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 사태에 소비심리 '뚝'...금융위기 후 최대 폭 악화

등록 2024.12.24 09:29:30 수정 2024.12.24 10:30:10

 

[FETV=권지현 기자] 비상계엄 사태로 12월 소비심리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장 큰 폭으로 떨어졌다.


한국은행이 24일 발표한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12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88.4로, 11월보다 12.3포인트(p) 떨어졌다. 이는 금융위기 때인 2008년 10월(-12.6p) 이후 가장 큰 하락이다. 지수 자체도 2022년 11월(86.6) 이후 2년 1개월 만에 최저치다.


CCSI는 소비자동향지수(CSI)를 구성하는 15개 지수 가운데 현재생활형편·생활형편전망·가계수입전망·소비지출전망·현재경기판단·향후경기전망 6개 지수를 이용해 산출한 지표다. 지수가 100보다 크면 소비자의 기대 심리가 장기평균(2003∼2023년)과 비교해 낙관적이라는 뜻이고, 100보다 작으면 비관적이라는 의미다.

 


11월과 비교해 소비자심리지수를 구성하는 6개 지수 중 현재경기판단(52·-18p)이 눈에 띄게 하락했다. 코로나19 때였던  2020년 3월(-28p) 이후 낙폭이 가장 컸다.

 

향후경기전망(56·-18p)도 2022년 7월(-19p) 이후 가장 큰 폭의 하락을 기록했다. 아울러 현재생활형편(87·-4p), 생활형편전망(86·-8p), 가계수입전망(94·-6p), 소비지출전망(102·-7p) 등도 나란히 내렸다.


이달 주택가격전망지수는 103으로, 11월(109)보다 6p 하락했다. 이 지수는 1년 후 주택가격에 대한 소비자 전망을 반영한다.


한은이 10월에 이어 11월에도 기준금리를 인하했지만, 금리수준전망지수는 가계대출 관리 강화에 따른 대출 금리 상승 등의 영향으로 지난 11월 93에서 12월 98로 5p 상승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대를 유지했지만, 원·달러 환율이 급등하고 공공요금 인상이 우려되면서 물가 전망은 상승세를 나타냈다. 향후 1년간의 물가 전망을 나타내는 기대인플레이션율은 3.3%로 전월과 같았다. 3년 후 기대인플레이션율은 2.7%로 전월보다 0.1%p 올랐고, 5년 후 기대인플레이션율은 2.6%로 전월과 동일했다.



권지현 기자 jhgwon1@fetv.co.kr
Copyright @FETV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PC버전으로 보기

제호: FETV | 명칭: ㈜뉴스컴퍼니 | 등록및발행일: 2011.03.22 | 등록번호: 서울,아01559 | 발행인·편집인: 김대종 | 편집국장: 정해균 주소: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 66길 23, 901호(여의도동,산정빌딩) | 전화: 02-2070-8316 | 팩스: 02-2070-8318 Copyright @FETV. All right reserved. FETV의 모든 컨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