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죽인 금융시장..."탄핵정국 충격파 어디로 튈지 모른다"

등록 2024.12.09 07:16:01 수정 2024.12.09 07:16:11

 

[FETV=권지현 기자] 시장이 숨을 죽였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과 수출 둔화 등으로 가뜩이나 전망이 암울한 금융·외환시장은 채 한주 새 진행된 비상계엄, 탄핵소추안 발의 등 '충격파'를 불안 속에 주시했다. 경제 수장들은 잇달아 '계엄, 탄핵 여파는 제한적'일 것이라 단언했지만 글로벌 투자은행(IB)들은 한국 경제가 계엄 후폭풍으로 정치적 불확실성이란 추가 리스크를 안게 됐다고 분석했다.

 

◇움츠린 금융시장

 

9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2~6일 코스피지수는 종가 기준 26.32p(1.07%) 내렸다. 3일 2500선으로 장을 마쳤던 코스피는 당일 밤 비상계엄령 선포 및 해제를 거치는 가운데 2460선을 지켰다. 하지만 곧바로 탄핵 정국이 급물살을 타면서 5~6일 이틀 연속 하락했다. 특히 6일 한때 장중 1.8% 급락, 2397.73까지 떨어지며 지난해 1월 16일 이후 23개월 만에 2400선 아래로 내려가기도 했다. 6일 코스닥지수는 1.43% 하락한 661.33에 거래를 마쳤다. 장중 3.96% 급락하며 최근 1년간 신저가를 다시 썼다. 국회의 탄핵안 표결을 앞두고 시장은 일찌감치 경계심을 드러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지난주 17.5원(매매기준율) 뛰었다. 내내 1400원을 위협하던 환율은 3일 1410원대로 올라선 뒤 횡보를 거듭, 6일에는 전일보다 7.5원 오른(원화가치 하락) 달러당 1424.0원으로 마감했다. 특히 6일 원·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0.9원 상승한 1416.0원에 개장했다가 탄핵 표결이 앞당겨질 수 있다는 보도가 나오는 등 정국 불안이 고조되자 한때 1429.2원까지 뛰는 등 불안감을 보였다. 원화는 지난주 달러 대비 2%가량 평가 절하됐다. 반면 유로화, 엔화, 파운드화, 대만달러까지도 달러 대비 강세를 보였다.

 

한국이 발행한 채권 등에 대해 국가의 부도위험을 나타내는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가산금리)은 이 기간 0.34%대에서 계엄 선포 후 상승세를 지속, 6일 0.36%에 육박한 수준으로 뛰었다. 정치적 리스크에 민감한 CDS지표 특성상 향후 정국 변동에 따라 급등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 

 

 

◇"정치 혼란 언제 수습되나"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8일 "경제팀이 총력을 다해 경제를 최대한 안정적으로 관리하겠다"며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컨트롤타워로 하면서 거시경제금융현안간담회 및 범부처 경제금융상황 점검 태스크포스(TF) 등 관계기관이 긴밀히 공조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같은 날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필요한 시장안정대책을 신속히 시행할 수 있도록 만반의 준비를 해달라"고 직원들에게 당부했다.
 

계엄 사태에서 탄핵 정국으로 급물살을 타자 경제 수장들은 잇달아 '안정' '대비' 등을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글로벌 투자자들은 도리어 정치적 리스크가 이미 좋지 않은 한국 경제의 불확실성을 키웠다고 평가하고 있다. 

 

세계 3대 투자은행 모건스탠리는 5일(현지시간) 발간한 보고서에서 "하지만 불확실한 정책 환경을 고려할 때, 탄핵 가능성과 대통령 교체가 경제 전망에 대한 가계와 투자자들의 우려를 증폭시킬 수 있기 때문에 내수·투자 활동의 하방 리스크가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으며, 7일 미국의 대형은행 뱅크오브아메리카(BoA)의 아시아 금리 및 외환 전략 공동 책임자인 아다르쉬 신하는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윤 대통령의 탄핵 실패로 (정치적) 불확실성이 더 오래 지속될 것이다. 경기가 나빠 금리 인하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탄핵마저 불발해 원화 가치가 떨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런 가운데 금융위원회는 9일 오전 김병환 위원장 주재로 KB·신한·하나·우리·농협 등 5대 금융지주 회장과 금융감독원, 산업은행, 기업은행, 신용보증기금, 한국거래소, 은행연합회, 금융투자협회 등이 모두 참석하는 금융시장 점검회의를 연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의 경우 현재 국가신용등급 결정을 보류하고 있는데, 이들은 해당 국가의 내란이나 정쟁에 대해 엄격한 잣대를 들이댄다"면서 "국가신용등급이 강등되면 국채 금리가 뛰는 등 한국 경제가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는데, 그야말로 탄핵정국 여파가 어디까지 이어질지 예측할 수 없는 형국"이라고 말했다. 



권지현 기자 jhgwon1@fetv.co.kr
Copyright @FETV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PC버전으로 보기

제호: FETV | 명칭: ㈜뉴스컴퍼니 | 등록및발행일: 2011.03.22 | 등록번호: 서울,아01559 | 발행인·편집인: 김대종 | 편집국장: 정해균 주소: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 66길 23, 901호(여의도동,산정빌딩) | 전화: 02-2070-8316 | 팩스: 02-2070-8318 Copyright @FETV. All right reserved. FETV의 모든 컨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