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호 JW그룹 명예회장 별세…"제약보국 실현 앞장"

등록 2023.04.30 17:48:00 수정 2023.04.30 17:48:07

 

[FETV=박제성 기자]  이종호 JW그룹 명예회장이 30일 오전 7시 49분 노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90세.

 

이 명예회장은 세브란스병원에서 입원 중 전날 병세가 급격히 악화했으며 가족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평화롭게 영면에 들었다.

 

장례는 JW그룹 회사장으로 치러진다. 빈소는 연세대 신촌장례식장 특1호실에 마련됐다. 조문은 5월 1일 오전 10시부터 가능하다. 발인은 5월 3일 오전 7시에 진행될 예정이다. 장지는 경기도 연천군 중면 횡산리이다.

 

한편 평소 소탈하게 살아온 고인의 유지와 유족의 뜻에 따라 조의금과 조화는 정중히 사양한다.

 

이 명예회장은 1945년 광복둥이 기업으로 탄생한 JW중외제약에서 ‘제약구세’(製藥救世)의 일념으로 필수의약품부터 혁신신약까지 ‘약 다운 약’을 만들어 국민 건강을 지키는 ‘제약보국’(製藥保國) 실현에 앞장섰다.

 

1966년 회사 경영에 본격 참여한 이 명예회장은 1969년 국내 최초이자 세계 두 번째로 합성 항생제 ‘리지노마이신’ 개발에 성공, 세계를 놀라게 했다.

 

‘리지노마이신’은 국내에서 선풍적인 반응을 이끌었다. 경영위기로 어렵던 회사의 기틀을 다지고 국내 제약 산업을 한 단계 진보시키는 역할을 했다. ‘리지노마이신’은 1973년 12월 영국 약전에도 수록될 정도로 세계 이름을 알렸다. 1969년 5월 19일 발명의 날에 국무총리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기도 했다.

 

항생제 합성 분야에서 큰 성공을 이룬 이 명예회장은 1974년, 당시 페니실린 항생제 분야 최신 유도체로 평가받던 피밤피실린의 합성에도 성공, ‘피바록신’을 개발해 기술력을 입증했다.

 

1960년대 후반부터는 해외 선진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해 국내 제약 산업의 수준을 끌어올렸다. 머크, 애보트 등 유럽 및 미국 주요 제약사들과의 기술제휴를 통해 국내 시장에서 기술적 입지를 굳혀나갔다. 이들과의 협업을 통해 전문 치료의약품 중심의 사업을 확대했다. 이는 1970년대부터 이어진 고도성장의 기반이 됐다.

 

1970년대 초반에는 기초원료 합성과 생산을 위한 연구에 집중, 국내 최초 소화성궤양 치료제 ‘아루사루민’, 진통·해열제 ‘맥시펜’, 빈혈치료제 ‘훼럼’, 종합비타민 ‘원어데이’ 등 신제품들을 시장에 선보여 포트폴리오를 확장해 나갔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1993년 2월 제14대 한국제약협회장 취임하며, ‘기업윤리관 확립’, ‘환경변화 대응능력 배양’, ‘협회의 조직기능 효율화와 위상 제고’ 등 3대 목표를 제시하기도 했다.

 

이를 실천하기 위해 약가관리체계 자율화, 건전한 납품질서체계 확립, 회전기일 단축과 적정이윤 확보를 비롯하여 윤리위원회 설치와 자정운동 강화, 신약개발 지원정책 마련, 각종 행정규제 완화 등의 다양한 사업들을 전개했다.

 

이 명예회장은 1970년대에 수액 한 병 납품할 때마다 원가(原價)가 안 나와, 팔수록 손해인 수액사업에 대해 사업을 이어갈지 고민을 했다. 하지만, 병원 불빛을 보며 “지금 이 순간에 저기서 꺼져가는 생명이 있는데 싶은 마음이 들면서 돈이 안 돼서 그만둔다는 건 말이 안 된다”라며 선친이 몸소 실전했던 생명존중의 창업정신을 이어가 오늘이 됐다고 소회를 밝힌 바 있다.

