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편집자주] 조현범 회장의 부재 속에서도 한국앤컴퍼니그룹이 사상 최대 실적을 냈다. ‘옥중경영’이라는 부정적 표현 뒤엔, 위기 상황에서도 작동한 자율경영 체계가 있었다. FETV는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의 시스템 경영이 어떻게 위기를 실적으로 바꿔냈는지, 그 구조적 복원력을 중심으로 짚어본다. |
[FETV=나연지 기자]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이하 한국타이어)가 북미 관세(270억원) 부담 속에서도 3분기 영업이익 5860억원을 올리며 시장 예상치(4087억원)를 43% 웃돌았다. 영업이익률은 19%로, 분기 기준 사상 최대치다.
한국앤컴퍼니그룹의 핵심 계열사인 한국타이어는 타이어 매출 2조7000억원으로 분기 기준 최대치를 기록했다. 타이어·전장·배터리 3개 축이 동시에 개선세를 보이며 그룹의 수익 구조가 안정세를 찾았다.
한온시스템은 전동화 전환 수요 확대와 구조조정 효과가 반영돼 수익성이 개선됐고 한국앤컴퍼니는 내연기관 배터리 등 사업 부문에서 안정적인 현금창출력을 유지했다.
경기 둔화와 관세 부담 속에서도 수익 기반이 흔들리지 않았다는 점에서 ‘방어형 실적’의 성격이 뚜렷했다. 한국타이어는 미국 테네시 2공장과 헝가리 공장 증설을 동시에 추진 중이다. 총 투자액은 약 2조8000억원으로, 완공 시 연간 생산능력은 1억개 이상에 달할 전망이다.
북미 생산 비중은 현지에서 판매되는 제품의 약 40% 수준에서 약 80% 수준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다만 증설 자금 집행이 이어지고 있음에도, 타이어 부문의 연간 2조원대 영업현금창출력이 재무 부담을 완충하고 있다는 평가다.
한온시스템 인수 효과도 본격화됐다. 2025년 3분기 연결 기준 그룹 매출은 5조원, 자산총계는 24조원으로 늘었다. 차입금의존도는 11.5%에서 25.6%로, 총차입금/EBITDA 비율은 0.8배에서 2.5배로 상승했지만, 보유 현금성 자산이 2조8000억원, 부채비율이 41.6%에 불과해 여전히 안정적인 재무 구조를 유지하고 있다.
한국타이어는 안종선·이상훈 공동대표 체제로, 북미 테네시 2공장 증설과 고인치·EV용 타이어 비중 확대를 병행하며 수익성을 끌어올렸다.
한온시스템은 이수일 대표이사 부회장이 이끌고 있으며, 전기차 열관리 수요 확대에 대응해 냉각·히트펌프 등 전동화 핵심 부품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재편하고 있다.
한편 이번 실적이 의미를 갖는 이유는 단순한 호실적이 아니라 총수 부재 속에서 기록한 사상 최대치라는 데 있다. 조현범 한국앤컴퍼니 회장은 지난해 5월 배임·횡령 혐의 일부 유죄 판결로 징역 3년을 선고받고 법정구속된 이후 현재까지 구속 상태다. 일각에선 ‘옥중경영’이라 불리지만, 실제 경영은 2020년 이후 도입된 사업본부(BU) 단위 책임경영 체계가 이끌었다.
한국신용평가는 “조직의 경영 안정성이 유지되는 가운데 글로벌 생산능력 확대와 포트폴리오 다각화가 병행되고 있다”며 “향후 시스템 중심 경영이 실적 변동성을 낮출 것”이라고 진단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