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ETV=박제성 기자] SK온의 배터리 사업이 당초 기대했던 올해 흑자 전망이 내년에 기대해야 할 상황이다.
SK온 모회사 SK이노베이션은 7일 2022년 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올해 대규모 배터리 시설투자(카펙스)와 수율(완성품 중 정상품 비율) 부문으로 인해 2024년 흑자 전환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SK이노베이션의 작년 배터리 사업성적은 매출 7조6177억원, 영업손실 -9912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날 SK이노베이션 관계자는 "올해 카펙스 등 배터리 관련 사업에 10조원 가량을 투자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배터리 사업이 지난해 부진했던 이유를 현금흐름에서 답을 찾았다. SK이노베이션 관계자는 "지난해 매출 개선에도 불구하고 현금흐름이 좋지 못했다"며 "올해는 현금흐름이 작년과 비교해 원할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SK이노베이션은 내년도부터 영업적자에서 흑자전환을 기대하고 있다. SK이노베이션은 "SK온의 기존 공장 안정화와 그동안 쌓인 경험치로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창출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내년부터 88기가와트시(GWh)의 기존 공장들이 안정화돼 지속적인 현금흐름 창출이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신규 공장은 헝가리 2공장, 중국 옌첸 2공장이다. 과거 1공장의 여러 경험치를 바탕으로 램프업(생산량 증대) 비용에 대해 최소화를 이룰 것"이고 말했다.
이를 바탕으로 SK온은 올해 두 배 수준의 높은 매출 상승할 것으로 SK이노베이션은 기대한다.
수익성을 개선하기 위한 핵심요인은 수율 안정화다. SK이노베이션은 "수익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수율 향상을 최우선 과제로 설정해 추진 중으로 하반기로 갈수록 정상화가 가속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SK이노베이션은 미국 IRA(인플레이션 감축법) 거는 기대감이 크다. SK이노베이션은 "2025년까지 IRA 수혜가 최대 4조원으로 내다본다. 현재 짓고 있는 미국 배터리 공장의 경우 셀은 35달러, 모듈은 10달러 더한 45달러를 곱해 나온 값"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SK온의 코스피 상장은 아직 결정된 부분은 없다. SK이노베이션 관계자는 "향후 코스피 상장을 할 경우 SK이노베이션의 주주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방안을 적극 모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