 

JW그룹은 1997년에 국내 최초로 환경호르몬이 검출되지 않는 Non-PVC 수액백 개발에 성공, 친환경 수액백 시대를 열었다. 2006년에는 1600억 원을 투자해 충남 당진에 세계 최대 규모의 수액제 공장을 신설, 글로벌 생산 기지를 구축했다.

 

당시 이 명예회장은 “내가 충남 당진에 1600억원 들여서 한 개에 1000원 정도 하는 수액 생산 공장 짓는다니깐 ‘우리 시대의 마지막 바보’라고 했다”고 말했다.

 

JW그룹은 당진 수액공장을 기반으로 2019년에는 자체 기술력으로 개발한 3체임버 종합영양수액 ‘위너프(수출명:피노멜)’ 완제품을 아시아권 제약사로는 최초로 영양수액 세계 최대 시장인 유럽 시장에 수출하는 쾌거를 이룩했다.

 

그는 지난해 3월 한 언론 인터뷰에서 “내가 신약 개발한다니까 예전에 한 보사부 장관이 ‘안 될 일에 왜 자꾸 돈을 쓰느냐’고 말리더라고요. 그때 내가 그랬어요. ‘반도체 누가 만들었어요? 우리나라 사람이 만든 거 아닙니까?’라고. 반도체를 만드는 한국 사람은 있는데 신약 개발하는 한국 사람이 없다는 건 말이 안 돼요."라고 한 말이 소개가 될 정도로 신약 불모지에서 강국으로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 같은 신념으로 이 명예회장은 R&D 역량을 키우기 위해 국내에 신약이라는 개념조차 희미했던 1983년 중앙연구소를 설립했다. 1986년에는 신약개발 연구조합 초대 이사장에 추대돼는 등국내 제약업계 발전에 큰 기여를 했다.

 

1992년에는 오늘날 오픈 이노베이션의 시초라 할 수 있는 국내 최초의 합작 바이오벤처인 C&C신약연구소(현 JW중외제약 지분 100%)를 일본 주가이제약과 50 대 50 지분 투자를 통해 설립했다. 이 명예회장은 설립 당시 “대한민국의 인재와 일본의 신약개발 노하우를 합쳐 제대로 된 신약을 만들어보자”라는 취지를 밝혔다.

 

이 밖에도 2000년에는 미국 시애틀에 연구소인 JW 세리악(현재 미국 보스턴 소재)를 설립하는 등 글로벌 R&D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이를 발판삼아 2001년에는 국내 최초의 임상3상 신약 1호인 항생제 ‘큐록신’ 허가를 획득하는 성과를 냈다.

 

JW중외제약은 오늘날까지 그 정신을 이어받아 혁신신약 중심의 R&D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치료의약품의 개발에 힘쓰고 있다. 주요 신약 후보물질 가운데, 기술수출에 성공한 아토피피부염 치료제와 통풍 치료제는 글로벌 임상을 진행 중이며, 탈모치료제와 표적항암제 또한 임상 1상 진입을 목표로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한편 이 JW그룹 명예회장은 경기도 김포 출생으로 서울고, 동국대 법학 학사, 고려대 경영대학원을 수료했다.

주요 경력으로는 삼락증권 총무이사,  ㈜대한중외제약 대표 취임, 중외제약 회장, 초대 한국신약개발 연구조합 이사장, 한국 제약협회 회장, 홀트 장애인합창단 영혼의소리로 후원회장, JW홀딩스 대표이사 회장, 중외학술복지재단 이사장, JW그룹 명예회장직을 맡아왔다.



박제성 기자 js840530@fetv.co.kr
Copyright @FETV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PC버전으로 보기

제호: FETV | 법인명: ㈜뉴스컴퍼니 | 등록및발행일: 2011.03.22 | 등록번호: 서울,아01559 | 발행인·편집인: 김대종 | 주소: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북로 59 레이즈빌딩 5층 | 전화: 02-2070-8316 | 팩스: 02-2070-8318 Copyright @FETV. All right reserved. FETV의 모든 컨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