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산'위기 몰린 쌍용차, "직접적이고 효과적인 지원 절실"

등록 2021.02.03 13:15:40

협력사 대책위, 정부에 지원 요청

 

[FETV=김현호 기자] 쌍용자동차가 파산위기에 직면했다. 이에 협력사들은 연쇄부도 및 고용 위기까지 겹치면서 비상이 걸렸다.

 

3일 쌍용차에 따르면 쌍용차 협력사 비상대책위원회는 청와대와 국회, 기획재정부 등 정부기관에 “저희 협력사는 2009년에 이어 또 다시 큰 충격을 받았다”며 “직접적이고 효과적인 지원 절실하다”고 호소했다. 대책위는 호소문을 통해 “대주주인 마힌드라가 새로운 신규 투자자를 모색했지만 협상이 진척되지 않아 쌍용차는 계획된 자재대금을 지급하지 못하고 전 협력사에 사전계획 회생절차(P-Plan)를 진행 하겠다고 통보하는 상황에 이르게 되었다”며 “이로 인해 현재 대부분의 협력사들이 자금난 등으로 부품을 공급할 수 없는 상황이 되었으며 지난 금요일부터 쌍용차의 전 공장은 멈춰서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대책위는 “300여 중소 협력사들은 약 4개월분의 납품대금을 받지 못하고 있고 극심한 자금난에 시달리고 있다”며 “정부에 실질적인 지원을 요청한다”고 했다. 이들은 “쌍용차는 300여 협력, 10만 여명의 일자리, 20만 여명의 생계를 함께 책임지며 국가 경제에 막중한 책임을 부여 받고 있다”며 “접적이고 실질적인 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간절한 마음을 담아 호소드린다”고 덧붙였다.

 

현재 쌍용차 대주주인 마힌드라는 법원이 회생절차개시 보류(ARS 프로그램)를 받아들이면서 잠재적투자자(HAAH오토모티브)와 투자유치에 관한 협상을 벌였지만 이견이 좁혀지지 않으면서 추가 협상이 불투명해진 상황이다.

 

쌍용차는 P플랜(사전회생계획제도)까지 진행하기로 했지만 쉽지 않아 보인다. 최대현 산업은행 수석부행장은 “P플랜을 진행하려면 이해관계자 간 사전협의가 필수적이지만 잠재적 투자자는 쌍용차의 자료 제출이 늦어지면서 최종 의사 결정을 하지 못하고 출국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쌍용차는 정부의 지원이 없거나 새로운 투자자를 찾지 못하면 최악의 경우 파산될 수 있는 상황이다. 사측은 회사를 운영하는데 따른 실익을 평가하는 사업 계획을 법원에 제출할 가능성이 높은데 법원이 회생절차가 미흡하다고 판단을 내릴 경우 쌍용차는 파산절차를 밟게 된다.



김현호 기자 jojolove7817@fetv.co.kr
Copyright @FETV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PC버전으로 보기

제호: FETV | 법인명: ㈜뉴스컴퍼니 | 등록및발행일: 2011.03.22 | 등록번호: 서울,아01559 | 발행인·편집인: 김대종 | 주소: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북로 59 레이즈빌딩 5층 | 전화: 02-2070-8316 | 팩스: 02-2070-8318 Copyright @FETV. All right reserved. FETV의 모든 컨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