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신동현 기자] 네이버가 2025년 3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 3조1381억원, 영업이익 5706억원, 당기순이익 7347억원을 기록했다고 5일 밝혔다.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15.6%, 전분기 대비 7.6%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8.6%, 전분기 대비 9.4% 늘어나며 역대 최대치를 달성했다.
AI를 활용한 주요 서비스 고도화가 실적 개선을 이끌었다. 서치플랫폼, 커머스, 핀테크, 콘텐츠, 엔터프라이즈 등 전 사업 부문에서 고른 성장세를 나타냈다.
사업 부문별 매출은 ▲서치플랫폼 1조602억원 ▲커머스 9855억원 ▲핀테크 4331억원 ▲콘텐츠 5093억원 ▲엔터프라이즈 1500억원으로 집계됐다.
서치플랫폼은 AI 기반 광고 솔루션 ‘ADVoost’ 확대와 피드 서비스 강화로 전년동기 대비 6.3%, 전분기 대비 2.3% 성장한 1조602억원을 기록했다. 플랫폼 내 광고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10.5% 증가했다. AI 개인화 추천 강화로 홈피드 일평균 이용자는 1000만명을 돌파했다.
커머스 부문은 개인화 경험 고도화와 N배송 확대 효과로 전년동기 대비 35.9%, 전분기 대비 14.4% 성장한 9855억원을 기록했다. 스마트스토어 거래액은 전년동기 대비 12.3% 늘었다.
핀테크 매출은 4331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2.5%, 전분기 대비 5.2% 증가했다. 네이버페이 결제액은 스마트스토어 성장과 외부 생태계 확장에 힘입어 22.7조원으로 21.7% 증가했다.
콘텐츠 부문은 웹툰 사업과 카메라 앱 유료 구독자 확대에 따라 5093억원을 기록, 전년동기 대비 10%, 전분기 대비 7.4% 증가했다.
엔터프라이즈는 GPUaaS 신규 매출 및 라인웍스 유료 ID 증가로 전년동기 대비 3.8%, 전분기 대비 13.9% 성장한 1500억원을 기록했다.
■ 다음은 컨퍼런스콜 질의응답 전문이다.
|
Q. GPU CAPEX 규모와 감가상각 부담, 마진 전망을 어떻게 보나 또 엔비디아 협업에서 언급된 ‘GPU 6만장’도 포함되는지 궁금하다.
A. 김희철 CFO
이러한 투자들은 재무 여력이 허용되는 선에서 추진할 계획이며 엔비디아와 협업해 확보한 GPU 6만장도 이 범주 안에서 활용될 예정이다. 감가상각비 증가에 따른 단기적인 마진 부담은 있겠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충분히 플러스 잠재력이 있다고 판단한다.
Q. 주요 B2C 사업군(광고·쇼핑 등)에서 버티컬 AI 적용 수준과 매출 기여는 어느 정도인가.
A. 최수연 대표이사
네이버는 검색 외에도 쇼핑, 결제, 예약 등 다양한 버티컬 서비스를 한 생태계 안에서 운영하고 있어 AI 에이전트가 여러 서비스를 유기적으로 이해하고 작동할 수 있는 환경을 이미 갖추고 있다.
내년 봄에는 쇼핑 AI 에이전트를 시작으로 생성형 검색을 전면 반영한 AI 탭, 내부 서비스와 외부 생태계를 연결하는 통합 에이전트를 순차적으로 공개할 계획이다. 매출 기여는 아직 초기 단계지만 AI 기술이 검색 광고, 커머스, 로컬 비즈니스 매출 향상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있다.
Q. 엔터프라이즈 부문에서 디지털 트윈, 로봇, 피지컬 AI 등으로 확장 중인데 중장기 성장성과 수익화 가능성은 어떻게 보나.
A. 최수연 대표이사
ARC는 다양한 제조사의 로봇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표준화 OS 플랫폼으로 로봇 업계의 윈도우나 안드로이드 역할을 목표로 하고 있다.
ALIKE는 초정밀 3D 디지털 트윈 기술로 GPS가 닿지 않는 실내 환경에서도 로봇이 정확히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기술들은 현재 글로벌 수준에서도 경쟁력이 있으며 성남 1784 사옥을 테스트베드로 활용해 로봇 자율주행과 실시간 클라우드 제어 시스템을 구현했다. 이를 통해 글로벌 레퍼런스 확보 단계에 진입했다.
시장 규모를 단정하긴 이르지만 네이버가 지향하는 로봇 OS·제어 플랫폼 시장이 전 세계 로보틱스 산업의 약 30~40%를 차지할 것으로 본다. 또 이러한 기술 내재화를 기반으로 제조업 맞춤형 프라이빗 클라우드 시장 진입도 추진 중이다. 현재 한국은행, 한국수력원자력 등 주요 기관과 실질적인 협의가 진행되고 있다.
A. 김희철 CFO
GPU 인프라 투자는 광고와 커머스 매출 증가에서 확보한 재원을 활용해 진행 중이다. 직접 매출로 연결되는 부분도 있지만 상당 부분은 미래 성장을 위한 선제 투자다. 단기적으로 손익에 부담이 있을 수 있으나 중장기적으로는 충분한 수익성 개선 여력이 있다고 본다.
Q. AI 브리핑 도입 이후 검색 이용자 행동 변화와 내부 지표 개선 효과가 있었는가.
A. 최수연 대표이사
특히 플레이스(맛집·식당 노출) 영역에 AI 브리핑을 적용했을 때 클릭률(CTR)이 2.3배 상승했고 예약·주문 건수는 15% 증가했다. 이는 AI 기술이 검색 품질뿐 아니라 로컬·커머스 매출에도 직접적인 긍정 효과를 주고 있음을 보여준다.
Q. 커머스의 테이크레이트 추가 인상 가능성과 컬리와의 협업 효과는 어떤지 궁금하다.
A. 최수연 대표이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