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ETV=박제성 기자] K-제약이 중국 코로나 봉쇄조치 해제로 인한 확진자 급증으로 감기약 수혜 반사이득을 보고 있다. 중국 당국이 경제 활성화를 위해 위드 코로나 카드를 꺼냈다. 문제는 세계 최대 인구 국가인탓에 코로나19 확진자 숫자도 급증하고 있다. 하지만 이로 인해 한미약품, JW중외제약, 영진약품, 국제약품 등 국내 제약사들이 감기약 수혜를 톡톡히 맛보고 있다.
최근 중국 관광객들이 국내 감기약 사재기를 비롯해 중국 현지의 한국산 감기약이 열풍을 일으키고 있다. 그런데 중국발 코로나 확진자 급증으로 한국 정부가 중국에서 오는 입국자에 대한 방역강화 조치카드를 꺼내 들었다. 문제는 중국 정부가 이러한 조치카드에 불쾌한 반응을 보이면서 금수조치 행동을 슬슬 전개한다는 점이다.
이런 상황에서 여전히 K-제약의 일반의약품(약국판매)의 감기약이 국내에서 불티나게 팔리고 있다. 중국 현지에서도 잘 팔리고 있다. 중국에 수출하는 국내 업체로는 한미약품, JW중외제약, 영진약품, 국제약품 등이 있다. 문제는 중국의 보복성 조치가 장기화 될 경우 제약업계를 비롯해 여러 분야의 기업들이 피해를 볼 수 있다.
한국 정부를 비롯해 중국과 교류가 많은 국내 기업들이 이를 예의 주시하고 있다. 특히 K-제약사들도 마찬가지다. 감기약의 주성분인 아세트아미노펜의 경우 한국은 중국, 인도 의존도가 높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러한 중국의 보복성 조치로 감기약을 생산하는 K-제약의 차질을 줄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감기약을 생산하는 국내 업체는 180개 이상이다. 이중 해열진통제, 기침가래약, 종합감기약 등 감기약 의약품 개수는 1665개 품목이 있다. 최근 중국 정부는 한국 국민에게 외교적 불이익을 본격 시작했다는 점이다. 첫 번째 조치로 비자 발급을 중단했다. 다만 외교사항 및 긴급 업무 등으로 입국할 경우 중국 대사관을 통해 허가를 받을 수 있다.
이게 다가 아니다. 중국이 자국을 경유해 제3국에 가는 외국인에게 경유 국가 안에서 3일 또는 6일간 체류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한국과 일본에 임시 폐지했다. 다만 중국을 경유해 제3국에 가는 한국 국민이 중국 입국 절차를 거치지 않고 중국 내 공항 안에서 수 시간 대기하는 경우는 이번 조치와 관련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국내 입장에선 중국 정부가 뒷통수를 때리는 격이다. 코로나 입국자 강화이슈가 양국 간의 외교 이슈로 번지고 있는 셈이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발 한국 입국자들의 감기약 사재기 여파로 국내 시민들의 감기약 소비가 늘고 있다. 수요증가로 K-제약사들의 감기약 매출은 늘어나고 있다.
이런 상황 속 중국의 보복조치가 장기화 될 경우 향후 감기약 생산에 차질이 불가피 할 수 있다는 것이 제약업계의 주장이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중국의 이러한 조치가 장기화 될 경우 K-제약들이 피해를 볼 수 있다”면서 “다만 이번 감기약 사재기 열풍으로 감기약 매출은 상승할 전망”이라고 말했다.