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서 잘나가는 전기차 국내선 맥을 못춘다는데...왜?

등록 2023.12.06 09:37:53 수정 2023.12.06 09:38:06

3분기 누적 글로벌 전기차 판매량 36%↑, 내수는 전년대비 ‘주춤'
대규모 할인에도 고금리·충전 인프라 문제 등 겹치며 상승세 둔화
“초반 수요 소진…전기차 우수성·친환경 전환 홍보 등 유인책 필요”

 

[FETV=김창수 기자] 글로벌 전기차(EV) 시장 상승세와 달리 국내에선 판매량이 신통치 않아 자동차회사들이 타개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큰 폭 할인에도 불구 높은 금리, 충전 인프라 부족 등으로 그동안 높았던 전기차 인기가 한 풀 꺾인 모양새다. 업계에선 전기차 우수성 및 친환경적 장점을 부각하는 등 소비자 판촉을 강화해야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6일 SNE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3분기(1~9월) 글로벌 전기차 누적 등록대수(PHEV 포함)는 966만대로 전년(708만대)대비 36.4% 증가했다. 점유율 1위(57.9%) 중국 시장이 지난해보다 33% 커지며 상승세를 견인했다. 유럽(31.1%↑), 북미(53.4%↑) 등 주요 자동차 시장에서도 증가폭이 컸다. 반면 국내 전기차 판매량은 주춤한 모습을 보였다.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올해 3분기까지 누적 전기차 판매는 11만7611대다. 이는 지난해(11만 9841대)에 비해 1.9% 줄어든 규모다. 지난해 판매량이 전년(2021년)에 비해 73.6% 폭발적으로 늘어난 것과 비하면 저조한 성적이다.

 

현대차·기아 주요 전기차종을 살펴봐도 이러한 추세가 두드러진다. 600만원 할인책을 폈던 아이오닉5와 아이오닉6는 11월에 전월(10월) 대비 판매가 각각 17.1%, 30.9% 늘었다. 그러나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아이오닉5는 10.3%, 아이오닉6는 84.2% 감소했다. 이밖에 생산월에 따라 최대 10% 할인 판매했던 제네시스 G80 전동화 모델은 전년 대비 판매가 64.6% 감소했다. 기아의 경우 신형 레이 EV를 제외한 전기차 전차종 전월대비 판매량이 26.5% 줄었다.

 

전기차 판매 부진 원인으로는 내연기관 대비 판매가가 비싼 전기차 구매 보조금이 줄고 고금리 기조까지 겹쳐 소비심리가 위축된 것이 꼽힌다. 앞서 미국 경제지 ‘포브스’도 전기차 판매 저하 이유로 고금리와 더불어 ▲제품에 대한 생소함 ▲충전 후 평균 주행거리가 짧을 것이라는 우려 ▲제한된 충전 네트워크 ▲얼리 어답터 소비층 흥미 감소 등을 거론한 바 있다. 이런 가운데 업계에서는 판촉 조건 다양화와 더불어 친환경성 등 전기차만의 장점을 강조해 정체된 판매량을 끌어올린다는 복안이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전기차는 초창기 때 고객 수요가 많았지만 이제 살 사람들은 많이 구매를 해 수요가 줄어든 측면이 있다”며 “이에 대응해 전기차 출고 고객들에 대한 할인 행사 등 판매 조건 완화에 나서고 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아울러 “12월에도 EV 세일 페스타, 에코 패밀리 특별할인(친환경차 구매 이력 보유 고객에게 할인 적용) 등 고객 유인 판촉 조건들을 강화하고 있다”며 “아울러 내연기관 대비 전기차 우수성이나 전기차로의 (친환경적) 전환에 대한 부분들을 홍보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창수 기자 crucifygatz@fetv.co.kr
Copyright @FETV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PC버전으로 보기

제호: FETV | 법인명: ㈜뉴스컴퍼니 | 등록및발행일: 2011.03.22 | 등록번호: 서울,아01559 | 발행인·편집인: 김대종 | 주소: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북로 59 레이즈빌딩 5층 | 전화: 02-2070-8316 | 팩스: 02-2070-8318 Copyright @FETV. All right reserved. FETV의 모든 컨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