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4.3 사건, 말로 형언하기 힘든 처참한 말로 ‘끔찍'

등록 2018.04.03 14:31:47 수정 2018.04.03 21:13:21

[FETV(푸드경제TV)=이재원 기자] 4월 3일 오늘은 제주 4.3사건 70주년을 맞이하는 날이다.

 

제주 4.3 사건은 1947년 3월 1일 경찰의 발포사건을 기점으로 하여 1948년 4월 3일 발생한 봉기 사태와 그로부터 19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력 충돌과 진압 과정에서 양민들이 희생된 사건이다.

 

제주 4.3사건 사망자는 1만 4,043명으로 집계됐지만, 한국전쟁이 끝날 때까지 학살이 계속된 점으로 미뤄 3만 명 규모로 알려졌다.

 

제주 4.3사건은 대통령 기록물이 사건의 진상을 규명했다는 점에서 큰 관심이 쏠리고 있다.

 

그때 당시 ‘서북청년단’이라는 극우 보수단체가 군과 경찰에 편입됐으며 미국에서는 ‘레드 헌터(Red Hunter-빨갱이 사냥꾼)’이라 명명했다.

 

이승만 대통령 국무회의록에는 “미국 측에서 한국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많은 동정을 표하나 제주도, 전남 사건의 여파를 완전히 발본색원하여야 그들의 원조는 적극화할 것이며 지방 토색 반도 및 절도 등 악당을 가혹한 방법으로 탄압하여 법의 존엄을 표시할 것이 요청된다”고 대통령 발언이 쓰여 있다.

 

이같은 이승만 대통령의 제주 4.3 사건에 대해서는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이 정부를 대변해 사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제주 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위원회에 따르면, 당시는 미군정의 무능함에 대한 불만이 퍼지던 분위기였다.

 

광복 이후 남한에서 단독정부 수립을 위해 5.10 총선을 저지하고 통일국가를 세우기 위해 1948년 4월 3일 남로당·제주도당 등 350여 명이 무장하고 제주도 내 12개 경찰지서를 급습하면서 시작됐다.

 

제주도민들의 당시 반감, 공포가 부딪혀 양측의 대립이 시작됐으며 이 다툼은 한국 전쟁 내내 계속됐고 당시 사망자만 14,043명에 달하는 아픔을 가져왔다.



이재원 기자 leejw@foodtvnews.com
Copyright @FETV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PC버전으로 보기

제호: FETV | 법인명: ㈜뉴스컴퍼니 | 등록및발행일: 2011.03.22 | 등록번호: 서울,아01559 | 발행인·편집인: 김대종 | 주소: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북로 59 레이즈빌딩 5층 | 전화: 02-2070-8316 | 팩스: 02-2070-8318 Copyright @FETV. All right reserved. FETV의 모든 컨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