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소외계층 위해 '열일'하는 지방은행

등록 2021.02.17 17:28:57 수정 2021.02.17 17:33:54

'늙어가는' 지방...점포 폐쇄로 취약계층 피해 우려
어르신 전용점포, 이동점포 등 운영...'지역밀착경영'

 

[FETV=박신진 기자] 지방은행이 지역의 금융소외계층을 배려하는 행보를 보이고 있다. 지방지역은 수도권에 비해 고령층 비율이 높아 이들의 모바일뱅킹 등 비대면 채널 접근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지방은행은 고령층 전용점포를 설치하고 이동점포를 이용해 금융소외지역에 정기적으로 방문하는 등 지역 곳곳으로 ‘지역 밀착 경영’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권은 오는 3월부터 “오프라인 점포 폐쇄 전 사전영향평가”를 실시한다. 비대면거래 증가 등을 이유로 점포수가 감소에 따라 고령층 등 디지털소외계층이 금융서비스 이용에 불편을 심화시킬 수 있다는 이유 때문이다.

 

점포 축소에 따라 금융소외계층이 금융 서비스에서 배제될 수 있다는 우려는 금융권에서 꾸준히 제기됐다. 특히 지방은 고령층의 인구밀도가 높아 이들의 금융서비스를 접하는데 있어 더욱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크다.

 

부산은 2019년 3월 기준으로 65세 인구가 59만명을 넘어서며 인구비율 17.4%를 차지한다. 2022년 초고령사회 진입이 예상되고 있다. 대구는 작년 65세 이상 인구가 38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16%를 차지했다. 통상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14~20%이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로 구분된다. 전북지역은 2019년을 기점으로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 전북연구원에 따르면 2040년 전북의 고령인구는 70만 6000만명에 이른다. 광주와 경남지역도 고령화 추세가 가속화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지방은행은 지역 내 금융소외계층의 금융접근성과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지역 대표 은행으로서 고객 중심과 지역 밀착 경영을 실현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광주은행은 은행권에서 유일하게 ‘어르신 전용점포’ 3곳을 운영중이다. 2015년부터 고령층이 많이 분포한 곳을 선정해 1호점 빚고을 건강타운점, 2호점 오치동점, 3호점 학동점을 개점했다. 어르신 전용점포에서는 만 65세 이상 고객들을 대상으로 송금수수료, 자동화기기이용 수수료 등을 면제해주고 금리혜택도 제공한다. 어르신 전용 점포는 좋은 반응을 얻고 있어, 광주은행은 어르신 전용 특화점포를 더욱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또 광주은행은 지난해 노인, 장애인 등의 금융 취약계층을 배려하고자 ‘점포 1층으로 내리기’ 작업도 실시했다. 작년 2층 이상에 위치했던 점포가 1층으로 옮겨진 점포는 9곳 이상이다. 타 은행들이 임대료 부담을 줄이기 위해 점포를 줄이거나 임대료가 저렴한 곳을 찾는데 이와 반대되는 행보를 보였다. 광주은행은 최근 4년간 점포수도 늘렸다. 특히 출장소를 줄이고 지점을 확대해 이용자의 편의를 높였다. 시중은행을 비롯한 다른 지방은행은 점포수를 줄이는 추세와도 대비된다.

 

부산은행은 지난 2019년부터 본격적으로 이동점포를 이용해 금융소외계층에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전에도 대형 이동점포를 운영하고 있었는데 이때부터 소형 이동점포를 이용해 활동 범위를 넓혔다. 소형 이동점포 차량은 부산지역의 노인복지관과 금융 소외 지역을 찾아가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같은해 9월 ‘시니어 고객을 위한 행복한 금융선포식’을 열어 시니어 서포터즈를 운영하는 등 고령층의 금융서비스 강화에 나섰다. 같은 BNK금융지주 계열사인 경남은행도 경상남도 전체 지역의 금융소외지역을 대상으로 무빙뱅크(이동점포) 서비스를 정기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한 지방은행 관계자는 “시중은행에 비하면 지방은행의 점포 감소는 덜한 편”이라며 “지방은행들은 지역 내 정류장마다 은행이 설치가 돼있는 등 영업구역이 잘 조성돼 지역내 고령층의 금융서비스 접근성은 어렵지 않다”고 말했다.



박신진 기자 sinji8280@fetv.co.kr
Copyright @FETV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PC버전으로 보기

제호: FETV | 명칭: ㈜뉴스컴퍼니 | 등록및발행일: 2011.03.22 | 등록번호: 서울,아01559 | 발행인·편집인: 김대종 | 편집국장: 최남주 | 주소: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 66길 23, 901호(여의도동,산정빌딩) | 전화: 02-2070-8316 | 팩스: 02-2070-8318 Copyright @FETV. All right reserved. FETV의 모든 컨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