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ETV=김창수 기자] D램 매출이 1년 만에 반등한 가운데 올해 2분기 글로벌 반도체 업계 D램 매출이 전 분기보다 20%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냈다.
24일 대만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는 올해 2분기 전 세계 D램 매출은 약 114억3000만달러로 전 분기 대비 20.4% 증가했다고 밝혔다.
트렌드포스는 "인공지능(AI) 서버에 대한 수요 증가가 고대역폭메모리(HBM) 출하량 증가를 견인했다"며 "주요 D램 공급업체 3곳 모두 출하량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시장점유율 1위인 삼성전자의 D램 2분기 매출은 45억3000만달러로 전 분기(41억7000만달러)보다 8.6% 증가했다. 다만 삼성전자 시장점유율은 1분기 43.9%에서 2분기 39.6%로 4.3%포인트 하락했다.
SK하이닉스의 2분기 D램 매출은 34억4000만달러로 전 분기(23억1000만달러)보다 48.9% 늘었다. 이에 시장점유율도 24.4%에서 30.1%로 상승해 2위를 차지했다.
트렌드포스는 "SK하이닉스는 출하량이 전 분기보다 35% 이상 증가했다"며 "평균판매단가(ASP)가 높은 더블데이터레이트(DDR)5와 HBM의 출하량은 크게 늘었다"고 분석했다.
한편 3위 마이크론 2분기 D램 매출은 전 분기(25억5000만달러)보다 15.7% 증가한 29억5000만달러를 기록했다. 시장 점유율은 26.9%에서 25.8%로 하락해 SK하이닉스에 2위 자리를 내줬다.
트렌드포스는 "마이크론은 HBM 개발이 다소 늦었지만 DDR5 출하량은 상당한 비중을 차지해 ASP를 상대적으로 안정적으로 유지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