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십자의료재단, 신생아 ‘선천성 대사 이상’ 조기검사 중요

등록 2023.02.27 14:38:39 수정 2023.02.27 14:38:44

선천성 대사 이상 질환, 생화학적 대사 경로 결함으로 '신생아 희귀질환'
조기 발견 시 다수 치료 가능…진단 늦어지면 지능·발달 장애 야기
혈액 한 방울로 조기 진단 가능한 ‘선천성 대사 이상 검사’ 

 

[FETV=박제성 기자] 매년 2월 마지막 날은 세계 희귀질환의 날이다. 희귀질환의 정의는 국가별로 다르다. 

 

우리나라에는 유병인구가 2만명 이하이거나 진단이 어려워 유병인구를 알 수 없는 질환을 말한다. 

 

약 85%는 유전자 변이에 의해 발생하는 선천성 질환이다.  이 중 절반 이상은 영아 및 소아기에서 발병한다. 

 

선천성 희귀질환은 진단 시기가 빠를수록 좋은 예후를 보인다. 알려진 질병만 해도 500여 종이 넘고 질환 인지도도 부족하기 때문에 조기 진단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원인미상으로 울거나 구토를 하는 경우가 빈번한 신생아는 질병 여부를 알아채기가 쉽지 않아 최적의 치료시기를 놓칠 수가 있다. 이럴 경우 회복이 어려워져 평생 장애를 가지고 살아가거나 극단적인 경우 목숨까지 잃을 수도 있다. 따라서 조기 진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 태어날 때부터 발생하는 ‘선천성 대사 이상 질환’… 증상 나타난 이후 회복 어려워

 

선천성 대사 이상 질환은 태어날 때부터 효소를 만드는 유전자의 이상으로 인해 특정 효소가 생성되지 않아 발생하는 질환을 말한다. 

 

즉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 등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나 조효소의 결핍으로 몸속으로 들어오는 영양소를 대사하지 못해 발생하는 질환을 통칭한다. 

 

주로 신생아 시기에 발병하는 질환으로 ‘신생아 대사 이상’ 또는 ‘유전성 대사 질환’이라고도 불린다. 

 

정상적으로 꼭 필요한 최종 물질은 생성되지 않고 과도한 전구물질이 뇌, 심장, 간, 신장 등 중요 장기에 축적돼 지능 장애, 발달 장애와 같은 과잉 증상부터 심하면 영아 돌연사 등을 일으킬 수 있다.

 

선천성 대사 이상 질환은 결함이 있는 대사 경로에 따라 500여종 이상으로 질환 종류가 다양하다. 유전학적, 생화학적 진단 방법의 발전으로 새로운 질환들이 추가되고 있다. 

 

각 질환마다 여러 가지 유전 방식을 따르는데 '상염색체 열성 유전'이 가장 흔하다. 대표적인 선천성 대사 이상 질환은 성장 장애와 지능 저하를 유발하는 ‘선천성 갑상선기능저하증’이 있다.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인 페닐알라닌을 다른 아미노산으로 변환하는 효소가 부족해 뇌 손상, 피부색소 결핍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는 ‘페닐케톤뇨증’ 등이 있다.

 

각 질환별로 증상 및 치료방법도 상이한데, 질환 대개가 신생아 시기에 나타난다. 출생 시에는 별다른 문제점이 발견되지 않는다. 수유를 진행한 지 2~3일 후에 구토, 처짐, 경련 등과 같은 비특이적 증상이 일어난다. 

 

하지만 영유아 시기에는 모유를 먹다가 역류 현상으로 인해 가볍게 토를 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몸을 제대로 가누지 못해 처지는 느낌이 들기 때문에 대수롭지 않게 넘기는 경우가 많다. 해당 증세가 지속되면 병원을 찾는데 선천성 대사 이상 질환은 대체로 증상이 진행 시 이전으로 되돌리기 매우 어렵다.

 

■ 신생아라면 누구나 받아야 하는 ‘선천성 대사 이상 검사’… 조기 발견 무엇보다 중요

 

우리나라는 2018년부터 생후 28일 이하의 모든 신생아에게 선천성 대사 이상 질환에 대한 검사를 무료로 받도록 건강보험 급여를 적용했다. 

 

‘선천성 대사 이상 검사’는 아이가 태어난 후 48시간에서 1주일 안에 시행한다. 대부분 생후 48~72시간 내 신생아기의 발 뒤꿈치에서 소량의 혈액을 채취해 유전자를 검사한다. 

 

아기의 발꿈치에서 채취한 한 방울의 혈액을 혈액 여과지에 묻힌 면역화학분석장비와 질량분석기(TMS)를 통해 즉시 검사를 시행한다. 검사 결과 갑상선기능저하증, 선천성 부신피질과형성증, 갈락토스혈증 및 72종의 아미노산, 유기산, 지방산, 퓨린, 페록시좀, 탄수화물 대사 이상 질환과 7종의 비특이적 소견을 한번에 선별한다.

 

다만 선천성 대사 이상 검사는 혈액을 묻히는 검사지가 종이라는 특성상 번지기도 하고 서로 붙기도 해 검사 정확도와 신뢰도가 낮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전국 수십 개 의료기관에 해당 검사를 제공하고 있는 임상검사 전문의료기관 GC녹십자의료재단이 검사의 질을 높이기 위해 검체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혈액여지 건조 보관함’을 자체적으로 개발했다. 

 

베타 테스트 결과, 검체 1~8건당 건조시간은 3시간에서 1시간 30분으로 절반 이상 줄었다. 개별 검체 별로 보관이 가능해 검체 분실과 손상 및 오염 가능성이 없어졌다.

 

선천성 대사 이상 선별 검사는 양성 판정을 받았다고 해서 100%의 발병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정확성을 위해 재채혈이 필요하다. 재검 결과에도 양성 판정이 나오면 질병 가능성이 높으므로 전문의 진료와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하다.

 

이아람 GC녹십자의료재단 진단검사의학과 전문의는 “선천성 대사 이상 질환은 신생아 시기 조기에 발견하면 치료 가능한 경우가 많기에 조기 진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에 녹십자의료재단은 검체 안정성과 정확도를 높인 ‘혈액여지 건조 보관함’을 단독 개발, 병원에서 조금 더 신속, 유용히 검체 수집과 보관 진행할 수 있도록 했다”고 말했다.



박제성 기자 js840530@fetv.co.kr
Copyright @FETV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PC버전으로 보기

제호: FETV | 법인명: ㈜뉴스컴퍼니 | 등록및발행일: 2011.03.22 | 등록번호: 서울,아01559 | 발행인·편집인: 김대종 | 주소: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북로 59 레이즈빌딩 5층 | 전화: 02-2070-8316 | 팩스: 02-2070-8318 Copyright @FETV. All right reserved. FETV의 모든 컨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