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충격에 작년 4분기 성장률 0.1%...연간 2.0%에 그쳐

등록 2025.01.23 08:38:18 수정 2025.01.23 08:38:28

 

[FETV=권지현 기자] 지난해 4분기(10~12월) 성장률이 0.1% 오르는 데 그쳤다. 연간 성장률도 당초 전망보다 낮아진 2.0%로 집계됐다. 12·3 계엄 사태 여파로 소비·건설투자 등 경기가 위축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한국은행은 2024년 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직전분기대비·속보치)이 0.1%로 집계됐다고 23일 밝혔다. 지난해 분기별 성장률은 1분기(1.3%) 깜짝 성장했다가 2분기(-0.2%), 3분기(0.1%), 4분기(0.1%)로 점점 성장세가 둔화되는 추세다.

 

연간 성장률 2.0%는 한은의 11월 수정 전망치(2.2%)보다도 0.2%포인트(p) 낮아진 수치다. 

 

 

지난해 4분기 성장률을 부문별로 보면, 민간소비는 의류·신발 등 준내구재와 의료·교육 등 서비스를 중심으로 0.2% 늘었다. 정부소비도 건강보험급여 등 사회보장 현물 수혜 위주로 0.5% 증가했고 설비투자 역시 반도체제조용장비 등 기계류의 호조로 1.6% 성장했다.

 

하지만 건설투자는 건물·토목 동반 부진으로 3.2% 뒷걸음쳤다. 수출은 반도체 등 IT(정보기술) 품목을 중심으로 0.3% 증가했고, 수입은 자동차·원유 위주로 0.1% 줄었다.

 

4분기 성장률에 가장 크게 기여한 항목은 설비투자(0.2%p)였고, 민간소비(0.1%p)·정부소비(0.1%p)·순수출(수출-수입·0.1%p)도 양(+)의 수치를 기록했다. 각 0.2%p, 0.1%p, 0.1%p, 0.1%p만큼 4분기 성장률을 끌어올렸다는 뜻이다. 반대로 건설투자는 성장률을 0.5%p 끌어내렸다.  

 

업종별로는 제조업(0.1%)과 서비스업(0.3%)이 성장했지만, 농림어업(-3.9%)과 전기·가스·수도업(-2.9%), 건설업(-3.5%)은 뒷걸음쳤다.

 

작년 4분기 실질 국내총소득(GDI) 증가율은 0.6%로 실질 GDP 성장률(0.1%)을 웃돌았다.

 


권지현 기자 jhgwon1@fetv.co.kr
Copyright @FETV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PC버전으로 보기

제호: FETV | 명칭: ㈜뉴스컴퍼니 | 등록및발행일: 2011.03.22 | 등록번호: 서울,아01559 | 발행인·편집인: 김대종 | 주소: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 66길 23, 901호(여의도동,산정빌딩) | 전화: 02-2070-8316 | 팩스: 02-2070-8318 Copyright @FETV. All right reserved. FETV의 모든 컨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