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연합뉴스]](http://www.fetv.co.kr/data/photos/20240625/art_17186705096209_6a6aa9.jpg)
[FETV=임종현 기자] 금융감독원이 자산건전성에 '경고등'이 켜진 일부 저축은행을 대상으로 경영실태평가를 실시한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은 이달 말 전국 79개 저축은행 중 연체율, 순고정이하자산비율 등 자산건전성 지표가 부실한 일부 저축은행을 대상으로 경영실태평가를 진행할 예정이다.
상호저축은행 감독규정에 따르면 금감원은 저축은행 본점을 대상으로 경영실태평가를 실시한 뒤 경영정상화 계획을 받을 수 있다. 이후 종합평가에서 자본적정성, 자산건전성, 경영관리능력 등을 1등급(우수)∼5등급(위험) 등 5개 등급으로 구분한다.
종합평가 자산건전성·자본적정성 부문에서 4등급(취약) 이하로 받을 경우 최종적으로 금융위원회에서 적기시정조치를 부과받을 수 있다. 적기시정조치를 받은 저축은행은 향후 건전성 개선 방안을 금융당국에 제출하고 이행 점검을 받아야 한다.
금감원이 자산건전성 지표 악화로 저축은행을 대상으로 경영실태평가를 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올해 1분기 저축은행 업계의 연체율은 8.8%로 9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2021년 2%대에서 3년새 4배가량 올랐다. 특히 기업대출 연체율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여파로 11%까지 치솟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