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신동현 기자] 엔씨소프트가 2025년 1분기 매출 3603억원, 영업이익 52억원, 당기순이익 375억원을 기록했다고 14일 밝혔다.
매출은 전분기 대비 12% 감소하고, 전년 동기 대비 9% 줄었다.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전분기 대비 흑자 전환했고 전년 동기 대비로는 각각 80%, 34% 감소했다.
지역별 매출은 한국 2283억원, 아시아 561억원, 북미∙유럽 309억원이다. 로열티 매출은 45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8% 증가했다. 해외 및 로열티 매출의 비중은 전체 매출의 37%를 차지했다. 플랫폼별 매출은 모바일 게임 2063억원, PC 게임 833억원을 기록했다.
![[이미지 엔씨소프트]](http://www.fetv.co.kr/data/photos/20250520/art_17471869644551_454252.jpg)
엔씨소프트는 이날 오전 공시를 통해 2026년 매출 목표 가이던스를 최소 2조원으로 발표했다. 주요 지표 예측치를 기준으로 Legacy IP의 지속적인 확장과 2025년 하반기 신작 출시 효과 등을 반영해 산출했다. 신작 라인업의 성과에 따라 최대 2조 5000억원까지 매출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목표 매출 달성의 구체적 방안으로는 대규모 업데이트, 서비스 지역 확장, 스핀 오프 게임 출시 등 ‘Legacy IP 확장’과 아이온2, LLL, 브레이커스, 타임 테이커즈 등 ‘신규 IP 출시 본격화’ 등을 제시했다.
박병무 공동대표는 "올해 하반기까지는 보릿고개를 지나고 있는 과정"이라며 "현재는 어려운 시기이지만 3분기, 4분기로 갈수록 확실한 반등을 기대하고 있으며 이런 자신감을 바탕으로 내년 매출 가이던스를 제시했다"고 말했다.
■다음은 컨퍼런스콜 질의응답 전문이다.
Q. 아이온2는 기존 레거시 IP와 어떤 차별점이 있는지와 더불어 비즈니스 모델(BM)의 방향성은 이전과 다른가?
A. 박병무 공동대표
초기부터 유저 피드백을 반영할 수 있는 FGT(포커스 그룹 테스트)도 진행하며 이후에도 주기적으로 유저 의견을 반영할 계획이다.
A. 홍원준 CFO
전체 인건비는 시장 컨센서스에 부합할 수 있도록 관리할 계획이다.
A. 박병무 공동대표
내년 매출이 2조~2조5000억원에 도달할 경우 영업 레버리지 효과를 통해 영업이익 극대화를 목표로 한다.
Q. 2026년 6000억~1조원 매출 목표를 세웠는데 어떻게 달성할 계획이며 IP별 예상 매출 기여도는 어떻게 보시나?
A. 박병무 공동대표
7개의 신규 IP가 출시될 예정이며 아이온2는 전체 매출의 약 절반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한다. LLL, 브레이커스, 타임 테이커스는 보수적으로 매출을 추정했고 글로벌 IP 기반 MMORPG도 추가적으로 매출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한다.
Q. 아이온2의 리텐션(유저 유지) 전략은 무엇이며 TL 사례와 어떤 차별점이 있나
A. 박병무 공동대표
TL 사례와 달리, 글로벌 유저 특성에 맞춰 장기적인 리텐션 전략을 강화할 것이다.
A. 박병무 공동대표
브랜드 마케팅 비중을 줄이고 성과 기반 마케팅으로 전환해 마케팅 비용을 매출의 5~6% 수준으로 관리할 예정이다.
A. 박병무 공동대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