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ETV=박제성 기자] 포스코퓨처엠이 2025년까지 양극재 생산능력을 4만6000톤(t) 추가 늘린다. 이는 고성능 전기차 50만대 추가분에 해당한다.
포스코퓨처엠은 이사회를 열고 2025년까지 총 6148억원을 투자해 포항 영일만 4일반산업단지에 4만6000톤 규모의 하이니켈 NCMA(니켈, 코발트, 망간, 알루미늄) 양극재 공장을 추가 건설하는 안건을 승인했다고 24일 밝혔다. 올해 하반기에 착공해 2025년 완공한다.
하이니켈 NCMA 양극재는 니켈 비중을 80% 이상으로 높여 핵심 원료인 가운데 니켈, 코발트, 망간, 알루미늄을 혼합해 만든다. 니켈 비중이 대다수를 차지하는 이유는 배터리 용량과 출력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하이니켈 방식의 양극재는 가성비의 초점을 맞춘 LFP 배터리보다 가격이 비싸다.
현재 포스코퓨처엠은 연간 10만5000톤의 양극재를 생산량(캐파)을 보유하고 있다. 9만톤의 양극재를 생산하는 광양공장을 비롯해 연 1만톤 구미공장, 연 5000톤 중국 저장성 절강포화 공장 등 총 10만5000톤의 양극재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이번 투자 결정으로 포스코퓨처엠의 양극재 생산능력은 2025년까지 추가 생산공장까지 합산할 경우 총 27만1000톤으로 늘어날 예정이다.
특히 포항은 올해 하반기 준공 예정인 연산 3만톤 규모의 1단계 공장과 이달 착공 예정인 3만톤 규모의 2단계 공장에 더해 이날 투자 승인된 4만6000톤 규모의 2-2단계 공장까지 준공되면 총 10만6000톤 규모의 양극재 생산단지로 거듭난다.
포스코퓨처엠은 해외에서도 제너럴모터스(GM)와 캐나다 퀘벡에 연산 3만톤 규모의 양극재 합작공장을 건설 중이다. 화유코발트와 중국 저장성에 연산 3만톤 규모의 양극재 합작공장을 건설하는 등 총 6만톤 규모의 공장을 짓고 있다.
포스코퓨처엠은 "추가 투자를 추진해 2025년까지 34만5000톤 규모의 글로벌 양극재 생산체제 로드맵을 달성할 계획"이라며 "꾸준한 R&D활동과 제품 포트폴리오 확대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선도적 지위를 확보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