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장칼럼] 탄핵정국에 고민 깊어진 제약바이오업계

등록 2024.12.10 16:07:23 수정 2024.12.10 16:07:32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가 탄핵 정국으로 인한 환율 급등과 미국의 생물보안법 제동으로 어려움이 예상된다. 9일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17.8원 오른 1437.0원에 마감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지난 3일 1442원까지 뜀박질했으나 당국이 개입하면서 1410원대에서 등락을 거듭했다. 이날 1442원으로 고점을 찍은 원-달러 환율은 글로벌 금융위기였던 2009년 3월에 기록한 1488원 이후 최고치다. 이어 지난 7일 윤 대통령 탄핵 불발로 정치적 불확실성이 극대화되면서 환율은 다시 요동치고 있다. 증권가에선 1450원선도 대비해야 한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조심스럽게 흘러 나오고 있다. 

 

우리 경제는 높은 대외의존도로 글로벌 여건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자의 미국 우선주의에 따른 보호무역주의는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을 크게 확대하고 있다. 그로 인해 환율과 원자재 가격도 크게 요동치고 있다. 의약품 원료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기 때문에 계엄선포 이후 지금의 고환율 상황은 제약바이오 업계에게 부담으로 작용한다. 특히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는 원료의약품의 수입 의존도가 높아 고민은 더욱 깊어진다. 

 

지난해 원료의약품 국내 자급도는 25.58%로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원료의약품 자급도가 낮다는 것은 곧 수입액이 많이 증가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약사들이 마진을 남기기 위해 국산보다 가격이 저렴한 중국 원료로 눈을 돌리고 있다. 국내의 몇몇 대형 제약사들은 자체적으로 원료를 제공받고 있다. 원료가 남는다고 해도 타 업체에게 판매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수입산에 비해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우려되는 점은 국내 업체에게 원료를 제공해 주는 해외 국가가 원료 공급량을 대폭 줄이면 자칫 보건의료 안보가 흔들릴 수 있다는 것이다. 때문에 전문가들은 국내에서 생산한 원료를 사용한 의약품에 대해선 약가 우대 정책을 확대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해외 원료를 사용하다가 국산으로 변경하면 단가가 올라갈 수밖에 없으므로 정부의 약가 우대가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최근 보건복지부는 국산원료를 쓴 국가필수의약품 약가를 최대 10년(5+5년) 동안 68% 약가 가산을 부여하고, 연구개발 비중이 높은 제약사가 만든 신약 약가 우대와 수출 지원을 위한 이중가격제 도입 등이 포함된 고시안을 예고했다. 고시안은 법제처 검토와 규제개혁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2025년에 고시 발령될 예정이다.

 

아울러 미국이 중국 바이오 기업을 견제하기 위해 입법을 추진중인 '생물보안법'이 2025 회계연도 국방수권법에서 제외된 점도 국내 바이오 기업에 불리하게 작용하게 됐다. 생물보안법은 중국 바이오 기업을 의도적으로 견제하기 위해 마련된 법안이다. 그러나 일부 민주당 의원이 법안에 특정 기업을 지목하는 것을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연내 통과가 불투명하게 됐다. 내년 1월 새 국토안보위원회에서 생물보안법에 대해 재논의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법안은 우시앱텍과 우시바이오로직스, BGI그룹 등 중국 주요 바이오 기업을 제재 대상으로 명시해 중국 업체와 경쟁하는 삼성바이오로직스, 에스티팜 등 국내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개발(CDMO) 기업이 반사이익을 볼 것이라는 기대감이 있었다. 실제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생물보안법 추진 후 수주 문의가 2배 늘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에스티팜이 중국을 대체할 글로벌 제약사의 신약(저분자화합물) 원료의약품 공급사로 선정됐다. 그동안 원료의약품은 당초 중국에서 공급받았으나 이번에 에스티팜으로 바뀐 것이다. 

 

생물보안법 통과 여부가 불투명해지면서 미국시장에서 점유율을 확대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은 다소 줄어들게 됐다. 그러나 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미·중 갈등상황이 지속되면서 국내 기업에게 더 많은 기회가 찾아오게 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이를 위한 대비책을 강구해야 한다는 것이 업계의 공통된 의견이다. 
 



강성기 기자 skk815@fetv.co.kr
Copyright @FETV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PC버전으로 보기

제호: FETV | 명칭: ㈜뉴스컴퍼니 | 등록및발행일: 2011.03.22 | 등록번호: 서울,아01559 | 발행인·편집인: 김대종 | 편집국장: 정해균 주소: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 66길 23, 901호(여의도동,산정빌딩) | 전화: 02-2070-8316 | 팩스: 02-2070-8318 Copyright @FETV. All right reserved. FETV의 모든 컨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