 생산한 열연코일을 평택유통기지까지 운송·하역한 후 코일로로선(Coil RO-RO)이 빈 배로 돌아갈 때 현대제철 순천공장으로 보내는 코일을 선적해 광양항 로로부두까지 운송하는 것이다. 광양 로로부두에서 현대제철 순천공장까지는 트레일러로 운송한다. 현대제철은 당진-순천 구간에서 연간 180만톤의 열연코일을 전용선(5000톤~1만톤급)과 철도 등으로 운송하고 있다. 포스코는 광양-평택‧당진 구간에서 연간 130만톤의 열연코일을 코일로로선과 5000톤급 일반선으로 운송하고 있다.

 

협약에 따라 양사는 제품 운송 선박과 전용 부두 등 연안해운 인프라를 공유하고 광양과 평택‧당진항 구간에 연간 약 24만톤 물량의 복화운송을 추진한다. 복화운송이란 두 건 이상의 운송 건을 하나로 묶어 공동 운송하는 것으로 공차나 공선 구간을 최소화한 효율적이고 친환경적인 운송 방법이다. 단계적으로는 물량을 60만톤까지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번 복화운송을 통해 양사는 연간 각 12만톤을 상대방의 선박으로 운송하게 되었다. 월 운항횟수는 현대제철은 1~2항차, 포스코는 월 2항차가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이는 소나무 54만 그루를 새로 심는 효과와 더불어 연간 3000톤 가량의 탄소배출 감축효과와 맞먹는다. 또 최대 6%의 물류비 절감도 기대되며 선사 역시 공선 운항을 최소화하게 되어 매출 및 영업이익이 3~10% 가량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광수 물류사업부장은 협약식에서 “포스코와 현대제철의 복화운송은 철강업계의 물류부문 첫 코피티션(Coopetition) 사례로 양사가 지혜를 모아 좋은 선례를 남겨 철강업계는 물론 지역 경제 전반에서 협력과 상생의 분위기가 조성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코피티션은 협력(cooperation)과 경쟁(competition)의 합성어다.

 



김현호 기자 jojolove7817@fetv.co.kr
Copyright @FETV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PC버전으로 보기

제호: FETV | 법인명: ㈜뉴스컴퍼니 | 등록및발행일: 2011.03.22 | 등록번호: 서울,아01559 | 발행인·편집인: 김대종 | 주소: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북로 59 레이즈빌딩 5층 | 전화: 02-2070-8316 | 팩스: 02-2070-8318 Copyright @FETV. All right reserved. FETV의 모든 컨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